• 제목/요약/키워드: grafting rate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18초

치조열에서 재 시행한 골이식의 분석 (Analysis of Repeated Bone Graft after Secondary Bone Graft in Children with Alveolar Cleft)

  • 고경석;이성욱;최종우;이영규;권순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273-278
    • /
    • 2008
  • Purpose: The most widely accepted protocol for alveolar cleft reconstruction is to repair it during the mixed dentition stage. There were lower resorption rate (about 88%) at this stage. However we found some cases that need repeated bone grafting. Therefore we sought to analyze the cause of repeated alveolar bone grafting in connection with other factors.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January 2006, thirty-nine secondary alveolar bone grafts with iliac crest spongiosa were carried out. In 39 patients, 5 patients who had significant bone graft resorption received repeated alveolar bone graft. In all the cases, the causes of repeated bone grafts were dental root exposure(angulation), and the deficiency of the bony support for lateral incisor or canine eruption. In 3 cases, there was deficiency of the alveolar bone at the cleft side. There was the need of repeated bone grafts for orthodontic treatment in 2 cases and for application of dental implants in 1 case. Resul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clinical and radiologic examinations showed that repeated alveolar bone grafts were maintained successfully without any complications. The volume of the repeated bone graft was suffici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implantation. Conclusion: The essential conditions for successful alveolar bone grafting includes the status of cleft sided teeth, further treatment and planed schedule, as well as canine eruption. Alveolar bone grafting has to be performed with difference of each case in mind.

폴리프로필렌 표면 위에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플라즈마 유도 그래프트 공중합 (Plasma-Induced Grafting of Poly(N-vinyl-2-pyrrolidone) onto Polypropylene Surface)

  • 지한솔;정시인;허호;최호석;김재하;박한오
    • 폴리머
    • /
    • 제36권3호
    • /
    • pp.302-30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된 평판형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필름 표면 위에 폴리비닐피롤리돈(poly($N$-vinyl-2-pyrrolidone), PVP)을 그래프트 공중합시키기 위한 최적 조건을 찾는데 있다.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조건은 RF power 200W, Ar 유속 6 LPM, 처리시간 30초, 처리 후 노출시간은 5분으로 고정하였다. 그래프트 공중합에서는 중합 시간, 중합 온도, 비닐피롤리돈($N$-vinyl-2-pyrrolidone, NVP) 농도의 조건을 각각 달리하여 표면 그래프트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중합 시간 6시간, 중합 온도 $90^{\circ}C$, NVP 농도 40%에서 가장 높은 그래프트도를 나타내었다. ATR-FTIR,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 SEM 분석을 통해서도 PVP의 도입을 확인할 수 있었다.

Radiation Grafting of Hydrophilic Monomers onto Polyester

  • Park, Jae-Ho;Lee, Chong-Kwang;Lee, Kwang-Ji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103-114
    • /
    • 1973
  • 본 실험은 방사선을 이용하여 Polyester 직포의 흡수성과 염색성 그리고 대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로서 실온하에서 함침법으로 Acrylic acid또는 4-vinylpyridine을 Polyester 직포에 접목시켰다. Polyester 직포를 25$^{\circ}$또는 7$0^{\circ}C$에서 Acrylic acid나 Acrylic acid와 4-vinylpyridine의 emulsion 용액에 함침시켰으며 함침된 Polyester 직포를 질소깨스 존재 하에서 Co-60의 l-rays로 조사시켰다. Acrylic acid가 접목된 Polyester 직포를 Sodium carbonate, Calcium acetate 또는 Potassium persulfate로 처리하였을 때 흡수율은 더욱 증가하였으며 직포 표면에 형성된 polyacrylic acid 는 0.1% NaoH 용액으로 대부분 추출되었다. 4-vinylpyridine과 Acrylic acid의 혼합용액을 함침용액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4-VP/AA의 비율과 방사선 선량이 커짐에 따라 접목율은 점점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여러가지로 처리된 Polyester 직포 표면에 물방울을 떨어 뜨렸을 때의 Contact angle을 측정하여 보니 접목율이 증가함에 따라 대전성은 감소하였다. Acryli acid가 접목된 Polyester 섬유를 Salt로 처리하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본 결과 일련의 무정형 형태로 결합되어 있었다.

  • PDF

방사선을 이용한 스티렌-TMSPM 공중합체가 그래프트된 ETFE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Poly(styrene-co-(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grafted ETFE Films by a Simultaneous Irradiation Grafting Method)

  • 성해준;손준용;송주명;신준화;노영창
    • 폴리머
    • /
    • 제35권5호
    • /
    • pp.478-482
    • /
    • 2011
  • 본 연구는 스티렌과 (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TMSPM)을 함유하여 그래프트된 ETFE 필름을 방사선 동시 조사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에 관한 연구이다. 스티렌/TMSPM을 혼합한 물질을 여러 종류의 용매를 사용하여 일정한 비율로 희석 후 조사선량, 조사선량률 및 희석된 용액의 농도 등의 조건을 달리하여 그래프트율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스티렌/TMSPM 단량체 혼합물에 아세톤 용매를 사용한 경우에 다른 용매를 사용한 것보다 높은 그래프트율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R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스티렌과 TMSPM이 동시에 ETFE 필름에 그래프트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EM-EDX를 통하여 PTMSPM이 함유하고 있는 실리콘 분포도를 분석한 결과, PTMSPM 그래프트 고분자가 ETFE 필름 내부까지 균일하게 그래프트가 이루어졌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Physical stability of arginine-glycine-aspartic acid peptide coated on anodized implants after installation

  • Huh, Jung-Bo;Lee, Jeong-Yeol;Jeon, Young-Chan;Shin, Sang-Wan;Ahn, Jin-Soo;Ryu, Jae-Ju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2호
    • /
    • pp.84-91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arginine-glycine-aspartic acid (RGD) peptide coatings on implants by measuring the amount of peptide remaining after installation. MATERIALS AND METHODS. Fluorescent isothiocyanate (FITC)-fixed RGD peptide was coated onto anodized titanium implants (width 4 mm, length 10 mm) using a physical adsorption method (P) or a chemical grafting method (C). Solid Rigid Polyurethane Foam (SRPF) was classified as either hard bone (H) or soft bone (S) according to its density. Two pieces of artificial bone were fixed in a customized jig, and coated implants wer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undary between two pieces of artificial bone. The test groups were classified as: P-H, P-S, C-H, or C-S. After each installation, implants were removed from the SRPF, and the residual amounts and rates of RGD peptide in implants were measured by fluorescence spectrometry. The Kruskal-Wallis test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lpha}$=0.05). RESULTS. Peptide-coating was identified by fluorescence microscopy and XPS. Total coating amount was higher for physical adsorption than chemical grafting. The residual rate of peptid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P-S group than in the other three groups (P<.05).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coating doses depend on coating method. Residual amounts of RGD peptide were greater for the physical adsorption method than the chemical grafting method.

폴리에틸렌 표면에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플라즈마 유도 그래프트 공중합 (Plasma-induced Graft Copolymerization of Glycidyl Methacrylate on the Surface of Polyethylene)

  • 김지은;류욱연;최호석;김재하;박한오
    • 폴리머
    • /
    • 제36권2호
    • /
    • pp.137-144
    • /
    • 2012
  •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GMA) 그래프트 공중합을 통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의 표면을 개질하였다. 우선 RF-power, 플라즈마 처리시간, Ar의 유량, 처리 시편의 이동속도를 변화시켜 PE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고, 처리된 각 시편들의 접촉각 측정과 표면자유에너지 계산을 통하여 최적의 플라즈마 표면처리 조건을 구하였다. 그 결과 최적 표면처리 조건은 RF-power 200W, 플라즈마 처리시간 600 sec, Ar 유량 5 LPM, 처리 시편의 이동속도 20 mm/sec 이었다. 이 조건하에서 처리된 PE 표면에 GMA를 최대한 많이 도입하기 위하여 GMA 농도와 반응온도, 반응시간을 변수로 그래프트 공중합을 수행하였다. 반응전후 시편의 질량차이 분석을 통하여 각 시편들의 그래프트도(grafting degree, GD)를 측정하고, 가장 높은 GD를 얻을 수 있는 그래프트 공중합 반응조건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GMA 최대 도입 조건은 GMA 농도 20 vol%, 반응온도 $80^{\circ}C$, 반응시간 4 hr 이었다.

잣나무 수형목(秀型木) clone의 개화특성(開花特性) (Characteristics of Flower of Plus Tree Clones of Pinus koraiensis S. et Z.)

  • 한상섭;이상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3호
    • /
    • pp.290-301
    • /
    • 1990
  • 1983년도(年度) 보고(報告)된 잣나무 수형목(秀型木) 167 clone의 clone 보존원(保存園)에서 1986년(年)부터 1989년(年)까지, 개화시기(開花時期), 개화율(開花率), 개화량(開花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자화(雌花)가 조기개화(早期開花)하는 소수 clone과 웅화(雄花)가 늦게 비산(飛散)하는 소수 clone들 사이에는 자연교배(自然交配) 될 수 없는 clone들도 있었다. 2) 웅화(雄花)의 개화율(開花率)은 낮았으며 자화(雌花)의 개화율(開花率)보다 유전적(遺傳的)인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다. 3) 자화(雌花)와 웅화(雄花)의 대화량(開花量)은 소수 clone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었다. 4) 자화(雌花)와 웅화(雄花)의 개화량(開花量)은 상호(相互) 상관(相觀)이 없었으며 167 clone중 42 clone은 웅화(雄花)가 개화(開花)하지 않았다. 5) 167 clone의 개화량(開花量)은 L.S.D 5% 검정(檢定)에 의하여 자화(雌花)는 3 group, 웅화(雄花)는 4 group으로 분류(分類)되었다. 6)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에 의하여 자화(雌花)와 웅화(雄花)가 다량개화(多量開花)하는 clone을 선발(選拔)할수 있었다. 7) 자화(雌花)의 개화율(開花率)과 개화량(開花量)을 기준으로 할 때 Juvenile phase 기간(期間)은 접목(接木)후 4년(年)까지 였으며 transition 기간(期間)은 접목(接木)후 5년(年)부터 7년(年)까지 adalt phase 기간(期間)은 접목(接木)후 8년(年)부터였다. 8) 잣나무 접목묘(接木苗)는 실생묘(實生苗) 보다 6년이상(年以上) 빠르게 개화(開花)하였다.

  • PDF

호도나무 유경접목 후 처리가 활착율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s of Post-Epicotyl grafting on the Survival Percentage and Growth in Walnut Trees(Juglans sinensis Dode))

  • 이욱;이문호;정명석;변광옥;현정오;권용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6-40
    • /
    • 2008
  • 본 연구는 호도나무 유경접목 활착율 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접목묘 생산 및 원활한 보급체계 구축을 위하여 접목 후 이식유형 및 처리에 따른 활착율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호도나무 유경접목 후 이식유형에 따른 처리별 평균 접목활착율을 조사한 결과, 접목상 이식 후 비닐덮개 처리구(TPGB1)가 89.02%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처리간 온도와 습도유지 정도에 따라 활착율의 차이가 있었다. 품종별 평균 접목활착율은 KWN-3 개체가 81.59%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처리에서도 높은 활착율을 보였다. 동일처리 내에서도 품종별 활착율의 차이가 심한 것은 접수의 영양상태와 채취부위 등이 접목활착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접목 후 이식유형에 따른 활착묘의 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접목묘의 묘고생장 및 직경생장, 접수의 직경생장 등 조사항목 모두 처리별 활착율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묘고생장은 TPGB1이 평균 15.97cm($2.0{\sim}59.0cm$)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나타냈으며 신초지 및 접수의 직경생장에서도 모두 TPGB1 처리구가 평균 7.55mm($1.65{\sim}14.71mm$)과 8.12mm($1.82{\sim}13.58mm$)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보였다. 접목묘 신초지의 발생위치에 따른 처리별 생장량의 비교분석에서 묘고생장에서만 측아가 12.05cm로 정아의 9.57cm 보다 매우 우수하였으며 동일 처리내 접수채취 부위 및 신초지 발생위치 따른 활착율은 품종간 차이가 없었다.

배나무 잎검은점병의 피해상황과 방제 (Incidence of Pear Black Necrotic Leaf Spot and its Control by Top-Grafting)

  • 남기웅;명인식
    • 식물병연구
    • /
    • 제8권4호
    • /
    • pp.254-257
    • /
    • 2002
  • 배나무 잎검은점병에 대한 방제대책을 검토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 병은 배 주산단지에 고루 발생하고 있으며 주 재배 품종인 신고에서 약 5.6% 정도 발생되었다. 농약에 의한 방제 효과는 없었고, 병 발생이 심한 나무는 수량 및 품질이 떨어지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방제대책으로 경제적 갱신시기는 표준수확량의 70% 수준 이하일 때 즉 발병율이 80%이상일 때 저항성 품종으로 갱신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이 병이 심하게 발생하고있는 신고품종에 저항성품종인 수황배와 화산배를 고접갱신 한 결과 2년 차까지 병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물 블렌드의 결정화 거동 (Crystallization Behavior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Ethylene-Methyl acrylate-Glycidyl methacrylate Copolymer Blend)

  • 성상엽;이종관;이광희;진병석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848-854
    • /
    • 2001
  • 무정형 고분자인 ethylene-methyl acrlate-glycidyl methacrylate 공중합체 (E-MeA-GMA)와 결정성 고분자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와의 블렌드에서 그라프트 반응에 따른 PET의 결정화 거동을 조사하였다. PET와 E-MeA-GMA간의 그라프트 반응 수준을 torque-rheometer, FT-IR, SEM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른 결정화 거동 변화를 DSC와 광산란 방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라멜라 수준의 결정구조를 소각 X선 산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