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ld-silver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33초

도금 유물에서 확인되는 확산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l Diffusion in Gilded Artifacts)

  • 전익환;이재성;박장식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9-1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삼국, 고려, 조선시대의 금동유물 각 한 점과 제작시기를 알 수 없는 금동유물 한 점 그리고 고려의 금은유물 한 점을 선택하여 도금층과 바탕금속 간에 일어나는 금속원소의 확산현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유물에서 확산에 관한 직간접적인 증거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조선시대의 금동장식에 대한 분석결과로부터는 이러한 확산현상이 도금공정에 의도적으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확산이 일어난 금동유물의 도금층에서는 표면에서 내부로 갈수록 점차 금함량이 감소하면서 구리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이로 말미암아 도금층과 바탕금속 간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점진적 조성변화는 열에 의한 확산에 기인하는 것으로, 도금층 전체에 산소함량이 매우 낮은 점으로 보아 이것이 매장도중 부식에 의하여 초래되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확산정도에 따라 금동유물의 표면색조에는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확산에 의한 색조변화는 표면의 미소형태나 화학조성 면에서 부식에 의한 것과 분명하게 구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금은유물에서는 금은의 확산과 더불어 도금층의 수은도 바탕금속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국가민속문화재 일월수 다라니 주머니 금속 장식지의 과학적 분석 (A Scientific Analysis of Decorative Metal Foil Used in Pouch for the Sutra Embroidered with a Sun and Moon Design Designated as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 박성희;박세린;서정훈;박종서;이량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4-132
    • /
    • 2022
  • 본 연구는 국가민속문화재 일월수 다라니 주머니 매듭과 테두리 장식에 사용된 '금속 장식지'를 대상으로 과학적 분석을 통해 재료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금속 장식지는 SEM-EDS 분석을 통해 은(Ag) 및 황(S)이 확인되어 은제 금속박을 배지에 부착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황(S)은 농도와 접촉시간에 따라 은(Ag)을 황색부터 흑색까지 변색시킬 수 있다. 현재는 황색을 확인할 수 없으나, 은(Ag)으로 가금사를 만든 사례가 있어 본래 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배지는 배면까지 적갈색이다. 함께 검출된 알루미늄(Al)과 규소(Si), 철(Fe)은 전통 편금사(片金絲)의 붉은색 접착제로 추정되는 주토(朱土)의 주성분으로, 금속 장식지의 접착제 관련 성분으로 추측된다. GC/MS 분석 결과에서 접착제 성분은 아교(阿膠)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경주 계림로 14호분 장식보검 금립의 접합방법에 관한 고찰 (Ornamented Dagger Sheath from Gyerim-ro Tomb No.14, Gyeongju: On the Joining Process of Gold Granules)

  • 유혜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6권
    • /
    • pp.4-13
    • /
    • 2015
  • 지금까지 한반도에서 출토된 누금세공유물의 접합방법을 살펴보면 금과 은을 합금한 재료를 사용한 금납법으로 접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경주 보문동합장분 출토 금제태환이식(국보 제90호), 호암미술관 소장 금제세환이식과 금제태환이식(보물 제557호) 그리고 통일신라시대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출토 금제풍탁(金製風鐸) 등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경주 계림로 14호묘 출토 장식보검(裝飾寶劍)의 금립 접합방법은 지금까지 확인된 방식과는 다르다는 것을 SEM-EDS 분석으로 알 수 있었다. 계림로 장식보검의 금립은 크기와 형태가 매우 고르고, 표면에 수지상 조직(樹枝狀組織)을 갖고 있다. 순수한 금속에서는 이 수지상 조직이 나타나지 않으며, 합금된 물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금립의 조성은 Au 77wt%, Ag 18wt%, Cu 4wt%의 3원계 합금물질이다. 이 성분 특성(합금 금속)으로 인하여 순수한 금의 녹는점인 1064℃ 보다 훨씬 더 낮은 온도인 1000℃ 미만(약 980℃)에서도 금속의 용해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금땜이나 다른 매개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순간적으로 고온을 가하게 되면 금립의 접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SEM 이미지 관찰에서도 땜의 흔적을 전혀 찾아 볼 수 없는 것으로 보아 융접법에 의한 접합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양백에 코팅된 비정질 TiO2 박막의 특성에 관한 연구 (Gold Colored Coating of TiO2 thin film on Nickel-Silver by Sol-Gel Process)

  • 임용무;김상문;심문식;장희진;신종윤;황규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56
    • /
    • 1999
  • 금속 안경테의 제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범용 양백의 표면에 2%Ti-naphthanate toluene solution을 $TiO_2$의 전구체로 하여 sol-gel spin coating을 행하고 $500^{\circ}C$에서 열처리 한 코팅 층의 형성조건 및 표면 구조 그리고 표면색상을 Optical photometer외 색차계 그리고 X-선 회절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TiO_2$ 박막의 열처리 온도는 $500^{\circ}C$가 적정하였으며 1회 코팅 시의 평균 두께는 $0.24{\mu}m$이었으며 코팅 횟수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TiO_2$ 코팅 층의 결정구조는 비정질 상태로 존재하였고 색상은 코팅 횟수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2회 코팅한 경우는 적색이 미세하게 출현하였으며 3회 코팅한 경우에는 검붉은 색이 발현되었다. 명도는 55.92(1회)에서 코팅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저하하였으며 a는 3회 코팅까지는 red계열로 증가하다가 급격히 저하하며, b는 꾸준히 감소하여 blue계열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금 색상의 발현을 위해서는 1회 코팅인 $0.24{\mu}m$ 두께의 $TiO_2$ 비정질 막이 적합하였다.

  • PDF

영덕(盈德) 금(金)-은광상(銀鑛床)에서 산출(産出)되는 금(金)-은광물(銀鑛物)과 광상(鑛床)의 생성환경(生成環境) (Au-Ag Minerals and Genetic Environments from the Yeongdeog Gold-Silver Deposits, Korea)

  • 이현구;유봉철;김상중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6호
    • /
    • pp.541-551
    • /
    • 1995
  • The Yeongdeog gold-silver deposits at Jipum, Gyeongsangbugdo, is of a middle Paleogene $(45.52{\pm}1.02Ma)$ vein type, and is hosted in shale and sandstone of Cretaceous age. Based on mineral paragenesis, vein structure and mineral assemblages, the ore mineraliz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distinct depositional stages. The early stage is associated with base-metals such as pyrite, arsenopyrite (27.99~30.99 at%), hematite, rutile, pyrrhotite, sphalerite (10.53~18.42 FeS mole%), chalcopyrite and galena with wallrock alteration such as chlorite, sericite and pyrite. The late stage is characterized by the Au-Ag mineralization such as electrum, Ag-bearing tetrahedrite, freibergite, pyrargyrite, unidentified mineral, pyrite, sphalerite (1.08~5.57 FeS mole%), chalcopyrite and galena. Fluid inclusion data indicate that fluid temperatures and salinities range from 343 to $227^{\circ}C$ and from 8.3 to 5.7 wt% eq. NaCl in early stage, respectively. Temperatures and salinities of NaCl eq. wt% range from 299 to $225^{\circ}C$ and from 12.9 to 4.3 in late stage, respectively. They suggest that complex cooling histories were occured by the mixing of the fluids. Sulfur fugacity $(-logfs_2)$ deduced by mineral assemblages and composition ranges from 8.3 to 14.7 atm. in early stage, and from 8.8 to 14.5 atm. in late stage. It suggests that the mineralization was related to decrease of temperature in early stage and fluctuations of $fS_2$ with decrease of temperature in late stage. Sulfur and oxygen isotope compositions are 4.48~5.60‰ and 9.25~10.8% in early stage, and late stage is 4.84~7.00‰ and 5.7‰, respectively. It indicated that hydrothermal fluids may be magmatic origin with some degree of mixing of another water during paragenetic time.

  • PDF

일본 중세의 색채 문화: 가마쿠라·무로마치 시대를 중심으로 (Color Culture of Japanese Medieval Age: Focusing on Kamakura & Muromachi Periods)

  • 이경희;김금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1호
    • /
    • pp.95-105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lor culture in the Japanese Medieval Age. The Japanese Medieval Age included the Kamakura period (1180-1333) and Muromachi period (1336-1573), and the leading group transitioned from the Kuge families to the Buke families. The taboos about colors from ancient times became nominal, and forbidden colors, such as purple, celadon, and red, became the colors of the samurai, leading to beautiful soldier gears that were unparalleled in history. In the Kamakura period, colors that conveyed a strong impression were created and preferred with the combination of a samurai's reasonable spirit and zen thoughts. The period was also called "the era of hari", and cross dyeing based on basic colors such as suou (red), ai (blue), and kuchinasi (yellow) was popular. In both the Kamakura and Muromachi periods, conspicuous and strong colors were sought for costumes, and embroidery was used with gold leaf, silver leaf, gold threads, silver threads, and background color. The colors of costume preferred by Buke men in the period included green, blue, and brown.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sode, the sugan and hitadare were used for men's formal dress, while kosode was used for the grooming of the working class. In these periods, additionally, the working class began to be socially engaged in actively wearing the one-layer kosode, which became popul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Medieval Age, during which functionality and practicality was valued, were also reflected in the dressing.

고구려 관모(冠帽)연구 (A Study on the Kwanmo of Kokuryo)

  • 정완진;이순원
    • 복식
    • /
    • 제23권
    • /
    • pp.151-168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ll kinds of Kwanmo of Kokuryo.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re are nine kinds of Kwanmo in Kokuryo : Kun(건), Chaik ( 책), Jeolpoong(절풍), Sogol (소골), Jowookwan (조익관), Rakwan (라관), Kagkwan(각관), Rip(립) and Jumdongkwan (금동관), Kun(건) is a piece of cloth which covers hair. There are two types of kun(건) : Hari band type and entire head cover type. Chaik(책) was originated in China , but people of Kokuryo didn't wore chinese Chaik (책) as it was. They created unique shape of their own. Jeolpoong (절풍) is the cone-shaped knwanmo which is chiefly made of leather. In the early period it was worn by the nobility , but gradually trickcled down common people's Kwanmo. Sogol(소골) is the cone -shaped Kwanmo which is made of silk and decorated with gold and silver. Only the nobility wore it, Jowookwan(조익관) is the knwanmo decorated with natural bird feather or metallic feather. Mainly it was worn by the nobility in hunting , Besides, worriors, diplomats, dancers and musicians wore it. Rakwan (나관) was worn by the highest class. There were three kinds of Rakwan (나관) : Baekrakwan(백나관). Cheongrakwan (청나관) and Birakwan (비나관). The king of Kokuryo wore BAekrakwan (백나관). It was simlar ini shape to chines Mookwan (무관). Kagkwan (각관) was the kwanmo unique to Kokuryo. It was used by the nobility . Rip (립)was originated on purpose to protect people form the sunshine or rain. There were two kinds of Rip(립) ; Bangrip (방립) and Pyungyangja(평량자). The former was used by the nobility, the lattr was used by common people in hunting . The Kwanmo which was decorated with gold and silver developed into Kumdongkwan(금동관). The Kwanmo which is similar to Kumkwan (금관) of Baekje and Shilla has been shown in Kaimachong (가마총) 무 dJumdongkwan(금동관) was excavated in the ancient tombs of Kokuryo.

  • PDF

GIS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금-은 광물 부존적지 선정 및 검증 (Gold-Silver Mineral Potential Mapping and Verification Using G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 오현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강원도 태백산광화대 지역의 금-은 광물부존 가능성도를 작성 및 검증하고자 한다. 금-은 광상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지질, 단층, As, Cu, Mo, Ni, Pb, Zn 등의 지화학 자료를 선정하여 GIS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46개소의 금-은 광상은 훈련 및 검증 자료로 분류하여 광물부존 가능성 분석과 검증에 사용하였다. 인공신경망 분석에 있어서 광상 분포지역과 미 분포지역에 대한 훈련자료는 기존 광상의 위치와 우도비 방법으로 도출된 광물부존 가능지수의 하위 10%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금-은 광물부존 가능성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광물부존 가능지수의 상위 5% 지역 내에서 암석시료를 채취한 후 Au, Ag, As, Cu, Pb, Zn 원소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No. 4의 시료는 다른 시료들보다 각 원소별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현대의 전통한복에 사용된 장식기법에 관한 연구[제 I 보] - 2001~2005년도 여자한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coration Techniques Applied to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of Contemporary Style[Part I] -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for Women which were Delivered between 2001 and 2005 -)

  • 김순구;이영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64-57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coration techniques applied to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of modern style which are shown in special monthly magazines relevant to the traditional magazin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types of decoration techniques applied to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are largely classified into single and composite types. In the traditional costume of the former type, a quite many of gold and silver foils and embroideries are found. While, in that of the latter type, a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decorations, embroideries and seonchigi or multi-colored stripes and seonchigi is often used. These decoration techniques are usually applied to some parts of the costume like git, kkeutdong or cuffs, somae or sleeves, seop, goreum or coat strings, jacket or jeogori, the lower hem of the skirt and between joined parts in the skirt. Used together with the techniques, patterns are usually applied onto embroideries and gold or silver foils. Most of the patterns are flower in shape. The main material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is fabrics that have no pattern on the surface and are commercially available irrespective of season. Git used for jeogori is largely classified into dangko git and donggrae git in type. Its color is in most cases same as the main color of jeogori. Keutdong for jeogori is usually 4 to 5.5 cm in breadth, classified as type II. Its color is in most cases white. Goreum for jeogori is usually large in length. Its color is most cases same as that of jegori or reddish purple or blackish red purple.

비파괴 분석법에 의한 백제 금동관 재질 특성 연구 (Study of Material Features of Baekje Gilt-bronze Crowns)

  • 김성곤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3권
    • /
    • pp.91-108
    • /
    • 2020
  • 본 연구는 천안, 공주, 서산, 익산, 나주, 합천에서 출토된 금동관 7점을 중심으로 비파괴 분석법을 활용하여 재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금동관은 고깔 모양의 모관을 기본으로 하며, 전·후입식, 대롱, 수발, 영락 등의 장식을 가감하여 부착된다. 문양은 용문, 봉황문, 초화문, 타출문 등을 조금기법, 투조기법, 인각기법 등으로 시문하였다. 형태적 특징은 제작시기 및 출토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소지 금속은 순동과 소량의 납이 포함된 동으로 구분된다. 표면 도금은 아말감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순금과 소량의 은이 함유된 금으로 분류된다. 옥전 23호 출토품의 은 함량이 높아 지역적인 차이를 보인다. 도금 두께는 백제 금동관에 비해 백제계 금동관인 옥전 23호분이 두꺼운 것으로 평가된다. 도금횟수는 1~2회인 반면 백제계 금동관인 합천 옥전 23호분 금동관은 최대 3회로 평가되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