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파괴 분석법에 의한 백제 금동관 재질 특성 연구

Study of Material Features of Baekje Gilt-bronze Crowns

  • 투고 : 2020.04.13
  • 심사 : 2020.05.10
  • 발행 : 2020.05.31

초록

본 연구는 천안, 공주, 서산, 익산, 나주, 합천에서 출토된 금동관 7점을 중심으로 비파괴 분석법을 활용하여 재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금동관은 고깔 모양의 모관을 기본으로 하며, 전·후입식, 대롱, 수발, 영락 등의 장식을 가감하여 부착된다. 문양은 용문, 봉황문, 초화문, 타출문 등을 조금기법, 투조기법, 인각기법 등으로 시문하였다. 형태적 특징은 제작시기 및 출토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소지 금속은 순동과 소량의 납이 포함된 동으로 구분된다. 표면 도금은 아말감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순금과 소량의 은이 함유된 금으로 분류된다. 옥전 23호 출토품의 은 함량이 높아 지역적인 차이를 보인다. 도금 두께는 백제 금동관에 비해 백제계 금동관인 옥전 23호분이 두꺼운 것으로 평가된다. 도금횟수는 1~2회인 반면 백제계 금동관인 합천 옥전 23호분 금동관은 최대 3회로 평가되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conducted non-destructive analyses of the material features of seven gilt-bronze crowns of Baekje Kingdom that were excavated in the Cheonan, Gongju, Seosan, Iksan, Naju, and Hapcheon areas. A typical Baekje gilt-bronze crown has a conical inner crown and an outer crown embellished with vertical ornaments on the front and the back, a tube topped with a hemispherical ornament, and other ornamentation. Diverse designs (e.g., dragon, bonghwang, flowers, and plants) were applied using a range of techniques, including repoussé, chasing, openwork, and engraving. Formal features differ among the crowns according to their period of production and site of excavation. The substrate metal of the crowns is either pure copper or mixed copper with a small amount of lead. The crowns were amalgam-plated on the surface with pure gold or gold with a small amount of silver. The crown from Okjeon Tomb No. 23 in Hapcheon in the ancient Gaya region has a high silver content, which appears to be a regional feature. In addition, this crown from Okjeon Tomb No. 23, which can be categorized as Baekje-style gilt-bronze crown, seems to be plated at most three times, while the gilt-bronze crowns found within Baekje Kingdom territory were plated once or twic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한상, 백제의 금속제 관 문화, 백제의 관, 국립공주박물관, p108-114, (2010).
  2. 이한상, 백제의 금속제 관 문화, 백제의 관, 국립공주박물관, p118. (2010).
  3. 충북지방중소기업청, XRF 도금 두께 측정기 정밀측정 기술 교육, (2008).
  4. 국립공주박물관, 백제의 관, p46, (2011).
  5. 국립공주박물관, 백제의 관, p28, (2011).
  6.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公州 水村里遺蹟, p449-450, (2007).
  7. 국립공주박물관, 백제의 관, p36, (2011).
  8. 정광용, 서산 부장리 출토 금동관모의 보존, 한성에서 웅진으로 특별전기념 국제 학술심포지엄, 충청남도역사문화원.국립 공주박물관, p147-190, (2006).
  9. 국립공주박물관, 백제의 관, p48, (2011).
  10. 정광용.이수희.김경택, 서산 부장리 백제 금동모관의 제작 기법 연구, 문화재 제39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223-280, (2006).
  11. 국립공주박물관, 백제의 관 , p84, (2011).
  12. 국립공주박물관, 백제의 관 , p96, (2011).
  13. 慶尙大學校博物館, 陜川 玉田古墳群 VI , (1997).
  14. 姜大一, 韓半島 出土 鍍金資料의 分析, 문화재 제26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170-208, (1993).
  15. 文煥晳, 韓國 古代 金屬工藝의 科學技術的 硏究 : 鍍金 및 鏤金 製作技術을 中心으로, 中央大學校 박사학위논문, (2004).
  16. 이윤정, 금.은.구리 배합비에 따른 아말감도금의 색상 및 단면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