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olipid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 전통콩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Soybeans)

  • 김강성;김민정;이경애;권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35-341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대표적인 전통콩 6품종(청태, 서리태, 진주리, 수박태, 유태, 흑태)과 미국산 수입콩 1품종 등 7품종을 시료로 사용하여 종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과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였다. 콩의 백립중은 유태가 극소립중이었고, 흑태가 대립중이었다. 품종간에 종실과 껍질을 제거한 콩의 색도도 차이를 보였다. 단백질 함량은 전통콩이 모두 40%을 넘는 함량을 나타냈고, 그중 진주리가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수입콩이 38.7%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조지방함량은 전통 콩중 진주리가 가장 낮고, 수입콩이 다른 품종에 비해 지방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총 지방질의 지방산중 linoleic acid가 가장 많았고, oleic acid, palmitic acid 순이고 불포화 지방산이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서리태가 85.2%로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포화지방산의 경우 수입콩이 16.5%로 다른 품종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진주리콩은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의 함량이 높고 다중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낮았다. 콩의 필수 아미노산인 lysine 함량은 48.2-56.5 mg/g-protein이었다. 콩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져진 methionine, cysteine, histidine 등은 전통콩에서도 매우 적게 함유 되어있다. Methionine의 비율이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품종에 따른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현미와 백미의 극성지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lar Lipids Composition in Brown Rice and Milled Rice)

  • 이희자;이현주;변시명;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2-268
    • /
    • 1989
  • 다수계 품종인 남풍, 밀양 23호와 일반계 품종인 화성, 진흥을 각각 현미, 백미, 겨로 구분하여 준비한 12가지 시료에서 추출한 극성지질의 조성을 TLC로 분별 정량하였고, 지방산 조성을 GC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당지질은 TLC 상에 6가지가 분리되었으며, esterified steryl glycosides(ESG) 함량이 가장 높고, monogalactosyl diglycerides(MGDG) 와 steryl glycosides(SG) 함량은 다음으로 둘은 비슷한 값이었다. 현미와 백미 그리고 겨의 ESG함량은 51.05%, 47.88%, 50.76%로 별 차이가 없었으며, MGDG는 겨에서 높았고, SG, cerebrosides(CB), digalactosyl diglycerides(DGDG)는 현미와 백미에 비해 낮았다. 2. 인지질은 TLC 상에서 7가지가 분리되었고 이중 phosphatidyl cholines(PC)와 phosphatidyl serines(PS)는 겹쳐져서 나타났으며, 한가지의 확인할 수 없는 물질이 있었다. 인지질 조성은 PC+PS가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현미중의 PC+PS가 62.08%로 가장 높았다. 다음이 PE로 시료 군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3.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현미와 백미에서는 총 지질, 중성지질의 조성과는 달리 palmitic acid의 함량이 30.84%, 34.13%로 매우 높아서 linoleic acid 함량과 비슷하였고 oleic acid 함량이 23.11%, 18.11%로 매우 낮았다. 이와 달리 겨는 oleic acid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이 linoleic acid 그리고 Palmitic acid 였다. 4.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현미의 경우 linoleic acid 함량이 39.2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oleic acid로 34.04% 였으며, palmitic acid는 22.60%였다. 백미는 linoleic acid 함량이 40.55%로 가장 높고, 다음이 palmitic acid였으며, oleic acid는 현미와는 달리 함량이 낮았다. 한편 겨는 현미, 백미와는 달리 남풍, 화성, 진흥에서 myristic acid 함량이 각각 37.53%, 44.20%, 45.42%로 가장 높고 linoleic, oleic, palmitic acid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밀양 23호 겨만이 oleic, linoleic acid 함량이 비슷하게 37% 정도였고, palmitic acid 20.52%, myristic acid가 2.02%로 현미, 백미의 조성 비율과 비슷하였다.

  • PDF

인삼근의 지질 분포 (Distribution of Lipids in Panax ginseng Root)

  • 김우갑;이창섭;정병갑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93-103
    • /
    • 1988
  • 인삼근의 구조적인 차이점에 따른 지질의 함량 및 지방질 조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chloroform-methanol로 추출한 지질을 column, thin layer, gas-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각 부위별 정제 지질은 1.08~2.23%로서 그 조성면에서 볼 때 중성지질은 64.2~73.5%였고 당지질은 15.4~17.4%였으며 인지질은 10.4~19.2%였다. 특히 피층에서는 중성지질의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이곳에만 특징적으로 존재하는 지질분비관에서 합성 분비된 중성지질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점은 조직화학적 관찰 결과 분비관 내강의 분비물질이 nile blue에 적색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더욱더 뒷바침 될 수 있었다. 중성지질 획분중에는 triglycerides, sterol esters and hydrocarbons 의 함량이 높았고 그외에 1,3-diglycerides, monoglycerides, 1,2-diglycerides, free sterols, free fatty acids와 미동정된 5종류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중심주에서는 unidentified II, IV 및 V가 검출되지 않은 점이 특이하였다. 당지질 획분 중에는 sterol glucoside, digalactosyl diglyceride 및 esterified sterol glucoside가 주성분이었고 미동정된 6종류가 검출되었다. 인지질 획분 중에는 phospatidyl glycerol,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주성분이었고 그 외에 phosphatidic acid, phosphatidyl inositol 및 미동정된 2종이 검출되었다. 각 부위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 획분 중에서 모두 18종류의 지방산이 동정되었는데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였으나 각 지방산의 함량은 부위별 및 지질분획에 따라서 다소 상이하였다.

  • PDF

식물성 유지의 홀수 지방산에 대하여(호도, 복숭아씨, 살구씨를 중심으로) (Studies on the Compositions of Odd number Fatty acid of Vegetability lipids)

  • 차월석;유의경김연순
    • KSBB Journal
    • /
    • 제8권1호
    • /
    • pp.49-54
    • /
    • 1993
  • 천연식품인 호도, 복숭아씨, 살구씨의 지방산 함량 과 홀수 지방산의 함량을 규명하기 위하여 HPLC를 사용하여 분리 정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시료의 조지방 함량은 호도 61.78%. 살구 씨 52.34%. 복숭아씨 48.21 %이고, 중성 지질량은 호도 62.32%, 복숭아씨 91.50%. 살구씨 88.0%이 고, 당지질은 호도 34.14%, 복숭아씨 3.25%. 살구 씨 4.78%이었고, 인지질은 호도 3.54%. 복숭아씨 5.25%. 상구씨 7.27%였다. 2. 중성지질의 지방산에서 호도의 홀수 지방산이 3 37.07%. 짝수 지방산이 36.72%. 복숭아씨의 홀수 지방산이 5.4%, 짝수 지방산이 94.60%. 살구씨의 홀수 지방산이 6.85%. 8 짝수 지방산이 93.92%였교, 당지질에서 호도의 홀수 지방산은 53.7%. 짝수 지 방산은 46.21 %. 복숭아씨의 홀수 지방산은 6.97% . 9 짝수 지방산은 93.03%, 살구씨의 홀수 지방산은 10.5%, 짝수 지방산은 89.42 %였고, 인지a질에서의 경우는 호도의 홀수 지방산이 3.57%, 짝수 지방산 이 96.43%, 복숭아써의 흘수 지방산이 6.51 %, 짝 수 지방산이 93.49%, 살구씨의 홀수 지방산이 15.0 % %, 짝수 지방산이 84.2%로 각각 함유되어 었다. 3. 총 지방산중 홀수 지방산은 호도 14.47%, 복 숭아씨 1.17%, 상구씨 4.03%이고, 짝수 지방산은 호도 85.53 %, 복숭아씨 98.83%, 삼구씨 95.97% 로 각각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수 있다.

  • PDF

잠용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Silkworn Pupae)

  • 김정호;박관화;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2호
    • /
    • pp.90-96
    • /
    • 1983
  • 잠사업(蠶絲業)의 부산물(副産物)인 잠용의 총지질함량(總脂質含量)은 35.37%(건물비(乾物比))로, diethyl ether-extract 34.47%, 85% methanol-extract 0.90%였다. Diethyl ether-extract부분에는 중성지질(中性脂質)이 96.07%, 당지질(糖脂質)이 2.89%, 인지질(燐脂質)이 1.04%였으나, 85% methanol-extract부분에는 중성지질(中性脂質)이 47.36%, 당지질(糖脂質)이 14.56%, 인지질(燐脂質)이 38.09%였다. Diethylether-extract부분의 중성지질(中性脂質)에서는 triglyceride(71.43%), free fatty acid(12.72%) 및 esterified sterol(8.12%)이 주요 구성지질(構成脂質)이었으며, 85% methanol-extract부분의 중성지질(中性脂質)에서는 free fatty acid(38.46%), triglyceride(34.21%) 및 free sterol(11.05%)이 주요 구성지질(構成脂質)이었고 esterified sterol은 존재치 않았다. Diethyl ether-extract에서는 5종류, 85% methanol-extract에서는 8종류의 당지질(糖脂質)이 검출(檢出)되었다. Diethyl ether-extract중의 인지질(燐脂質)은 phosphatidyl glycerol(41.01%), phosphatidyl choline(28.24%) 및 phosphatidyl ethanolamine(21.29%)이 주요구성지질이었으며 phosphatidyl inositol은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85% methanol-extract중의 인지질(燐脂質)은 phosphatidyl glycerol(48.38%), phosphatidyl inositol(22.81%) 및 phosphatidyl choline(17.86%)이 주요 구성지질(構成脂質)이었다. 총지질(總脂質)의 주요 지방산(脂肪酸)은 oleic acid(33.53%), linolenic acid(30.47%) 및 palmitic acid(23.12%)였고, 전체 지방산중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은 71.02%였으며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은 35.75%였다.

  • PDF

Bacillus subtilis DS660과 Paenibacillus polymyxa DS842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acillus subtilis DS660 and Paenibacillus polymyxa DS842)

  • 이다솔;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54-361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여러 미생물에 항균활성을 갖는 토양세균을 분리하고 그들이 생성하는 항균물질과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많은 세균 분리균주 중 Bacillus subtilis DS660과 Paenibacillus polymyxa DS842은 6가지 인간 피부 상재균과 3종의 병원성 세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DS660과 DS842 균주는 대부분의 대상 세균과 진균에 대하여 NA 배지 상에서 각각 직경 15.3~26.8과 11.3~27.5 mm의 생장 저해대를 형성하는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DS660과 DS842 균주는 siderophore를 생산하였는데 각각 $570{\pm}8$$1700{\pm}15{\mu}mol/ml$의 최대 생산량을 나타내었고, 균주 배양 상등액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의 분석은 그들의 glycolipid 계면활성물질 생성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배양 상등액의 표면장력을 60 mN/m에서 각각 40.3과 30.3 mN/m으로 현저하게 낮추는 계면활성을 보였다. 또한 두 균주는 $169.2{\pm}9.9$$357.2{\pm}13.7nmol/min/mg$ protein의 ${\beta}$-1,3-glucanase 생산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세균의 세포벽 성분을 용해하는 능력을 지녔다. 이러한 결과들은 B. subtilis DS660과 P. polymyxa DS842가 일부 중요한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효율적인 생물제어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Scenedesmus sp.로 부터의 지방 추출, 정제 및 특성 (Extraction, Purification and Property of the lipid from Scenedesmus sp.)

  • 김나영;오성호;최운용;이현용;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63-370
    • /
    • 2010
  • Lipid from Scenedesmus sp. was extracted, fractionated and purified by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Total lipid content of extract was $21.38{\pm}1.03$ wt%, and triacylglycerol, an index lipid for biodiesel production was detected. Ten species of $C_{16}{\sim}C_{22}$ with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 were identified showing the very adequate fatty acid profiles for biodiesel production with a good flow property at low temperature. The fractions of glycolipid, neutral and phospholipid were 52.64, 28.10 and 19.26% of total lipid, respectively. The triacylglycerol of 12.63% and chlorophyll a of 49.47% was fractioned using stepwise elution of n-hexane-diethyl ether (95:5, v/v) solvent. The high content of chlorophyll was considered as a potential source of value-added co-product.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Biosurfactant as an Antifungal Agent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us

  • YOO DAL-SOO;LEE BAEK-SEOK;KIM EUN-K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6호
    • /
    • pp.1164-1169
    • /
    • 2005
  • Characteristics of sophorolipid and rhamnolipid were evaluated as antifungal agents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Eight percent of mycelial growth of plant pathogen (Phytophthora sp. and Pythium sp.) was inhibited by 200 mg/l of rhamnolipid or 500 mg/l of sophorolipid, and zoospore motility of Phytophthora sp. decreased by $90\%$ at 50 mg/l of rhamnolipid and $80\%$ at 100 mg/l of sophorolipid. The effective concentrations for zoospore lysis were two times higher than those of zoospore motility inhibition. The highest zoospore lysis was observed with Phytophthora capsici; $80\%$ lysis at 100 mg/I of di-rhamnolipid or lactonic sophorolipid, showing the dependency of structure on the lysis. In the pot test, the damping-off disease incidence ratio decreased to $42\%\;and\;33\%$ of control value at 2,000 mg/l sophorolipid and rhamnolipid,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e potential of microbial glycolipid biosurfactants as an effective antifungal agent against damping-off plant pathogens.

Quality of Low Fat Chicken Nuggets: Effect of Sodium Chloride Replacement and Added Chickpea (Cicer arietinum L.) Hull Flour

  • Verma, Arun K.;Banerjee, Rituparna;Sharma, B.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2호
    • /
    • pp.291-298
    • /
    • 2012
  • While attempting to develop low salt, low fat and high fibre chicken nuggets, the effect of partial (40%) common salt substitution and incorporation of chickpea hull flour (CHF) at three different levels viz., 5, 7.5 and 10% (Treatments) in pre-standardized low fat chicken nuggets (Control) were observed. Common salt replacement with salt substitute blend le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pH, emulsion stability, moisture, ash,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values while incorporation of CHF in low salt, low fat products resulted in decreased emulsion stability, cooking yield, moisture, protein, ash, color values, however dietary fibre and textural properties were increased (p<0.01). Lipid profile revealed a decrease in total cholesterol and glycolipid contents with the incorporation of CHF (p<0.01). All the sensory attributes except appearance and flavor, remained unaffected with salt replacement, while addition of CHF resulted in lower sensory scores (p<0.01). Among low salt, low fat chicken nuggets with CHF, incorporation CHF at 5% level was found optimum having sensory ratings close to very good. Thus most acceptable low salt, low fat and high fibre chicken nuggets could be developed by a salt replacement blend and addition of 5% CHF.

Biosurfactant Production from Novel Air Isolate NITT6L: Screening, Characterization and Optimization of Media

  • Vanavil, B.;Perumalsamy, M.;Rao, A. Seshagir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9호
    • /
    • pp.1229-1243
    • /
    • 2013
  • In this paper, an air isolate (NITT6L) has been screened based on hemolytic activity, emulsification activity, drop collapsing test, and oil displacement test, as well as lipase activity. It was found that strain NITT6L was able to reduce the surface tension of the medium from 61.5 to 39.83 mN/m and could form stable emulsions with tested vegetable oils. Morphological, biochemical, 16S rRNA sequencing analyses, and fatty acid methyl ester analysis using gas chromatography confirmed that the air isolate under study was Pseudomonas aeruginosa. Characterization of the biosurfactant using agar double diffusion assay revealed that the biosurfactant was anionic in nature, and CTAB-methylene blue assay and Molisch test revealed its glycolipid nature. The FT-IR spectrum confirmed that the crude biosurfactant was a rhamnolipid. Using unoptimized medium containing sucrose as the carbon source, the isolate was found to produce 0.3 mg/ml of rhamnolipid in batch cultivation (shake flask) at $37^{\circ}C$ and pH 7. Optimization of the medium components was carried out using design of experiments and the yield of rhamnolipid has been enhanced to 4.6 mg/ml in 72 h of fer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