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ven name

Search Result 25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한반도 미기록속 식물: 대청지치(지치과) (The first record of Thyrocarpus glochidiatus (Boraginaceae) in Korea)

  • 양종철;이유미;박수현;하상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73
    • /
    • 2010
  •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도에서 발견된 지치과 미기록속의 1분류군을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 분류군은 중국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Thyrocarpus glochidiatus Maximowicz로서, 한국명은 발견된 지역명을 따라 '대청지치'로 명명하였다. 이 분류군에 대한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고, 도해 및 생태 사진을 제시하였다.

국내 학술논문의 동명이인 저자명 식별을 위한 방법 (A Method for Same Author Name Disambiguation in Domestic Academic Papers)

  • 신다예;양기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1-319
    • /
    • 2017
  • 저자명 식별이란 다른 이름으로 표기된 한 명의 개인을 식별하는 것과 같은 이름을 가진 서로 다른 저자들을 각기 구별된 개인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저자의 연구 목록 및 연구 업적 평가, 특정 분야의 전문가를 검색하거나, 인용색인과 같은 학술 정보 서비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연구는 단순 머신러닝만을 사용한 실험 결과와 휴리스틱 방식으로 데이터 셋의 오류 수정 및 정규화 작업을 이후 머신러닝의 처리 과정에 룰 베이스 기반의 규칙을 부여한 저자명 식별 실험의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인간의 개입이 머신러닝의 단점을 보완하고 저자명 식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F-measure 0.1 이상 향상시킨 정규화 된 email기반의 룰 베이스 저자식별 결과로 정규화 과정과 휴리스틱 설정에 필요한 인간의 패턴인식과 추론능력이 머신러닝의 단점을 보완해줄 수 있음에 대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의방류취(醫方類聚)"의 인용서(引用書)에 관한 연구(1) (A study of the reference books of ${\ulcorner}$Classified Collection of Medical Prescriptions${\lrcorner}$)

  • 최환수;신순식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7-40
    • /
    • 1997
  • ${\ulcorner}$Classified Collection of Medical Prescriptions${\lrcorner}$(${\ulcorner}$醫方類聚${\lrcorner}$ is a medical book which classifies and edits the existing books. First of all, it is not until finishing the study of reference books that we can study the ${\ulcorner}$Classified Collection of Medical Prescriptions${\lrcorner}$ in earnest. We did not take traditional non-systematic methods to study the reference books of ${\ulcorner}$Classified Collection of Medical Prescriptions${\lrcorner}$ systematically. We investigated the title of 'reference book's name' as a reference book and did not investigate re-reference books. The number of reference books are one hundred forty-two volumes. Most of the reference books are medical books; some books are about Taoism and Buddhism. The title of the reference books are given a name by various methods. But these methods have a lot of problems. First, the same title book misapply an alias, the original text name and an abbreviated name. Second, a chapter name misapplies reference books. Third, reference books misapplies a chapter name. Forth, the writer and book name misapplies reference books and so on. From quotation collection about ${\ulcorner}$Classified Collection of Medical Prescriptions${\lrcorner}$'s characteristic point fellows below in three kinds. First, it emphasizes medical therapy. Second, most of Song(宋) period, Geum Yuan(金 元) period of China reference books take place in here. During this period it had accepted studying theory from clinical accumulation and the result of re-clinical studies reception based on theory research, and also had accepted Geum Yuan's expansive theory. Third, by adding technical books of a professional assortment, it has raised its profession of division.

  • PDF

토착지명, 지리적 실체, 그리고 인식의 문제 -동해/일본해 표기 사례- (Endonym, Geographical Feature and Perception: The Case of the Name East Sea/Sea of Japan)

  • 주성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61-674
    • /
    • 2009
  • 최근 유엔지명전문가회의에서는 두 개 이상의 국가에 걸치거나 국경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지리적 실체가 갖는 이름이 어떤 지위를 가질 것인가에 대하여 활발한 토론이 진행되었다. 두 개의 상반된 견해가 제시되었는데, 하나는 어떤 실체가 위치한 곳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표기된 지명은 그 경계 내에서만 토착지명이라는 관점이며, 다른 하나는 어떤 언어로 표기된 지명은 전체에 대하여 토착지명이라는 관점이다. 전자는 지리적 실체가 나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부분적 관점, 후자는 지리적 실체를 나뉘지 않는 전체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전체적 관점이라고 부를 수 있다. 부분적 관점에서는 적어도 한국의 영해에서는 '동해'라고 불러야 한다는 점, 전체적 관점에서는 바다 전체에 대해 '동해'는 토착지명이 된다는 점 등에서 볼 때, 어떤 관점에서도 '동해'지명은 존중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지리적 실체를 나눌 수 있고 각 부분은 다른 형태의 지명을 가질 수 있다는 부분적 관점을 지지한다. 지리적 실체의 분리에 대해서는 지역 주민들이 자신의 것으로 인식하는 바다의 경계를 사용해야 한다. 영어로 표기된 East Sea는 토착지명 '동해'의 번역된 형태로 분류하는 방안이 제안된다.

캐릭터를 의류상품에 응용하기 위한 신세대 소비자 정보 분석 (Analysis of Young Adult Information Concentrating on the Significance of Application of Cartoon Characters on Garments)

  • 김칠순;조예진
    • 복식
    • /
    • 제51권4호
    • /
    • pp.31-4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arge representative data base for character goods marketing strategy. The study was to determine character name awareness in relation to segmented distribution regions and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sex and age. The author also analyzed preferred design. A total of 3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59 reliable on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 SAS statistical package including frequency tables and Chi square test and factor analysis and Kendall′s relation analyses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 : character name awareness involves "character name decognition" based on asking subjects to identify character names from 50 given names. "Tele-tubbies" was found to be a dominant commercial character name as a result of the recognition test, and "Sailer-moon" was found to be a dominant animation character goods as a result of the recognition test. Character recogn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egmented distribution legions, three age groups and different sex groups. People considered design first in purchasing any character goods, and they considered color second in purchasing them. The most favored part of garment far character to be stitch to was the center front in the T-shirt/dress shirt, the center back in the Jumper/jacket, back pocket in the trousers/skirt. The results of a Chi-square test showed that preferred part in the trousers/skirt of character was related with age variables.

  • PDF

국내에 수입되는 어류의 코드 부여를 위한 목록 재정립 (Reestablishment of the List for Code Assignment for Fish Imported into Korea)

  • 한경호;강충배;김진구;이성훈;문찬웅;차상훈;이진;우진주;한승조;최원준;김희진;유태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53-373
    • /
    • 2022
  • Many fish species are imported into Korea from various countries. However, in the case of some fish species, there are many that do not have Korean names. Species similar in morphology to domestically produced aquatic products are often disguised as being domestically produced and distribute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species list for 1,032 fish imported into Korea. Fish species that have not been given Korean names have been given a Korean name using a scientific method to prevent confusion during seafood distribution. Standards for naming stingrays, skates, and mackerel, which are often confused when a country name is being assigned are presented.

흔하지 않은 이름의 최고경영자와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최고경영자 특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CEOs with Unusual Names and R&D Intensity: Moderating Role of CEO Characteristics)

  • 권도균;이승혜;김양민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4호
    • /
    • pp.175-189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name uncommonness and R&D intensity while focusing on CEO ownership and CEO tenure as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various American databases such as national data on given names from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COMPUSTAT, and Execucomp.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s 2,494 (firm-year) observations from U.S. firms between 2005-2011. This study conducts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 (FGLS)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es. Findings - First, we found CEO name uncommon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R&D intensity. In other words, CEOs with unusual names prefer being distinctive by increasing R&D investments. Second, we examine the moderating roles of CEO characteristics (i.e., CEO ownership and tenure). The results show that CEO tenure strengthen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EO name uncommonness and R&D intensity.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First, this study extends the CEO characteristics and R&D literature by investigating how CEO name uncommonness affects R&D intensity. In addition, our study also supports the intitutionalization of CEO power arguments by showing that CEOs with unusual names are more likely to pursue distinctive strategies when they have longer tenure. For practical implications, our results allow the investors to better predict corporate future R&D expenses. It suggests that ceteris paribus, CEOs with unusual names, vis-a-vis CEOs with common names, are more likely to increase R&D expenses.

사물주소 부여대상 확대 방안 연구 (A Study on Extending of the Addressable Object of Address of Things)

  • 양성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1호
    • /
    • pp.75-87
    • /
    • 2024
  • 사물주소는 공법 상 주소가 아니라는 점에서 행정력 측면의 차이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위치표현이라는 측면에서는 오히려 도로명주소와 동일 또는 그 이상으로 더 유연하고 세밀하게 위치표현이 가능하므로 도로명주소와 함께 전 국토의 위치를 표현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부여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기존 도로명주소법, 건축법, 주소정보기본도작성·관리규정 등의 관련 법령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로명주소와 사물주소를 비교한 결과 사물주소체계가 가진 근원적인 한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크게 제도척 측면과 부여대상 측면으로 구분하여 사물주소 체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도적 측면으로는, 첫째 주소부여대상이라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함께 통일을 통해 상하위 법령의 개선이 필요하고, 둘째 건축법 상건물 중 거주에 사용되지 않는 시설물에는 사물주소로 통일하여 부여하며, 셋째 사물주소 부여대상을 지형지물의 유형별로 주소정보기본도의 등록사항을 구분함으로써 이종의 공공데이터와 연계 활용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부여대상 측면에서는, 첫째 특정 시설물에는 모두 사물주소가 부여되어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도록 해당 범주의 모든 시설물에 부여해야 하고, 둘째 아무런 시설물이 없어도 다수가 이용하는 장소에는 사물주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로명주소의 주소정보기반대상 등록 제도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Registration System for Address Information Reference Object of Addressing Road Name Address)

  • 양성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2호
    • /
    • pp.21-34
    • /
    • 2021
  • 도시 내에서 도로의 역할과 도로명주소법의 취지를 고려하면 주소지의 도로명은 해당 건물과 접한 가장 가까운 도로구간으로 등록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렇기 때문에 도로명주소법 시행령에서도 시장 등은 건물 등의 주된 출입구가 접하는 도로구간의 기초번호를 기준으로 건물번호를 부여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도로명주소 중에 인접한 도로가 아닌 다른 도로로부터 주소가 부여된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대부분은 출입구가 둘 이상의 도로에 접해 있는 경우에 대한 잘못된 해석으로 발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현재의 건물번호 부여 방식이 가진 한계점을 실증하여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주소정보기반대상의 정확한 선정이 가능토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제도적, 시스템적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도로명주소는 지번방식 주소가 가진 위치찾기에서의 불편함을 개선하는 것을 핵심적인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여전히 일부에서는 도로명주소의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음에도 성공적인 정착이 가능했던 것은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사용하고 도로를 따라 건물을 찾아갈 수 있다는 직관적인 원칙때문이었다. 그러므로 정확한 주소정보의 품질관리와 관련 산업 활성화라는 측면에서도 제도 및 시스템 개선이 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바다 이름의 국제적 표준화 사례와 동해 표기 정당화에의 시사점 (The Cases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Sea Nam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Justifying the Name East Sea)

  • 주성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45-760
    • /
    • 2007
  • 이 연구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바다 이름을 그 기원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국가명을 사용하는 바다 이름과 두 개의 이름을 병기하는 경우에 주목하여 동해-일본해 이름을 둘러싼 논리를 평가하고자 한다. '해양과 바다의 경계' 책자에 수록된 98개 바다의 110개 이름을 분석한 결과, 인근 지리적 실체의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개인 이름, 방위, 바다의 특성 등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원의 바다 이름은 해양을 나누는 열도나 반도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이라고 하는 일본의 주장과 배치된다. 여러 국가에 접하고 있는 바다가 한 국가 이름을 사용하면서도 심각한 분쟁이 없는 경우가 많은 것은 단일 국가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부당하다는 네거티브 방식의 주장보다는 동해 명칭의 강력한 상징성을 강조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시사점을 준다. 병기의 필요성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최근 병기가 결정된 세 개의 사례로부터 해당 지역과 명칭의 역사적 배경, 인식, 관련 국가의 세력 구조, 병기의 과정 등의 측면에서 시사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동해에 유라시아의 동쪽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극동지역에 대한 서양인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이 지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