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oside Rg3

검색결과 544건 처리시간 0.034초

Whitening and inhibiting NF-κB-mediated inflammation properties of the biotransformed green ginseng berry of new cultivar K1, ginsenoside Rg2 enriched, on B16 and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Xu, Xing Yue;Yi, Eun Seob;Kang, Chang Ho;Liu, Ying;Lee, Yeong-Geun;Choi, Han Sol;Jang, Hyun Bin;Huo, Yue;Baek, Nam-In;Yang, Deok Chun;Kim, Yeon-J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631-641
    • /
    • 2021
  • Background: Main bioactive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functions of ripened red ginseng berry (Panax ginseng Meyer) have been frequently reported. Yet, the research gap targeting the beneficial activities of transformed green ginseng berries has not reported elsewhere. Methods: Ginsenosides of new green berry cultivar K-1 (GK-1) were identified by HPLC-QTOF/MS. Ginsenosides bioconversion in GK-1 by bgp1 enzyme was confirmed with HPLC and TLC. Then, mechanisms of GK-1 and β-glucosidase (bgp1) biotransformed GK-1 (BGK-1) were determined b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Results: GK-1 possesses highest ginsenosides especially ginsenoside-Re amongst seven ginseng cultivars including (Chunpoong, Huangsuk, Kumpoong, K-1, Honkaejong, Gopoong, and Yunpoong). Ginseng root's biomass is not affected with the harvest of GK-1 at 3 weeks after flowering period. Then, Re is bioconverted into a promising pharmaceutical effect of Rg2 via bgp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ell assays, BGK-1 shows decrease of tyrosinase and melanin content in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challenged-murine melanoma B16 cells. BGK-1 which is comparatively more effective than GK-1 extract shows significant suppression of the nuclear factor (NF)-κB activation and inflammatory target genes,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Conclusion: These results reported effective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of BGK-1 as compared to GK-1.

수삼의 추출 온도 및 시간이 물 추출액의 사포닌 함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on Saponin Content and Quality in Raw Ginseng (Panax ginseng) Water Extract)

  • 한진수;리상국;박용준;강선주;남기열;최재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52-356
    • /
    • 2009
  • In this study, raw ginseng water extract solutions were analyzed to set up the functional saponin content and quality optimization condition. The highest saponin content among the total raw ginseng water extracts was $74.6\;mg/100\;m{\ell}$ which was extracted at $75^{\circ}C$ for 24 hours. In addition, the saponin content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The highest total content of $Rb_2$ and Re was $19.9\;mg/100\;m{\ell}$ at $75^{\circ}C$ for 12 hours which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extracted temperature and time. The highest prosapogenin ($Rg_2\;+\;Rg_3\;+\;Rh_1$) content among the total raw ginseng water extracts was $28.6\;mg/100\;m{\ell}$ which was extracted at $85^{\circ}C$ for 36 hours. The reducing sugar content, sweetness and turbidity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But pH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extracted time.

HPLC-based metabolic profiling and quality control of leaves of different Panax species

  • Yang, Seung-Ok;Lee, Sang Won;Kim, Young Ock;Sohn, Sang-Hyun;Kim, Young Chang;Hyun, Dong Yoon;Hong, Yoon Pyo;Shin, Yu S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2호
    • /
    • pp.248-253
    • /
    • 2013
  • Leaves from Panax ginseng Meyer (Korean origin and Chinese origin of Korean ginseng) and P. quinquefolius (American ginseng) were harvested in Haenam province, Korea, and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patterns in major metabolites using HPLC-based metabolic profiling. 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PLS-DA) was used to analyze the the HPLC chromatogram data. There was a clear separation between Panax species and/or origins from different countries in the PLS-DA score plots. The ginsenoside compounds of Rg1, Re, Rg2, Rb2, Rb3, and Rd in Korean leaves were higher than in Chinese and American ginseng leaves, and the Rb1 level in P. quinquefolius leaves was higher than in P. ginseng (Korean origin or Chinese origin). HPLC chromatogram data coupled with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can be used to profile the metabolite content and undertake quality control of Panax products.

$A_{23187}$과 2가 이온에 의해 일어나는 $K^{+}$ 이온과 $H^{-}$ 이온의 흐름에 미치는 Triterpenoidal Dammarane Serids의 Glycosides와 그 Aglycones의 영향 (The Action of Triterpenoidal Glycosides of Dammarane Series and Their Aglycones on $K^{+}$ and $H^{-}$ Fluxes in Erythrocytes, Induced by lonophore $A_{23187}$ and Divalent ions)

  • Kim, Yu.A.;Park, Kyeong-Mee;Kyung, Jong-Su;Hyun, Hak-Chul;Song, Yong-Bum;Shin, Han-Jae;Park, Hwa-J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68-172
    • /
    • 1996
  • Ginsenoside Rb,, at a concentration of 10 $\mu\textrm{g}$/ml and over, initiated the cycle of oscillation of ion flux in erythrocytes after the cells had been treated with a protonophore, carbonyl cyanide p-trifluoro-methoxyphenyl hydrazone (FCCP) and then with a $Ca^{2+}$ ionophore, A23,3,. Its action was similar to the additional portion of $Ca^{2+}$-ionophore or $Ca^{2+}$ ion to the erythrocytes. Effects of $Rg_1$ and Rf were different from that of Rb,. They did not induce the oscillation. They, however, increased the extracellular $K^{+}$ concentration and pH without returning to the initial state in the erythrocytes processed with FCCP and $A_{23187}$. We established that ginsenosides from 20-(5)-panaxatriol family induced the membrane hyperpolarization in erythrocytes, which was attenuated by the pretreatment of $Rb_1$, a major component of 20-(5)-panaxadiol.

  • PDF

한국인삼(韓國人蔘)의 Saponin에 관(關)한 연구(硏究)제3보(第三報) -산지별(産地別), 부위별(部位別), 재배기간별(栽培期間別) 인삼(人蔘) 및 가공중(加工中) Saponin함량(含量)에 관(關)하여- (Saponin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Part III) -Saponins of ginseng by the cultivating locations, sampling seasons, plant parts, growing stages and the processings-)

  • 조성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2호
    • /
    • pp.188-204
    • /
    • 1977
  • 인삼(人蔘)의 유효성분(有效成分)으로 알려진 saponin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전개(展開)하여 Digital Densitometer를 사용(使用)하여 한국인삼(韓國人蔘)의 산지별(産地別), 부위별(部位別), 재배연도별(栽培年度別) saponin함량(含量) 및 그 saponin fraction의 조성비(組成比)를 정량(定量)하고, 홍삼(紅蔘) 및 인삼(人蔘)엑기스 제조중(製造中) 일어나는 saponin함량(含量)의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산지별(産地別) saponin 함량(含量)에는 별로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panaxad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군(群)과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군(群)의 조성비(組成比)는 ($1.7{\sim}2.6$) : 1정도였다. 2. 부위별(部位別)로 볼 때, saponin함량(含量)은 미삼(尾蔘)이 12.7%로서 3.3%인 백삼(白蔘)의 4배에 가까운 높은 값을보였다. 그리고 saponin fraction별(別)로 볼 때, panaxad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도 미삼(尾蔘)이 백삼(白蔘)보다 많으나,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은 반대(反對)로 미삼(尾蓼)이 백삼(白蔘)보다 적었다. TLC의 2차원전개결과(次元展開結果), ginsenoside-Rd는 백삼(白蔘)에만 나타나고, 미삼(尾蔘)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반면(反面), Rf와 $Rg_1$은 미삼(尾蔘)에서는 분리(分離)되었으나, 백삼(白蔘)에서는 $Rg_1$만이 존재하고, Rf는 분리(分離)되지 않았다 3. 재배연도별(栽培年度別) 근부(根部)의 saponin함량(含量)은 재배기간(栽培其間)에 따라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찾아볼 수 없으나, 인삼근당평균(人蔘根當平均) saponin함량(含量)은 2년근(年根)이 90.3mg, 3년근(年根)이 254.2mg. 4년근(年根)이 404.2mg, 5년근(年根)이 996.9mg, 6년근(年根)이 1377.1mg으로 재배기간(栽培其間)이 길어질수록 현저(顯著)하게 높았다. 그리고 인삼지상부(人蔘地上部)의 saponin함량(含量)도 재배기간(栽培其間)에 길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傾向)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saponin fraction별(別)볼 때는 $5{\sim}6$년(年)의 수확기(收穫期)에 가까워질수록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4. 홍삼제조중(紅蔘製造中)의 saponin fraction별(別) panaxad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의 조성비(組成比)도 건삼(乾蔘)에 비(比)하여 홍삼(紅蔘)이 낮아졌으나,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의 조성비(組成比)는 건삼(乾蔘)에 비(比)하여 홍삼(紅蔘)이 오히려 높았다. 홍삼(紅蔘)의 Thin layer chromatogram에는 건삼(乾蔘)의 그것에 나타나지 않았던 수개(數個)의 미확인(未確認) spot를 더 볼 수 있었다. 5. Ethanol과 물로 미삼(尾蔘)을 추출(抽出)하여, 29.9%의 인삼(人蔘)엑기스를 얻었는데, 이 엑기스에는 미삼(尾蔘)으로부터 추출수율(抽出收率)이 94.2%에 상당(相當)하는 saponin이 이행(移行)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 PDF

Impulse-Vacuum System을 이용한 홍삼엑스의 추출 (Extraction of Red Ginseng Extract by Impulse Vacuun System)

  • 김천석;곽이성;신창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24-327
    • /
    • 1999
  • 추출 시간을 5시간으로, 추출 온도를 33-5$0^{\circ}C$로 설정한 진공역적방식 조건과 8$0^{\circ}C$의 고온의 다중단 추출방식 간의 조사포닌 함량비교 결과, 고온의 다중단 추출방법으로 제조한 흥삼엑스의 조사포닌 함량이 8.1-8.2%인데 비하여, 저온 및 단시간 추출인 진공역적 추출방법은 조사포닌 함량이 5.4-5.9%로 조사포닌 함량은 낮은 반면에 사포닌 Rg$_1$ 및 Re의 분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공역적 추출방법이 다중단 추출방식보다 수율에서도 15-20%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진공역적추출 엑스의 색상은 기존 다중단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엑스와 유사하였고, 유동성은 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팽화 가공에 따른 홍삼과 백삼의 성분변화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and White Ginseng after Puffing)

  • 김상태;장지현;권중호;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5-361
    • /
    • 2009
  • 백미삼(지근), 홍미삼(지근), 홍삼절편Ⅰ(주근: 수삼-증삼-건조-습점-절편-건조) 및 홍삼절편II(주근: 수삼-절편-증삼-건조)을 puffing gun으로 팽화시켜 그 전후의 성분특성을 조사하였다. 팽화 후 기화로 인해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다른 일반 성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당의 경우 팽화 후 모든 시료에서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당의 경우 백미삼을 제외한 홍삼류 시료에서 증가 경향을 보였다. 모든 시료에서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홍삼류 시료들은 일부 ginsenoside에서 2배 이상의 증가량을 보였다. 또한 팽화 후 산성 다당체가 증가하였을 뿐만아니라 총 페놀성 화합물과 전자공여능의 경우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여 팽화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전반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팽화 후 아미노산 함량 및 지방산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백미삼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무기질 함량은 팽화 전후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모든 시료에서 일반 성분, 무기질 등의 함량변화 없이 약리활성을 가지는 조사포닌, 총 페놀성 화합물, 산성 다당체 등의 성분들이 팽화 가공으로 인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부가가치의 인삼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하여 팽화가공법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발효산삼배양근농축액의 산화방지 효과 및 과산화수소로 유발된 PC12 세포독성 보호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cultured and fermented wild ginseng extracts on oxidative stres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in PC12 cells)

  • 최여옥;김유리;신승용;이재근;김철중;이예지;강병주;김관수;최지은;한범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83-390
    • /
    • 2018
  • 대부분의 신경퇴행성질환은 산화스트레스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세노사이드 Rg5와 Rk1을 함유하고 있는 발효산삼배양근 농축액인 HLJG0701의 산화방지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HLJG0701는 효과적인 DPPH와 ABTS 라디칼제거능을 나타냈으며($IC_{50}$: 16배, 4배 희석액), 황산철(II) 유도군의 지방질 과산화물 발생 비교 시, 용량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8배 희석액: 2.3 nM, 4배 희석액: 1.5 nM). HLJG0701의 세포 보호 효과를 MTT, LDH 분석으로 평가한 결과, 8, 16, 32, 64배 희석액의 HLJG0701를 처리한 경우 70, 53, 35, 26%의 세포생존율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LDH 방출 측정 결과, $H_2O_2$로 인해 3.6배까지 증가한 LDH 활성은 8배 희석액의 HLJG0701 처리 시 1.3배 수준까지 감소하였다. 또한 HLJG0701가 PC12세포에 발생한 산화스트레스 DCF-DA 분석(16배 희석액: 50% ROS 억제, 4배 희석액: 68% ROS 억제), TBARS (16배 희석액: 50.7% 감소, 4배 희석액: 46.5% 감소), GPx (16배 희석액: 133.3% 증가, 4배 희석액: 227.3% 증가), 그리고 SOD (16배 희석액: 118.2% 증가, 4배 희석액: 218.2% 증가)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위 결과는 HLJG0701가 산화방지 효능을 매개로 신경세포를 보호함으로써 신경퇴행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후보물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임상시험 등 다양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새싹인삼의 크기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ginsenoside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the size of ginseng sprout has produced in a plant factory)

  • 황승하;김수철;성진아;이희율;조두용;김민주;정재각;정은혜;손기호;조계만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3호
    • /
    • pp.253-26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식물공장을 통해 생산된 새싹인삼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진세노사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지상부의 경우 총 phenolic 함량은 중간 크기인 M에서 5.16 GAE mg/g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큰 크기인 L에서 2.23 GAE mg/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지하부 역시 M 크기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총 flavonoid 함량 역시 지상부(5.16 RE mg/g) 와 지하부(1.28 RE mg/g) 모두 M 크기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지상부의 주요 진세노사이드는 Re (20.33-24.15 mg/g) > Rd (11.36-27.42 mg/g) > Rg1 (4.48-5.54 mg/g) 순 있었고 지하부는 Rb1 (5.09-8.61 mg/g) > Re (4.48-5.54 mg/g) > Rc (3.11-4.11 mg/g) 순 있었다. M 크기의 경우 Re와 Rd는 각각 지상부에서 24.15 mg/g과 27.42 mg/g 및 지하부에서 5.20 mg/g과 1.43 mg으로 약 4배와 19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지상부에는 F3 및 Rh1이 검출되었으나, 지하부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DPPH (74.95%)와 ABTS (94.47%), hydroxyl (70.39%) 라디칼 소거 활성 및 FRAP (2.169) 활성은 다른 크기들보다 M 크기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