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cultivation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24초

인삼 중 Diethofencarb의 재배포장 및 가공에 따른 잔류특성 (Residual Characteristics of Diethofencarb during Ginseng Cultivation and Processing)

  • 나은식;이용재;김성수;서현석;류준상;조승현;노현호;김단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3-88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diethofencarb during ginseng cultivation and processing, and to establish the maximum residue limits (MRL) of ginseng and its processed products. METHODS AND RESULTS: Supervised field trials were conducted from three fields located at Seosan, Goesan and Jeongeup in Korea. Diethofencarb 25% WP was diluted by 500 times and sprayed 4 times onto the ginseng with 10 days interval.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80 days after final application. The residual amounts of diethofencarb ranged from 0.074 to 0.460 mg/kg in fresh ginseng, from 0.292 to 0.720 mg/kg in dried ginseng, and from 0.208 to 0.557 mg/kg in red ginseng. These data exceeded the ginseng's MRL, 0.3 mg/kg. The processing factors of diethofencarb in processed products were found to be 2.64 and 1.99, respectively for dried and red ginseng. CONCLUSION: Given the lower residual concentration of red ginseng that goes through a more complicated process than dried ginseng, the residual concentrations of diethofencarb in processed ginseng products were found to be dependent on processing meth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MRL of diethofencarb in fresh ginseng and its processed products.

재배조건 및 채굴시기가 연포장재 필름으로 개별포장한 수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ultivation Condition and Harvest Time on the Storage Stability of Fresh Ginseng Individually Packaged in a Soft Film)

  • 손현주;김은희;성현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94-100
    • /
    • 2001
  • The influence of cultivation condition and harvest time on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resh ginseng (50g) individually packaged in a soft film bag (ONY/LDPE/L-LDPE; 200$\times$300 mm, 90㎛) was investigated. When the fresh ginseng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direct-planted ginseng on the paddy soil(PD), transplanted ginseng on the upland(UT) and each group was stored at 25$\^{C}$ for 40 days, the quality deterioration rate was the highest in PD group while PT, UD and UT groups exhibited similar quality patterns from each other. When each group was stored at 10$\^{C}$, the quality deterioration rate was also the highest in PD group and the other three groups exhibited similar quality patterns from each other till 90 days passed after storage. However, the quality deterioration rate of UT group was 54% which was higher than UD group or PT group 180 days after storage. When the fresh ginseng harvested between September of 1997 and October of 1998 was individually packaged with the soft film and stored at 25$\^{C}$ for 12 days, the quality deterioration rate was the lowest in the group harvested in October while relatively high in the groups harvested between July and September.

  • PDF

토양세균군집과 산양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 연구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il bacterial communit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 김기윤;엄유리;정대희;김현준;김만조;전권석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380-388
    • /
    • 2019
  • 본 연구는 전국 임의의 산양삼 재배지를 선정하여 재배지 내의 토양 특성 및 토양세균군집을 분석하고, 토양 이화학적 특성, 토양세균군집 및 산양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토양세균군집 분석은 pyrosequencing analysis (Illumina platform)를 이용하였고, 토양세균군집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는 Spearman's rank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8개 산양삼 재배지로부터 분리한 토양세균군집은 2개의 군집으로 군집화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든 토양샘플에서 Proteobacteria와 Alphaproteobacteria가 각각 35.4%, 24.4%로 가장 높은 상대적 빈도수를 보였다. 산양삼의 생육은 토양 pH가 낮고 Acidobacteria의 상대적 빈도수가 높은 토양에서 증가하였으며, Acidobacteriia (class)와 Koribacteraceae (family)의 상대적 빈도수는 산양삼의 생육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토양세균군집과 산양삼 생육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고, 나아가 산양삼 재배 이전에 산양삼의 생육에 유용한 토양세균군집을 확인할 수 있다면 산양삼 재배적지를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양이화학성과 더불어 임상 및 주변식생에 따른 토양세균군집과 산양삼 생육특성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를 추가로 수행한다면 보다 명확한 정보를 대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Justification of eco-friendly organic ginseng products and the product R&D

  • Shin, W.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35-38
    • /
    • 2011
  • In order to cope with change of Korean and global consumption trend, it is forecast that GAP cultivated ginseng & its processed products, Organic cultivated ginseng & its processed products, Sanyangsam & its processed products as well as existing white ginseng (products), red ginseng (products), Taekuksam (products), black ginseng (products) will enter into market and customer demands will create new consumption. Eventually, it is considered that the time has come for considering and carrying out together for raw material cultivation and produc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rocessed products and export and distribu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강화 지역의 인삼 재배 역사 (The history of ginseng cultivation in Ganghwa area)

  • 이성동
    • 인삼문화
    • /
    • 제2권
    • /
    • pp.9-16
    • /
    • 2020
  • 우리나라 한방 의서 중 인삼의 첫 기록은 고려 시대 임시 수도인 강화 도읍기 때 강화도에서 출간된 향약구급방에 나타나 있다. 강화지역에서 인삼재배의 시작은 1100년경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본격적인 인삼재배 시작은 1920년경 개성인삼조합의 특별구역으로 지정되면서부터였고, 1950년 한국전쟁 시작 때까지 계속되었다. 1953년 휴전 이후부터 강화지역에서 인삼재배가 다시 시작되었다. 1967년에 강화삼업조합이 창립되었으며, 이때 재배 면적이 약 200ha(60만평)이었고, 1974년에 약 900ha(270만평)으로 증가 되었다. 따라서 강화는 1970년대 중반기에 우리나라 전국 시, 군 가운데 인삼재배 면적과 생산량이 가장 높은 지역이였다. 강화지역에서 생산되는 인삼은 주로 6년근이고, 홍삼원료로 사용되어 국내 인삼생산지로 더욱 유명하게 되었고, 그 명성이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새싹인삼 재배를 위한 투광 분산형 태양광 모듈 개발 및 자연채광 재배시스템 해외 실증연구 (Development of Light Distributed Solar Modules for Growing Sprout Ginseng and Overseas Empirical Research on Natural Lighting Cultivation System)

  • 강성환;최재호;정인성;임경열;박재우;응우옌 후 호앙;김종일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24-30
    • /
    • 2024
  •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growing ginseng sprouts, we developed a solar module that partially transmits and disperses light. A G to G type light transmission and dispersion solar module was developed using glass with a mist pattern applied, and the light dispersion effect of the developed module was confirmed through illuminance measurement. The output of one module is approximately 260 W, and the configuration consists of 48 cells in series in 4 strings. The cultivation system where the developed module will be installed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and three units of 2.6 kW (260 W x 10 EA).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ystem consists of a shading screen, air conditioner, ventilator, plastic pot, etc.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cultivating sprout ginseng. As a result of actually planting sprout ginseng, it was confirmed through verification that the plants were grown without any problems.

서지학적 고증을 통한 고려인삼의 정체성 : 기미(氣味), 효능을 중심으로 (Identity of Korean ginseng through bibliography - Focusing on Kimi(property) and efficacy)

  • 고성권
    • 인삼문화
    • /
    • 제1권
    • /
    • pp.1-1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지학적 기록을 통하여 인삼의 기미(氣味)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 산양삼(山養蔘) 재배는 A.D. 1000년 경 고려시대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 A.D. 1500년-1600년 경 조선시대에 인삼재배 기술이 확립되었다. 이 무렵 집 근처 밭에서 인삼을 재배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가삼(家蔘)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가삼재배는 A.D. 1790년 경 전국으로 확대되었다고 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한편, 인삼의 기미는 A.D. 250에서 A.D. 1600년까지 대부분 동양의학서적에 미한(微寒)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A.D. 1600년 이후에는 미온(微溫) 또는 온(溫)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삼의 기미변화를 인삼재배역사 기록을 통하여 고찰해보면, A.D. 1600년 경 이전의 미한(微寒)의 기미 인삼은 산삼 또는 산양삼으로 인식할 수 있고, A.D. 1600년 경 이후의 미온(微溫) 또는 온(溫)의 기미 인삼은 가삼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기미를 미한(微寒)으로 표기하였던 한의서의 효능은 오장을 주로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킨다는 효능을 위주로 하였으나, 온(溫)으로 표기한 1600년대 이후의 한의서의 효능은 원기를 보하고, 진액을 생성시킨다는 효능이 주로 또는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재배환경이 산에서 들로 바뀌면서 인삼의 성질(기미)과 효능의 변화가 온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재배환경에 따른 성분변화가 효능차이에 미치는 연구가 고려인삼의 정체성 확인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과거 50년간 고려인삼 병 방제 변천사 (History of Disease Control of Korean Ginseng over the Past 50 Years)

  • 조대휘
    • 인삼문화
    • /
    • 제6권
    • /
    • pp.51-79
    • /
    • 2024
  • 인삼 병해 방제 연구 초기 단계였던 1970~1980년대에는 병원균을 분리하고 동정한 후 병원균의 생리와 발병 특성을 구명하였다. 그에 따라 지상부 주요 병해인점무늬병, 탄저병, 역병, 그리고 주요 토양 병해인 모잘록병, 모썩음병, 균핵병, 잘록병 등에 대한 경종적(耕種的) 예방법과 화학적 방제를 병행하는 방제법이 수립 될 수 있었다. 1980년대에 해가림 피복물이 기존의 볏짚 대신 polyethylene(P.E) 차광망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른 병 방제법 개선 연구가 1987~1989년에 진행되었다. 이때의 연구를 통하여 점무늬병 발병 억제를 위한 빗물 누수 최소화 4중직 P.E 차광망 소재가 도입되었다. 1990년부터는 줄기속무름병균을 동정하였고 발병을 억제하는 화경제거법이 수립되었다. 또한 연작장해 원인균인 뿌리썩음병균을 구명하고 연작지 재활용을 위한 토양 훈증방법, 성토방법의 기초 및 응용연구가 진행되었다. 2000년에 들어서는 급속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법 수정과 보완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출아기 강우 과다에 의한 줄기점무늬병의 작물보호제 방제법과 잿빛곰팡이병의 경종적 예방법이 수립되었다. 또한 모잘록병, 잘록병의 방제법 개선 방안이 확립되었다. 지난 50년 동안 초기에는 인삼 병의 원인과 방제법의 개발에 주력하였고, 후기에는 개발된 방제법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경험삼아 앞으로 기후변화, 인삼 초작지 고갈, 인건비 상승, 소비자의 안전성 의식제고 등과 같은 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인삼 재배법과 병해 방제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영농환경 개선을 위한 인삼재배사 표준화 디자인 (A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Design of Ginseng Cultivating Facility for the Improvement of Farming Environment)

  • 신택균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93-102
    • /
    • 2003
  • 이 논문은 영농환경 개선을 위한 인삼재배사(일명 해가림 시설물) 디자인 표준화를 위한 연구이다. 연구배경의 핵심은 현 WTO 농산물 개방 체제하에서 한국의 세계적 농특산물인 고려인삼의 생산과 품질 가치를 더욱 확고히 하고 인삼 종주국으로서 위상에 걸맞는 현대식 인삼재배 시설을 최초로 도입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제안함에 있다. 디자인 개념으로서는, 현재 목재 볏짚 비닐 등 일회성 또는 비표준화된 재료를 사용하므로서 매년 반복 재설치 작업 및 환경오염이 되고 있는 우리나라 인삼경작사의 노동 및 자원 낭비적 요소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 개선 요소로서는 첫째, 양산체제에 의한 형태 및 구조의 표준화. 둘째, 반영구적 재료 표준화를 위한 수지 등 신소재 도입, 위 두 가지 내용을 한국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형상화 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결과로서, 인삼재배사의 기준 단위모델을 디자인하여 재배면적의 크기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연결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 PDF

인삼 주요병에 대한 길항미생물 선발 (Isolation of Antagonistic Bacteria against Major Disease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정기채;김창배;김동기;김복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02-205
    • /
    • 2006
  • 인삼의 안정적인 생산 및 합리적인 병해방제에 기여하기 위하여 연구를 실시한 결과 갈잎 퇴비에서 분리된 Streptomyces lauretii B8180과 Bacillus subtilis B8856, Burkholderia cepacia B7944 세 균주의 인삼병원균 5종에 대한 항균력이 인정되었으며, 특히 실내실험을 통하여 높은 역병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 실험에서와 같이 식물의 지상부에 길항균을 살포하는 방법을 통하여 역병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길항균들은 갈잎 퇴비에서 분리되었기 때문에, 갈잎 퇴비에서 증식시켜 인삼재배 예정지에 투입하면, 억제형 토양 (suppressive soil) 조성을 통한 주요병해 방제가능성도 클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