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cultivation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32초

인삼 경작지 토양생물 분포 (Distributions of Soil Organisms in the Ginseng Cultivation Fields)

  • 홍용;최낙중;최인영
    • 환경생물
    • /
    • 제27권3호
    • /
    • pp.272-278
    • /
    • 2009
  • 농생태계 인삼 경작 재배지에서 서식하고 있는 토양 생물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진안 6개 조사구의 인삼 재배 농가에서 조사하였다. 2008년 4월 부터 11월까지 채집하여 분류된 미소절지동물은 총 3,101개체였다. 이중 응애류 44.9%, 톡토기 50.1%, 기타 5.0%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한 장소는 분변토를 시용한 대조구, 4년근 순으로 나타났으며 월별 밀도소장은 4월, 5월 6월 순이었으며 7월, 8월은 낮은 밀도를 보였다. A/C 비율은 0.90으로 톡토기가 응애보다 비율이 높았다. 토양의 화학적 요인과 개체군 밀도소장과의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토양미생물의 분포 중 방선균은 6월부터 11월까지 월평균 $0.3{\sim}0.9{\times}10^6\;cfu\;g^{-1}$ 정도를 나타냈으며 8월과 9월에 가장 높았다. 곰팡이는 각 조사지점별 일정한 증감의 경향을 나타냈으며 8월과 9월에는 1~2배 정도 곰팡이의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균의 분포는 조사기간별 평균 $1.1{\sim}9.6{\times}10^6\;cfu\;g^{-1}$ 정도이었으며, 6~8월이 8월 이후보다 세균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조사지점별 일정한 경향을 보인 형광균의 분포는 조사 시기 초기에는 감지되었으나 7월 이후에는 분포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초재배(煙草栽培) 밭토양(土壤)의 비옥도(肥沃度)와 시비반응(施肥反應) (Upland soil Fertility and its Value of Fertilizer Response to Flue-Cured Tobacco Cultivation)

  • 정훈채;조성진;이윤환;김용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6-160
    • /
    • 1985
  • 밭토양(土壤)의 비옥도(肥沃度) 평가(評價)와 비옥도별(肥沃度別) 시비반응(施肥反應)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수원(水原), 음성(陰城), 대구(大邱) 연초시험장(煙草試驗場)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24개(個) 경작지(耕作地)를 선정(選定)하여 경작지별(耕作地別)로 무비료구(無肥料區)와 연초용(煙草用) 복합비료(複合肥料)(10-10-20)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을 각각(各各) 70, 100, 130kg/10a으로 두어 황색종(黃色種) 연초(煙草)의 시비반응(施肥反應)을 종합(綜合)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밭토양의 비옥도(肥沃度) 구분(區分)은 무비구(無肥區)의 건엽중(乾葉重)으로서 평가(評價)가 가능(可能)하였다. 2. 경작지별(耕作地別) 시비량증가(施肥量增加)에 따른 시비효율(施肥效率) (시비구(施肥區) 건엽중(乾葉重)-무비구(無肥區) 건엽중(乾葉重))은 비옥도(肥沃度)가 높아짐에 따라 매우 작아지며 특히 70과 100kg/10a간(間)에서만 증수차이(增收差異)가 인정(認定)되고 100과 130kg/10a 시비수준간(施肥水準間)에는 시비효과(施肥效果)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3. 수익(收益) (수량(收量) ${\times}$ kg당(當) 가격(價格))을 기준(基準)으로한 시비한계(施肥限界)는 건엽중(乾葉重)이 208.5kg/10a 이하(以下)인 경작지에서는 100kg/10a이고 건엽중(乾葉重)이 33.3kg/10a 이하(以下)의 비옥도(肥沃度)를 나타내는 매우 척박(瘠薄)한 경작지에서는 130kg/10a이고 시비범위(施肥範圍)이었다.

  • PDF

일장 및 온도처리가 관상용 Nicotiana species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toperiod and Temperature on Flowering Responses of Ornamental Nicotiana species)

  • 구한서;김정환;이용득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7-134
    • /
    • 1989
  • Several growth characteristics of two ornamental tobacco species, Nicotiana sanderae and N. affini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lso effect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on the flowering of the tobacco plants were evalua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breeding and cultivation. 1. The plants were great in high temperature-long day at the early stage and in low temperature-short day at the late stage of plant growth, for both Nicotana species. At the early growth stage the leaf length N. sanderae was great in high temperature-long day, and that of N. affinis was great in high temperature-short day period, while at the late stage of the plant growth the leaf lengths were more significantly effected by the temperature rather than daylength. Leaf width and leaf shape index were less sensitive to the conditions. 2. For both of the species, the total number of tobacco leaves not much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and daylength.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udding and flowering period between the two species, both of which were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daylength with more influence by daylength than temperature. 4. Number of floral stalks, number of flower and flowering period were not much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daylength; however, N. affinis had 2 more floral stalks, 31 more flowers, and 6 day longer flowering period than N. sanderae.

  • PDF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Functional Constituents in SanYangSam and SanYangSanSam

  • Shin, Il-Soo;Jo, Eunbi;Jang, Ik-Soon;Yoo, Hwa-Seu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74-279
    • /
    • 2017
  • Objective: SanYangSam and SanYangSanSam are traditional Korea-medical herbs that are grown from Panax ginseng C.A. Meyer. In our previous studies, we found that the functional compounds in SanYangSam and SanYangSanSam were different and depended on the type and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ginseng. This study aimed to profile the functional constituents in SanYangSam and SanYangSanSam. Methods: To profile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many compounds that have therapeutic activities in SanYangSam and SanYangSanSam extracts, we used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and quadrupole orthogonal acceler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Results: A total of four major compounds were detected; two of which were the natural flavonoids kaempferol and quercetin. Among others, two polyacetylene compounds, including panaxydol and panaxynol, were detected. Conclusion: In this study, we found that panaxydol, one of the polyacetylene constituents of ginseng, is a candidate anti-cancer agent in SanYangSam and SanYangSanSam pharmacopuncture.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panaxydol levels in the SanYangSanSam extract were over 30 times those in the SanYangSam extract.

인삼 재배토양에서의 Procymidone 흡착 및 분해 (Adsorption and Degradation of Procymidone in Ginseng Cultivating Soils)

  • 김효근;이윤환;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6-290
    • /
    • 2002
  • 인삼재배환경에서의 농약의 동태를 구명하기 위하여 살균제 procymidone을 공시하여 인삼 재배토양을 대상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procymidone을 처리한 인삼재배토양을 10$^{\circ}C$ 및 25$^{\circ}C$의 항온에서 배양하면서 토양중 잔류성을 조사하였다. 흡착실험을 통하여 구한 procymidone의 유기탄소기준 흡착분배계수($K_{oc}$)는 531$\sim$743 수준으로서 토양 중 procymidone의 이동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내 항온배양 실험결과로부터 계산된 procymidone의 반감기는 248일(25$^{\circ}C$) 및 330일(10$^{\circ}C$)로서 포장실험결과에 비해 현저히 길어졌으며, 이는 procymidone이 가수분해 또는 미생물에 의한 분해 등에 안정한 화합물임을 시사하였다.

사물인터넷 기반 새싹삼용 고형배지, 베드 및 생육환경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olid Culture Medium, Bed and Growing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for Ginseng Sprout Based on IoT)

  • 주낙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254-1262
    • /
    • 2021
  • 최근 우리나라는 농업인구의 고령화와 감소로 농업 환경이 급격히 변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업의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CT 기술과 융합된 스마트팜이 그 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국내에서 스마트팜은 현재 주로 온실에 보급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마트팜 기술을 새싹삼을 재배하는데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묘삼(1.0g내외)을 사용하여 온실에서 수경재배와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청정한 환경관리 기술로 단기간(2~3개월)에 생산되는 수삼인 새싹삼을 재배하기 위한 고형 배지, 베드를 개발하였다. 또 이러한 환경에서 새싹삼의 생육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구동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기반의 생육환경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인삼 GAP 인증기준의 현장실천평가결과 분석에 따른 인증기준 개선방안 (Improvement of Certification Criteria based on Analysis of On-site Investig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for Ginseng)

  • 윤덕훈;남기웅;오소영;김가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0-51
    • /
    • 2019
  • 인삼은 인삼산업법이라는 독립된 법률의 적용을 받으며 4~6년간의 장기 재배기간과 이동경작이라는 독특한 재배특성이 있고 타 작물도 생산하는 복합영농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농가가 많은 점 등 일반 작물과는 생산과정과 관리방법이 다르다. 따라서 GAP기준에 적합한 인삼 생산을 위해서는 GAP인증기준 항목별로 인삼농가의 실천수준을 파악하여 미흡한 점에 대해서 실천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인삼에 대하여 GAP인증을 신청한 농가의 인증 취득률은 77.6%으로 기타 농산물의 94.1% 보다 낮았다. 미등록농약의 사용이나 토양 중금속 기준치 초과 등 서류심사 단계에서 13.7%가 부적합으로 판정되었으며, 현장심사결과 관리미흡으로 인증을 취득하지 못한 경우는 8.7% 이었다. 이는 기타 농산물에서 서류심사 부적합율 5.3%와 현장심사 부적합율 0.6%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것으로 인삼에 있어서 부적합율이 높은 원인을 분석하여 부적합율을 낮추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전체 72개 평가항목 중 10가지 주요 필수항목인 필수+ 기준에 대해 인삼은 2.65점으로 평가되어 기타 농산물의 2.81점 보다 다소 낮게 평가되었다. 특히 인삼농가에서는 토양 및 작물 병해충관리용 농약의 안전사용기준 준수가 각각 2.01점과 1.92점으로 평가받아 기타 농산물의 2.96점과 2.94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 인삼농가의 농약사용에 좀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 필수기준인 필수기준에서도 인삼은 2.33점으로 기타 농산물의 2.58점 보다 낮게 평가되었다. 인삼이 기타 농산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된 항목은 영농기록의 1년 이상 보관 항목(1.98점), 품질보증 종자 사용 항목(1.31점), 토양 및 작물 병해충 관리용 농약 사용 기록 항목(1.38점과 177점), 농약보관장소 표시물(1.69점), 수확후저장장소 관리 항목(1.67점), 작업 전 후 손 세척 항목(1.00점), 작업자 위생복장 착용(1.50점) 작업자 안전위생교육 항목(0.82점), 위해요소관리계획서(1.96점) 등으로 이 항목들은 인삼농가들이 앞으로 개선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체 72개 항목 중 인삼에 적용되지 않는 항목이 12개 항목(필수 10개, 권장 2개)에 달한다. 따라서 기존의 인증기준으로는 인삼 생산과정에 대해 실효성 있는 평가를 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인삼에 대한 GAP인증의 확대를 위해서는 차별화된 인증기준이 필요하며, 인삼 농가에 대한 GAP관리교육이 보다 체계적이고 현장중심으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킬레이트제가 액체배양 중 인삼 부정근의 게르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Chelating Agents on Accumulation of Germanium 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in Submerged Culture)

  • 장은정;오훈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154-158
    • /
    • 2007
  • 식물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한 Ge 함유 인삼 부정근 생산 시 Ge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킬레이트제가 인삼 부정근의 Ge 축적과 사포닌 형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eO_2$ 50ppm과 함께 citric acid, oxalic acid, phosphoric acid, EDTA 및 EGTA와 같은 킬레이트제를 인삼 부정근 배양시 첨가하여 Ge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phosphoric acid, EDTA 및 EGTA가 Ge 흡수를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EDTA와 EGTA는 인삼부정근의 생육을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Ge 흡수 촉진 효과도 phosphoric acid에 비해 낮으므로 인삼 부정근의 Ge 흡수를 촉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킬레이트제는 phosphor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삼 부정근의 Ge 흡수 촉진을 위한 phosphoric acid의 최적 농도는 1.0 mM이었고, 이때의 Ge 함량은$22.7{\pm}0.3$ mg%로 대조구$(16.8{\pm}0.7$ mg%)의 1.4배에 해당하는 양이다. 한편, 인삼 부정근의 생장률과 총 사포닌 함량은 phosphoric acid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신품종 고풍의 육성경과 및 생육특성 (Breed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Gopoong, a New Variety of Panax ginseng C.A. Meyer.)

  • 권우생;이장호;박찬수;양덕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86-91
    • /
    • 2003
  • KT&G 중앙연구원 원료연구소에서 육성한 신품종 고풍에 대해서 육성경과, 생산력 검정 및 지역 적응시험을 수행하였다. 1968년에 선발하여 20년 이상 육성된 고풍은 줄기, 잎자루, 꽃대 및 잎맥부위까지도 진한 자색을 띤다. 열매송이 모양은 역삼각형이며 진한 붉은 색으로 재래혼계종인 자경종이나 기개발된 천풍 및 연풍과 지상부 표현형에서의 차이를 나타내었 다. 1981-1984년에 실시한 생산력 검정시험이나 1985-1990년에 실시한 지역적응력시험에서 대비구인 재래혼계종인 자경종과의 지상부 생육 제반 특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유전적 특성의 발현 재현성이 있었다. 지하부 형질에서는 고풍의 생존율이 대비구인 자경종보다 2.6% 높았고, 고풍의 칸당 수량은 2.3 kg으로 자경종 2.2 kg보다 0.1 kg이 높았으며, 고급홍삼인 천지삼율은 고풍은 16.6%로 대비구인 자경종 9.4%보다 7.2%가 더 높았다. 따라서 고풍은 고급 홍삼제조용 원료삼 품종으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기농 인삼과 관행 인삼의 토양화학성 및 진세노이드 함량 비교 (Comparison of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Cultivation Systems)

  • 모황성;임진수;유진;박기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09-522
    • /
    • 2015
  • 유기농 인삼 재배는 소비자들의 안정적인 농산물의 요구에 따라 급증한다. 반면에 유기농과 관행 인삼재배의 토양 무기성분 및 인삼의 진세노사이드함량 차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양화학성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비교해 관행인삼과 유기농인삼의 차이를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질산태 질소, 가용성인산, 치환성 칼륨함량은 유기농재배와 관행재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비록 유의성 있게 차이는 없었지만 총 진세노사이드함량 뿐만 아니라 대부분 개별 진세노사이드는 관행재배 인삼보다 유기농재배 인삼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유기농 인삼은 관행인삼에 비해 PT계열의 사포닌 보다 PD계열의 사포닌 함량이 더 높았다. 질산태 질소는 Ginsenoside $Rb_2$, Rd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유효인산함량은 $Rb_1$, Rc, PD/PT비율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삼의 Ginsenosdie 성분들을 증가시키려면 질산태 질소과 인삼함량을 줄이고 유기물함량을 높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