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ger

검색결과 628건 처리시간 0.032초

증숙처리에 따른 재래생강 및 중국종자생강의 항산화 및 기능성물질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Functional Compounds in Korean Conventional and Chinese Se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Following Steam Treatment)

  • 김수진 ;김종신 ;김민지 ;강지연 ;최현정 ;김소연 ;이하은 ;권태혁 ;강미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4-27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재래생강과 중국종자생강 간의 증숙 시간별 총 페놀화합물, 총 플라보노이드,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gingerol, shogaol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화합물, ABTS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대체적으로 증숙 6시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다가 그 이상으로 증숙할수록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강 중에서는 재래생강인 WO-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증숙 시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생강의 gingerol 함량은 대조군에서 WO-2가 1,351 mg/k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증숙 시간에 비례하여 gingerol의 함량은 감소하고, shogaol의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증숙 8시간에서 WO-2가 생강 중에서도 가장 높았으며, 또한 종자별로도 재래생강이 중국 종자생강보다 shogaol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재래생강이 중국종자생강보다 기능성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증숙 처리된 재래생강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발효생강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Gingers)

  • 천용기;정하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9-254
    • /
    • 2011
  • 생강은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으나 자극적인 향미로 인하여 건강식품 소재로의 사용에는 제약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낙농제품 및 김치 유래 유산균으로 발효생강을 제조하고 요쿠르트에 첨가하여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 생강의 첨가는 플레인 요쿠르트의 맛과 전체적 선호도를 저하시켰으며, GSt, GLa, GLm(발효 생강)의 첨가도 저하시키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에 GLp 첨가구는 저하되지 않았다. 또한 모든 발효생강은 제조공정 중 생강의 특징적 향기성분이 감소하여 이들을 첨가한 요쿠루트의 향미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GLp 첨가는 건생강을 대신한 건강식품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생강의 생리활성 성분의 하나인 6-gingerol은 모든 발효생강에서는 발효 전에 비하여 감소하고 6-shogaol은 증가하였으나, GLp 발효생강에서는 6-shogaol 이 거의 검출되지 않은 점이 특이하였다.

토굴을 이용한 생강저장의 사회 경제적 투자효과 분석 - 서산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ocio-economic Investment Effects of Ginger Storage in Artificial Caves (In the Case of Seochun Districts in Chungnam Province))

  • 이무원;임재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310-320
    • /
    • 1998
  •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storage of ginger in artificial caves. The gingers stored in artificial caves in Seochun, 12 sampled areas, were surveyed to get information on the socio-economic effects. The surveyed data were processed by TSP, Qbasic and B/C Ratio computer programs and analyzed the decision making criteria such as B/C ratio, NPV and IRR.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the storages of the gingers are as follows. 1. The storage benefits per ton was showed as 184,050won. 2. Considering 10% of the opportunity cost of capital, the uper limits of investments for the cave storages was analyzed as 6,784 thousand won for ginger. 3. The investment of the natural cave storages was revealed economically feasible considering the decision making criteria as B/C ratio = 1.33, NPV = 35.059 thousand won and IRR = more than 100%. The other socio-economic effects of the ginger storages was expected as ; 1. The cave storages will contribute to increase consumer's and producer's welfare through the control of supply and demand and price stability. 2. Long-term storage of ginger without damaging quality and grades will be made on account of the storage conditions as relatively low temperature, high humidity and indifferent affects from the outside climate. 3. Utilization of the underground space, the caves, for storage will maximize the land use and the sustainable environment considering the mountainous area, two third of the total national land area. 4. Construction costs of the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as caves are cheaper than the ground storage facilities by 15 to 20% in general. In conclusion, the underground space like natural and artificial caves are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for storage of ginger on account of the storage conditions as temperature, humidity and blocking the sun light. Accordingly a study on convenient utilization of new development of artificial caves should be made considering transportation and input-output of the farms. Financial support of the government should be institutionally rearranged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toring farm products like ginger in natural and man-made caves.

  • PDF

생강약침(生薑藥鍼)이 중풍후유증(中風後遺症)으로 인(因)한 견비통(肩臂痛)에 미치는 효과 (Clinical Study on Effect of Ginger Herbal Acupuncture Therapy on Shoulder Pain of Paralytic Patients)

  • 허성웅;권미정;김홍기;정경근;김수민;민영광;안창범;송춘호;윤현민;장경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3권5호
    • /
    • pp.145-154
    • /
    • 200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ffect of Ginger-Herbal acupuncture on shoulder pain of cerebral paralytic patients. Methods : 53 person were selected among patients hospitalized in Dong-eui 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1st, May, 2005 to 1st, Oct, 2005.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e acupuncture group and ginger-herbal acupuncture group. For 2 weeks, 22 patients were treated by ginger-herbal acupuncture treatments and 31 patients were treated by only acupuncture treatments. Research tools are Visual Analogue Scale by Cline et al. for measuring the severity of shoulder pain, and measured Range of Movement of shoulder joint Results : The ginger-herbal acupuncture treatments group showed significant pain decrease while acupuncture treatments group showed pain decrease. The range of shoulder movement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2 groups. Conclusion :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determined that ginger-herbal acupuncture therapy can be used as the effective treatments for reducing of shoulder pain. But more cases are to be studied in order to make more effective treatments in the case of shoulder pain of paralytic patients.

  • PDF

당귀수산, 생강, 커큐민의 대사성 질환과 관련된 일과성 수용체 전압 이온통로조절에 관한 연구 (Effects of Dangkwisoo-San, Ginger and Curcumin on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 7 Channels)

  • 김병주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18
    • /
    • 2018
  • Objectives: Metabolic syndrome is correlated with increased cardiovascular risk and characteriz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visceral obesity, hypertension, insulin resistance, and dyslipidemia. Several members of a large family of nonselective cation entry channels, e.g.,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melastatin 7 (TRPM7) channels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gkwisoo-san, ginger and curcumin on TRPM7 channel. Methods: Human embryonic kidney (HEK) 293 cells stably transfected with the TRPM7 expression vectors were maintain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FBS), 1% penicillin/streptomycin, $5{\mu}g/mL$ blasticidin, and 0.4 mg/mL zeocin in a humidified 20% $O_2$/10% $CO_2$ atmosphere at $37^{\circ}C$. Whole-cell patch clamp recordings were obtained using an Axopatch 700B amplifier and pClamp v.10.4 software, and signals were digitalized at 5 kHz using Digidata 1422A. Results: Dangkwisoo-san extract (100, 200, 300, 400, and $500{\mu}g/mL$) inhibited the outward and inward TRPM7 whole-cell currents at dose dependent manner and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of Dangkwisoo-san was $218.3{\mu}g/mL$. Also, ginger extract (100, 200, 300, 400, and $500{\mu}g/mL$) inhibited the outward and inward of TRPM7 whole-cell currents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the $IC_{50}$ of ginger was $877.2{\mu}g/mL$. However, curcumin had no effects on TRPM7 whole-cell current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Dangkwisoo-san and ginger have good roles to inhibit the TRPM7 channel, suggesting that Dangkwisoo-san and ginger are considered one of the candidate agent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국내 생강 에센셜오일이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이 항진된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orea Ginger Essential oil on Chronic Mild Stress-induced Rats Model of Sympathetic Hyperactivity)

  • 지중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88-1197
    • /
    • 2019
  • 스트레스는 인체의 다양한 기관과 정신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교감신경 항진을 야기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을 항진시킨 동물 모델에서 국내산 생강 에센셜오일이 스트레스 호르몬 및 뇌 조직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세포독성 평가 및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혈청 바이오 마커와 뇌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이 기초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동물 실험에서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의 처리는 만성 스트레스로 교감신경을 항진시킨 동물 모델 제작 후 2주간 100 nl/㎖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은 100 nl/㎖ 농도 이하에서 독성이 없었으며, 6-진저롤 함량이 345 ppm으로 확인되었다.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의 처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청에서 부신피질호르몬, 코르티코스테론, 멜라토닌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농도를 크게 줄였으며, 복측피개부(VTA) 및 흑색질 치밀부(SNpc) 부분에서 TH-면역 반응이 때때로 중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보존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국산 생강 에센셜오일이 교감신경 항진을 개선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국산 생강은 교감신경 항진에 대한 아로마오일의 새로운 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마늘과 생강의 항균성 및 증류성분 (Antimicrobial Activity and Distilled Components of Garlic(Allium sativum L.) and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 지원대;정민선;정현채;이숙정;정영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14-518
    • /
    • 1997
  • 향신료 중에서 항균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고, 그 저해 양상 및 작용 기구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대표적인 향신료인 마늘과 생강을 대상으로 하여 각종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의 항균성을 확인하는 한편, 이들의 증류 성분을 추출, 분리, 동정하였다. 마늘의 각종 추출물은 대체로 Gram 양성균보다는 Gram 음성균에 강한 항균성을 나타내었고, 효모에 대해서도 매우 강한 항균성을 보였는데, 추출에 사용된 용매 중에는 에테르를 사용한 추출물에서 비교적 강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생강의 경우도 항균성 물질은 에테르를 용매로 사용할 때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마늘과 생강의 증류 성분을 SDE장치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이를 GC/MSD와 Kovat's retention index로 분석한 결과, 각각 13종과 21종이 동정되었다. 마늘에는 함황화합물이 가장 많은 종을 차지하였고, 생강에는 탄수화물이 가장 많은 종을 차지하였다. 마늘의 특징적 방향에 기여하는 성분으로는 di-2-propenyl disulfide, methyl 2-propenyl disulfide, 2-vinyl-4H-1,3-dithiirane 및 3,3'-thiobis-1-propene이었고, 생강의 특징적 방향에 기여하는 성분으로는 ${\alpha}-zingibirene$, ${\beta}-phellandrene$, ${\beta}-sesquiphellandrene$ 및 camphene이었다.

  • PDF

생강차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ger Tea)

  • 성태화;엄인숙;허옥순;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7-51
    • /
    • 2003
  • 시판생강차의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전통생강차와 비교하고 전국의 식품영양학과 학생 및 교수 382명을 대상으로 생강차의 품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판생강차는 분말 생강차로 전통생강차에 비해 투명도, 점도, L 및 b 값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당도, 산도, pH, a 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 시판 생강차는 전통 생강차에 비해 맛, 매운 맛, 색에 있어서 유의 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나(p<0.05), 감미도, 향,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시판 생강차가 전통생강차에 비해 동일하지 않다가 54.7%이었고, 동일하지 않은 이유로는 향이 22.0%, 매운맛 21.3%, 단정도 15.7%의 순이었다. 또한 시판 생강차에서 개선할 점으로는 생강 함량,28.6%, 향,25.2%, 단정도,24.3%, 쓴맛, 17.7%의 순이었다. 시판생강차는 전반적인 기호도와 유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관능적 특성은 맛 매운정도, 향, 색, 감미정도이었으며, 그 중에서 상관계수가 높은 특성은 맛(0.623)>매운맛(0.582)>향(0.542)의 순이었다. 이 같은 결과로부터 생강차 고유의 맛과 향이 생강차의 전반적 인 기호도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기업체에서는 이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시판 생강차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늘, 생강, 양파 즙의 항산화능과 항균작용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Juice from Garlic, Ginger, and Onion)

  • 정경애;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4-139
    • /
    • 2013
  • 기능성이 우수한 향신 채소로서, 마늘, 생강, 양파를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 개발 재료나 천연 보존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이들의 생즙을 이용하여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 및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마늘, 생강, 양파 즙의 수율은 각각 28.2% (v/w), 24.3%, 38.3%로서 양파가 가장 높았으나 총 폴리페놀함량은 각각 1,254, 1,523, 412 mg/100 g으로 생강즙이 가장 높았다. 마늘과 생강 즙 원액의 전자공여능은 95~98%였으며, 40% 희석액에서도 90%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OD유사활성능 역시 64~67%로서 활성이 높았으나 양파즙은 마늘과 생강에 비하여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이 약간 낮았다. 마늘과 생강, 양파 즙 원액의 아질산염소거능은 각각 56.5%, 52.4% and 50.2%였다. 마늘즙은 실험에 사용한 4종류의 식중독세균(E. coli, Sal. typhimurium, L. monocytogenes, S. aureus)에 대하여 항균작용이 있었으며 특히 Sal. typhimurium에 대하여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마늘, 생강, 양파는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우수한 항균작용과 항산화능을 나타내어 식품에 첨가하면 천연보존료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건강식품 개발을 위한 재료로서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처리 방법이 생강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on the Quality of Ginger during Storage)

  • 정태연;정태연;남궁배;이세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
    • /
    • 1999
  • Fresh gingers, harvested in Seosan, Choongcheongnam-do, were pre-treated by a washing-pasteurizing-drying process, a curing process, and non-treated, respectively. Then they were stored in a lab-scale storage room(12$^{\circ}C$, >92%R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on the quality changes during long-term storage. Weight loss of ginger during storage showed ranges in 0.7∼4.3%, and the weight of gingers pre-treated by washing-drying process showed a tendency to change less than those treated by curing. After storage of 130 days, spoilage rates were about 20% in non-treated, 11% in curing treated, and 12% in washing-drying treated ginger,, showing the effect of pre-treatment. The final rate of sprouting was 13∼15% regardless of treatment methods. The firmness of ginger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stored ginger for the longer period; however, the values were ranged from 1,200 to 1,400 g/$\textrm{cm}^2$, that is hard enough to show a marketable quality.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the lapse of storage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