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fted student in information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8초

Activity of a Gifted Student Who Found Linear Algebraic Solution of Blackout Puzzle

  • Lee, Sang-Gu;Park, Jong-Bin;Yang, Jeong-M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8권3호
    • /
    • pp.215-22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 activity of student who found purely linear algebraic solution of the Blackout puzzle. It shows how we can help and work with gifted students. It deals with algorithm, mathematical modeling, optimal solution and software.

  • PDF

Flanders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을 활용한 수학영재 수업 분석 (Analysis on Gifted Class in Mathematics using Flanders Category System)

  • 이윤경;이중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12-523
    • /
    • 2014
  • 본 연구는 Flanders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을 활용하여 대학부설영재원 수학영재 수업에서 교수-학생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연구문제는 수학영재 수업의 1)Flanders 코드 항목별 결과는 어떠한가? 2)언어형태는 어떠한가? 3)Flanders 지수결과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중등 수학반 수업이며, 수업과정을 비디오 녹화한 동영상을 AF분석 프로그램 3.54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1)Flanders 코드 항목별 분석결과, 교사의 비지시적 발언보다 지시적 발언이, 학생의 반응적인 발언보다 자진적인 발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분류 항목별 빈도수는 강의, 학생의 자진적인 말, 활동 등이 전체수업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수업 흐름은 대체적으로 바람직한 수업 흐름 모델을 따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 발언에 대한 교사의 적절한 피드백이 요구된다. 3)지수 분석 결과, 수정 비지시, 교사 질문비, 학생 발언비, 학생 질문 및 넓은 답변비는 분석기준보다 높게 나타났고, 비지시는 분석 기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정보영재 교육대상자들의 관찰 및 추천 방법 (Observed and Recommended Method for Gifted Student for Information Science Eudcation)

  • 김갑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81-287
    • /
    • 2010
  • 정보 영재 교육 대상자들을 선발하기 위해서 기존의 지필 평가 중심에서 관찰 추천으로 변화되고 있고 이는 영재의 잠재성 개발에 그 초점이 맞추어 가고 있다. 정보 교과가 학교교육에서 중요 교과로 다루지 않기 때문에 교사들의 관찰 추천으로부터 관심이 멀어지고 있고 관찰 추천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가 매우 부족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정보 영재교육대상자들의 정보 영재들에 대한 특성들을 분석하여 관찰 추천 요소들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장 교사들이나 관찰추천교사들의 정보 분야의 영재교육대상자들을 선발할 때에 활용가능성이 있다.

  • PDF

A Case Study Exploring the Roles of Mawhiba in Supporting and Saudi Verbal Gifted in the English Language

  • Alharthi, Noha Abdull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8호
    • /
    • pp.304-322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a case of a gifted Saudi student, X, who was early detected through Mawhiba (The Saudi Institution of Gifted) when he was eight years old. Then, the journey continued until he became a Tamayuz member and received a scholarship in 2022 to pursue his bachelor's at one of the prestige, high-ranking universities in the USA to study Mathematics and Economics.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Saudi verbal gifted maked X case a model to explore the roles of Mawhiba's programs in supporting Saudi verbal giftedness in general and particularly in learning the English language, plus seeking the opportunities Mawhiba provided for Saudi verbal gifted to enrich their giftedness in the English language through providing extended social networking and finally stating the sample's perspective about the opportunities and services Mawhiba provided him. The three core instruments to accumulate elaboration and interpret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were academic records, writing samples, family observation, and a written interview.

PISA의 문제해결력 도구를 이용한 정보 영재 학생의 문제해결력 분석 (A Problem Solving Analysis of Gifted Students in Information based on PISA Problem Solving Tool)

  • 최정현;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79-18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학생들의 인지적인 특징을 비교하고 그를 통해 정보영재학생들의 판별과 관찰기준을 제시하며 나아가 적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에 영재학생들의 지속적인 발전과 개발을 위한 기초정신능력이자,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종합하고 적용하는 등 학습능력의 바탕이 되는 '문제해결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정보 분야의 영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2 PISA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평가틀을 검사도구로 사용하여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우수한 측면과 보완이 요구되는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정보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목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초등정보과학영재용 프로그래밍 교육 (비주얼 베이식을 이용한 접근) (Programming Education for the Gifte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formation Science (Approach Using Visual Basic))

  • 강성원;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63-371
    • /
    • 2003
  • 컴퓨터 기반 산업이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학생들을 위한 IT 교육이 급성장하였다. 국가적으로 정보화에 부합되는 인간을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IT 관련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특히 정보과학영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보 과학 영재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교육이 활성화되어 일선 교육청과 각 대학에서 영재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이 딱딱한 알고리즘 교육과 일부 특정 언어에 치중한 교육에 싫증을 느끼고 있으며 프로그래밍 교육이 시험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보다 배우기 쉽고 다루기 쉬우며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비주얼 베이식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을 개발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실제로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이 배운 프로그래밍 지식을 홈페이지를 통해 적용하게 하면서도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기초를 쌓을 수 있다.

  • PDF

정보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최단경로 탐색 과정 분석 (An Analysis on Shortest Path Search Process of Gifted Student and Normal Student in Information)

  • 강성웅;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43-254
    • /
    • 2016
  • 본 연구는 PISA 2012 문제해결력 평가 문항 중 이산수학의 그래프 이론이 적용된 'TRAFFIC' 문항을 바탕으로 총 19문항의 최단경로 탐색 검사 도구를 제작했고, 웹기반 컴퓨터 평가로 정보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컴퓨터는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기이자 평가의 기반이 되는 매체로 자리 잡았고, 정보영재학생은 컴퓨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하고, 컴퓨터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분명한 명령을 내려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컴퓨팅 사고가 어느 분야든 영향을 미치는 시대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새로운 교육적 자극을 줘야 한다. 최단경로 탐색 과정을 통해 문제해결에 걸린 시간과 정답률 간의 상관관계를 찾을 수 있었고, 노드와 엣지의 증가로 문항의 곤란도가 높아짐에 따라 노드가 문제해결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정보영재학생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알고리즘적 사고 과정을 볼 수 있었고, 정보영재학생의 인지적 특성인 '효율화 능력'과 '정보구조 기억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전달 및 수치해석을 주제로 한 물리, 수학, 정보의 통합적 영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hysics, Mathematics and Information Integrated Program Base on Heat Transfer & Numerical Analysis for Gifted Student)

  • 남현욱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87-10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열전달 및 수치해석을 주제로 통합적 영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영재아를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 학생들의 반응과 통합적 영재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및 효과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통합적 영재 프로그램은 크게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 물리적 현상의 수학적 모델링, 수치해석방법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상은 청주교육대학교 영재센터 수학반 중3학생 4명이다. 수업은 4시간씩 15회 진행되었으며, 수업 종료 후 제출한 학생들의 보고서와 인터뷰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및 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적 영재프로그램의 투입 결과 4명 중 3명이 본 프로그램에서 목표로 하는 문제 해결을 수행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나 수치해석의 경우 비교적 잘 이해하는 편으로 생각됐으나 고등 수학이 필요한 물리적 현상의 수학적 모델링은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영재아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통합적으로 구성된 본 프로그램은 과학교육프로그램의 하나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수학에만 흥미 있는 학생들의 만족도는 낮았다. 반대로 다양한 분야에 흥미를 가진 학생은 비교적 만족도가 높았으며 각자에게 자신감과 동기부여가 되는 결과를 얻었다.

멀티미디어 제작을 통한 초등 정보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ementary Information Gifted Children through Production of Multimedia)

  • 남승현;배영권;김도윤;구덕회;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22
    • /
    • 2005
  • 초등 정보영재교육에서 멀티미디어 제작을 통한 교육은 교육 대상인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라는 점과 교육 목적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유용성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재 초등 정보영재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멀티미디어 제작을 교육내용으로 제시하고 영재교육모형인 과정-산출모형을 적용하여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초등 정보영재아동의 특성을 살린 기능 교육방법을 제시하여 그 특수성을 부각시켰으며 이를 적용하여 교육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자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보영재교육을 영재교육의 입장에서 풀어갈 필요가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 초등 정보영재의 교육내용으로 멀티미디어 제작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 PDF

정보보호영재교육원 운영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and Improvement of the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for the Gifted)

  • 윤보람;홍도원;서창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441-449
    • /
    • 2016
  • 오늘날 행정, 금융 등의 일상 업무가 정보시스템 기반으로 운영되고, 국가‧공공‧민간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이버 침해가 발생됨에 따라 기술적인 보안 대책뿐만 아니라 정보보호 전문 인력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교육부에서는 정보보호 우수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정보보호 전문성과 윤리의식을 겸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2014년에 전국 4개 대학에 정보보호영재교육원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미 오랫동안 운영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수학영재나 과학영재교육원에 비해 초기 운영단계인 정보보호영재교육원은 아직까지 체계적인 분석이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국 4권역 정보보호영재교육원의 현황을 운영, 선발, 교육 3분야로 나눠 분석하여 현재 운영체계의 부족한 부분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정보보호영재교육원이 효과적인 운영 및 인력양성을 위한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