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fted student in information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2초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 활용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Learning Program Utilizing App Inventor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이재준;유인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8
    • /
    • 2016
  • 우리나라는 영재교육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을 매우 중요한 목표로 내세운다. 최근에는 다양한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영재 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기도 한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활용 영재 학습 프로그램은 정보 영재를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한 앱인벤터를 활용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해 탐구하였다. 4, 5학년으로 이루어진 초등 수학 영재 1개 학급을 대상으로 모둠별로 앱인벤터를 활용해 수학 퀴즈를 만드는 활동을 하였다. 실험 적용 후 실험집단의 내재적 동기, 자율성, 개방성 등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소의 사후 검사 값이 유의도 .002이하로 매우 유의하였다. 따라서 앱인벤터의 활용을 통한 수학영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은 수학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전 영역에서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재교육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들로네 삼각분할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mathematical modeling : focused on Voronoi diagram and Delaunay triangulation)

  • 유홍규;윤종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257-277
    • /
    • 2017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최근 수학적 모델링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들로네 삼각분할을 주제로 영재교육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학적 모델링 프로그램을 실제 영재교육 수업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여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설계하는 현직교사와 융합형 영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영재교사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Convergence Education School for the Gifted)

  • 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23-130
    • /
    • 2012
  • 2000년 1월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된 후 2002년 4월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이 공포됨으로써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2007년 12월 발표한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안'에서는 전체 학생의 0.59%정도에게 제공되던 영재교육을 2012년까지 초 중등학생의 1%까지 확대 실시하는 계획을 수립한 후 시행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이 양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최근까지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은 학문영역별 중심으로 시행되었으며, 특히 수 과학 분야의 영재교육에 편중되어 시행되었다. 이와 같은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상황에서 질적 성장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21세기 창의적인 융합 인재 육성을 위하여 과학과 예술영재교육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교육기관의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에서 적용 가능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영재교육기관인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과 해외 융합형 교과 운영 사례를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인 과학예술영재학교의 교육과정 편제를 제안하고 과학예술영재학교의 핵심 교과인 융합교과에 대한 세부 내용을 제안하였다.

  • PDF

Intellectual Talent Of Higher Education Seekers: Theoretical Principles

  • Aryna Kharkivska;Viktoria Beskorsa;Svitlana Nikulenko;Oksana Onypchenko;Violetta Panchenko;Iryna Tolmachov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9호
    • /
    • pp.71-76
    • /
    • 2023
  •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consider the following issue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concepts of "giftedness", "intellectually gifted personality"; the experience of working with gifted youth abroad is analyzed; features of work with gifted student youth are revealed; educational and methodological support and practical work with gifted students are analyze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ttitude of gifted youth to organizational forms of work with them; developed a scientific circle as a form of work with intellectually gifted student youth. A set of methods is used, in particular: theoretical methods: comparison, analysis, synthesis and generalization; empirical methods: analysis of documentation and results of pedagogical activity, observation.

영재부모 지원의 새로운 접근 (New Approaches Supporting to the Parents who Have Gifted Student)

  • 태진미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303-332
    • /
    • 2009
  • 그간 많은 선행 연구들이 영재성 발현과 성취를 위해 부모 조력의 중요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부모의 참여를 어떻게 유도하고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무엇을', '왜' 라는 측면에서 영재부모를 위한 지원에 대해 검토하지 않은 채 막연히 영재학생의 부모역할이 중요하므로 그들을 교육해야한다는 취지아래 부모교육을 통한 지원이 일반화 되어왔다. 이러한 현실은 자칫 영재부모 지원을 위해 보다 중요한 사항을 놓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율적인 부모지원을 위해 다양한 차원에서 영재부모 지원의 개념을 살펴보고 영재부모지원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탐색했다. 나아가 현재 영재학생의 부모지원 체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부모 지원의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총체적인 영재부모지원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CS 언플러그드 교육이 영재학급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S Unplugged Education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 이재호;윤은혜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2호
    • /
    • pp.77-8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CS 언플러그드 교육이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용인시 소재 D초등학교의 5학년 영재학급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10차시의 CS 언플러그드 수업을 진행하였고, 학생들의 사전·사후 설문, 수업일지 및 학생활동지, 학생 면담 기록을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사전·사후 컴퓨팅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여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 언플러그드 교육은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CS 언플러그드 교육이 컴퓨팅 사고력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가져오지는 못했다. 셋째, CS 언플러그드 교육은 영재 SW 교육과정의 첫 단계로 제시하기 적합하다.

초등학교 언어창작영재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 연구 (The Study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Aptitude, Career Tendency & Career Maturity of Verbal Writing Gifted Student)

  • 김유선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41-161
    • /
    • 2011
  • 본 연구는 교육청 글쓰기 대회에서 수상하여 언어영재캠프에 참여한 초등학교 4, 5학년 학생들(60명)을 대상으로 언어창작영재들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 프로파일은 언어적성, 음악적성이 강점지능으로, 논리 수학적성이 약점지능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수적성은 음악적성과 언어적성으로 나타난 학생의 수가 많았고, 논리 수학적성이 가장 적었다. 논리 수학흥미와 논리 수학성취가 유의수준 p<.01.에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진로성향은 언어성향과 인간친화성향의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음악적성, 자연친화적성, 인간친화적성은 우수적성과 진로성향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과반수 이상(41명, 68%)의 학생이 조기 진로성숙의 특성을 보였다. 언어창작영재들의 성공적인 진로선택을 위해 우수적성에 어울리는 직업의 안내와 진로성향에 맞는 적성을 강화시키는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초등정보영재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Gifted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 전우천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347-368
    • /
    • 2010
  • 현대는 지식 정보화 사회이며 한 나라를 이끌어 갈수 있는 원동력은 지식기반의 산업의 육성에 달려 있다. 또한, 개인의 경쟁력 측면에서도 정보화 능력 및 정보통신기술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지식 정보화 사회를 이끌어 갈 정보영재의 발굴과 교육은 더욱 중요하다. 현재 정보영재교육은 사교육과 공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초등학교 정보영재교육과정의 현황을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보영재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다양한 관점에서 제안한다.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아동의 분류 과정에서 나타나는 안구 운동 패턴의 차이 (Differences in Eye Movement Pattern during the Classification between th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 최현동;신원섭;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4호
    • /
    • pp.501-51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ye movement pattern shown in classification activities between the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consisted of five gifted students in the special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five students at D regular elementary schools. SMI (Senso Motoric Instruments)' iView $X^{TM}$ RED 120 Hz was used in order to collect eye movement data.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 patterns between the gifted and the regular student in question identification, attribute observation, and criteria generation process. Gifted students minimized unnecessary cognitive overload and took advantage of cognitive economic efficiency. Regular students have a lot of cognitive burden because they did not grasp the essential information.

초등학교 과학 협동학습에서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Verbal Interactions in Cooperative Science Learning)

  • 임숙영;여상인;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5호특별호
    • /
    • pp.595-601
    • /
    • 2005
  • In this study,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in cooperative teaming: whom they interacted with, to/from whom they gave/received help and why, and what kinds of the verbal interaction patterns they engaged in. The subjects were 4th grade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students' perception and videotaping of the small group interactions of each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ifted students interacted with most students in their groups. They complemented each others' opinions and their discussion was enriched through their interactions.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s of the general students occurred mostly around a leader, and more teamed students explained the content to the less teamed students. Predominantly, the gifted students' most verbal behaviors were related with the teaming contents. Most frequent verbal behavior were a giving specific information and an explanation of their opinions. The general students, however, gave simple and short information, and more often they showed the management behaviors, such as encouraging participation and suggesting their direc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