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fted educational program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5초

서울대학교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탐구의 인지 과정 분석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Scientific Models and Cognitive Processes in Scientific Inquiry of the SNU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 Program)

  • 신미영;전미란;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87-394
    • /
    • 2005
  • 본 연구는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선하는데 반영하고자 2002년도 서울 대학교 과학 영재 교육센터에서 운영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각 주제에 제시된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을 분석하였다. 교육 목표와 과학적 모형, 탐구 활동의 세 요소들은 과학 교육 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각 요소들이 제시된 정도를 파악한 후 이들의 수준이 영재 학생들의 인지적 요구를 충족시키는지에 초점을 두어 분석 결과를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 목표의 인지 영역 중에서 상위 사고력 영역에 해당하는 종합 영역, 과학적 모형 중에서 상위수준의 추상성과 복잡성 모형인 다 개념-과정 모형,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 중 창의성 영역에 해당하는 실험 설계의 인지 과정이 과학 영재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중요한 항목임을 전제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 대학교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각 주제에 제시된 교육 목표는 상위사고력 영역과 하위사고력 영역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그 중에서 종합 영역은 낮게 나타났다. 과학적 모형은 다 개념-과정 모형보다는 단일 개념 모형이 많았으며 추상성 수준은 중간 정도였다.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은 실제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을 고르게 다루지는 않았다. 특히 실험 설계의 인지 과정은 적게 다루고 있었다. 따라서 분석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이 과학 영재들의 인지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종합 영역의 교육 목표, 다 개념-과정 모형, 실험 설계의 인지 능력을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

언플러그드 컴퓨팅과 EPL을 이용한 초등정보영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A Educ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Information Gifted Student using Unplugged Computing and EPL)

  • 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1-38
    • /
    • 2011
  • 본 연구에서 정보 영재를 교육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언플러그드 컴퓨팅과 EPL을 이용한 심화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먼저 언플러그드 컴퓨팅 교육을 분석하고 EPL을 활용한 정보영재교육을 위한 심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영재교육프로그램의 교육과정과 수업 전략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정보영재학급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언플러그드 컴퓨팅 심화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영재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T 기반 지식과 알고리즘에 대한 사전 사후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플러그드 컴퓨팅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반이 사후검증에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성취도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언플러그드 컴퓨팅 교육프로그램은 향후 정보영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대학교 부설 영재교육원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인식 (The Percep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of a University-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toward Its Educational Programs)

  • 강경희;정충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51-759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 부설 과학 영재교육원 중등영재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이 연구는 대학교 부설 과학 영재교육원 중등영재교육과정 수강생 18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영재 학생들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재 학생들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을 더 많이 알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창의적 사고 등에서 향상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현재 영재교육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그 프로그램에서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따라서 각 영재교육기관별로 이루어진 인식 조사 결과를 종합하고 그를 바탕으로 향후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개선점을 도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조사 연구 (A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Gifted Education Program)

  • 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1호
    • /
    • pp.51-93
    • /
    • 1999
  • This survey is to know the present situation and effective alternatives of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the 5-8 grade students in Korea. This is aiming at finding effective ideas useful to the definition of the gifted,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s and tools for identification, the proper organization of program and urgent issues. The number of collected questionnaire available by mailing is 92; 21 specialists, 24 experienced teachers and 47 scholars who are concerned with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Not translated original Korean-Questionnaire is in the appendix.

  • PDF

Science Gifted Learning Program: Research & Education Model

  • Shim, Kew-Cheol;Kim, Yeo-Sa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35-641
    • /
    • 2005
  • This paper suggests a research & education (R&E) model for the gifted in science education. The model has been developed under three assumptions. The first is that using the sequences of a gifted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o facilitate the process will assist in gifted students'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comprehension of laboratory practice through concrete experimental experience. The second is that gifted students will be able to apply this learning to further study using and extending scientific knowledge and experience. The third is that challenging tasks and feedback at the requisite stage of development will improv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The R&E Model has five phases: engaging, exploring, planning, performing and elaborating; furthermore, it suggests roles for the mentee and mentor. The R&E model has two functions for gifted education. The first is providing guidance for gifted curriculum developers as they design a mentor program, and the second is helping a mentor improv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through use of strategies. This model has potentials to educate the gifted students in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4D 프레임 활용 학습이 초등 수학영재학생의 공간감각 및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4D-Frame Teaching upo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Spatial Sense)

  • 이주용;최재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1호
    • /
    • pp.1-2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개발되어 도형학습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4D 프레임을 활용한 수학영재 학습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초등 수학영재학생들의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의 5, 6학년 도형영역의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4D 프레임을 활용한 수학영재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대구광역시 소재 ${\bigcirc}{\bigcirc}$교육지원청 A, B초등학교의 영재학급에 소속된 6학년 36명(남:22명, 여:1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본 연구자가 구안한 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실시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4D 프레임을 활용한 학습프로그램은 초등 수학영재학생들의 공간감각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하위 요소에 있어서는 공간시각화 영역의 회전 요소와 공간 방향화 영역의 거리감각 및 물체의 구조인식 능력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초등 수학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하위 요소에 있어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모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4D 프레임 활용 학습 프로그램이 초등수학 영재학생들의 공간감각과 수학적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뇌 기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와 초등일반학생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rain-Based STEAM Teaching-Learning Program on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류제정;이길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1호
    • /
    • pp.36-46
    • /
    • 2013
  • The creative thinking and emotional trainings are very important educational issues in the knowledge-information-based future society. Recently STEAM education is suggested as one of the educational solutions to prepare the future society.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STEAM teaching-learning program and analyze its effects on the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ur different subject matters based on the 2007-revised curriculum were selected to construct the brain-based STEAM teaching-learning program consisting of 12 class hours. The program was applied to 50 elementary general students and 19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brain-based STEAM programs is effective to improve the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science-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fter class. The creativity of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fore the class. However after class, the creativity of gifted-science student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gifted-scienc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before the class. Therefore in oder to analyze the different effects of the program on two groups in emotional intelligence, the test results of both group of students were analyzed by ANCOVA after class. This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program is more effective in gifted-science students to improve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영재아의 개인 및 부모 변인이 완벽주의 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al and Parental Variables on Perfectionism of the Gifted Children)

  • 최영은;최보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25-3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 and parental variables on perfectionism of gifted children. The study subjects were 113 gifted children who were taking a special educational program at D academy of Gifted Education, located in the city of Taegu. They were in the 5th and 6th grades at elementary school.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were Perfectionism Scale, Achievement Goal Scale, and Parenting Behavior Scal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m didn'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nx, grade, and parent's educational level.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m and parent's perfectionism.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ifted children'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havior.5) Achievement goal affected perfectionism.

웹기반 원격 수학영재교육 학습자료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in Mathematics)

  • 이영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81-95
    • /
    • 2003
  • 국가발전과 영재의 재능계발을 목적으로 한 영재교육의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국가적 차원의 뒷받침을 받고 있는 지금 영재교육과 관련된 여러 가지 연구들이 있지만, 정작 영재들을 교육할 학습자료의 개발이 미흡하여 영재지도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인터넷사용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컴퓨터 응용기술의 발전으로 면대면 수업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원격교육시스템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지만 이를 직접 영재교육에 적용한 사례는 흔하지 않다. 이에 웹기반의 원격 수학영재교육용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현재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수학 영재교육을 보충하고 영재교육의 연속성을 확보하며, 나아가 지리적 여건상 집중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에서의 수학영재교육의 내실을 기할 수 있도록 한다.

이공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그릿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Science & Engineering Fields to Career Outcome Expect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Grit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 최진수;김영민;이영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28-3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To do thi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129 in H-science gifted high school with K-institute.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after participating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studen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it has been increased that external factor of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ontinuation effort of grit. In this study, it has showed educational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that related to career recogni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of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