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Scientific Models and Cognitive Processes in Scientific Inquiry of the SNU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 Program

서울대학교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탐구의 인지 과정 분석

  • Shin My-You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un Miran (SNU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e Seung-Ur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신미영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전미란 (서울대학교 과학영재센터) ;
  • 최승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We have analyzed the science-gifted educational program (year 2002)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terms of its educational objectives, scientific models, and cognitive processes in scientific inquiry in order to provide insights into developing and improving science-gifted educational program. We assumed the following items as important factors for teaching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volving synthesis domain in the educational objectives, highly abstract nature and complexity in the scientific models, cognitive processes of planning experiments in the cognitive processes in scientific inquiry.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the program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the rates of both higher and lower-order thinking skill domain in the educational objectives are similarly high, but the rate of synthesis domain is relatively low; (2) in the case of the scientific models, the rate of the multiple concepts and/or processes model is relatively low, while the level of the abstractness is relatively on average (3) cognitive processes of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is not thoroughly reflected in the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and very few cognitive processes of planning experiments factor is reflected. Therefore, we conclude in the synthesis domain in the educational objectives, multiple concepts and/or processes model, and cognitive processes of planning experiments should be especially reflected more on the science-gifted educational program in order to serve the need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본 연구는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선하는데 반영하고자 2002년도 서울 대학교 과학 영재 교육센터에서 운영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각 주제에 제시된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을 분석하였다. 교육 목표와 과학적 모형, 탐구 활동의 세 요소들은 과학 교육 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각 요소들이 제시된 정도를 파악한 후 이들의 수준이 영재 학생들의 인지적 요구를 충족시키는지에 초점을 두어 분석 결과를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 목표의 인지 영역 중에서 상위 사고력 영역에 해당하는 종합 영역, 과학적 모형 중에서 상위수준의 추상성과 복잡성 모형인 다 개념-과정 모형,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 중 창의성 영역에 해당하는 실험 설계의 인지 과정이 과학 영재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중요한 항목임을 전제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 대학교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각 주제에 제시된 교육 목표는 상위사고력 영역과 하위사고력 영역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그 중에서 종합 영역은 낮게 나타났다. 과학적 모형은 다 개념-과정 모형보다는 단일 개념 모형이 많았으며 추상성 수준은 중간 정도였다.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은 실제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을 고르게 다루지는 않았다. 특히 실험 설계의 인지 과정은 적게 다루고 있었다. 따라서 분석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이 과학 영재들의 인지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종합 영역의 교육 목표, 다 개념-과정 모형, 실험 설계의 인지 능력을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2002,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지구과학분과 자료집.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112 p
  2.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2002,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화학분과 자료집.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143 p
  3.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 2002,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물리분과 자료집.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141 p
  4.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2002,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생물분과 자료집.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176 p
  5. 유정화, 1995, 교육목표 분류학에 따른 중.고등학교 사회과 평가의 사고력 수준 분석-정치.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90p
  6. Anderson, L. W., 1999, Rethinking Bloom's Taxonomy: Implications for Testing and Assessment.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435 630. 25 p
  7. Bloom, B. S.,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1: cognitive domain. David Mckay Company, New York, USA, 207 p
  8. Chinn, C. A. and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 (2), 175-218 https://doi.org/10.1002/sce.10001
  9. Cross, G and Wills, K., 2001, Using Bloom To Bridge the WAC/WID Divid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464 337, 26 p
  10. Germann, P. J., Haskins, S., and Auls, S.,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5), 475-4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5)33:5<475::AID-TEA2>3.0.CO;2-O
  11. Gibson, H. L. and Rea-Ramirez, M. A., 2002, Keeping the Inquiry in Curriculum Designed To Help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ellular Respir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465 634, 17 p
  12. Grosslight, L., Unger, C., and Jay, E., 1991, Understanding Models and their Use in Science: Con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xper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 (9), 799-822 https://doi.org/10.1002/tea.3660280907
  13. Harrison, A. G. and Treagust, D. F., 1998, Modelling in Science Lessons: Are there Better Ways to Learn With Model?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 (8), 420-429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8.tb17434.x
  14. Maker, C. J. and Nielson, A. B., 1995,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Strategies for Gifted Learners, 2nd ed. Pro. Ed, Austin, USA, 345 p
  15. Sultana, Q. and Klecker, B. M., 1999, Evaluation of First-Year Teachers' Lesson Objectives by Bloom's Taxonom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436 524, 15 p
  16. Wang, H. A., 1998, Science Textbook Studies Reanalysis: Teachers 'friendly' content analysis method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423 142, 22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