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iatric oral health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일부지역 노인복지관 노인들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Efficacy of Senior Citizens in Welfare Centers in Some Areas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and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 박홍련;구인영;문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000-1009
    • /
    • 2014
  • 본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인식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과 삶의 질,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고자, 2013년 1월 9일부터 2013년 6월 5일까지 대구광역시 7개의 구에 있는 6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582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성별은 치통과 구강건조증, 연령층별은 구강건강상태, 음식저작 장애, 치주문제, 구강건조증, 최종학력에서는 구강건강상태, 음식저작 장애, 치통, 치주문제, 동거가족 수에서는 음식저작 장애, 치통, 치주문제, 구강건조증, 구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 항목에서 '나의 구강은 건강하지 않다'가 3.11점이었고, '나는 턱에서 소리가 나거나 아프다'가 1.99점이었다. 구강건강상태 인식에 따른 사회적 효능감에서 건강은 2.05점, 삶의 질에서 건강은 3.41점이었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에서 건강의 경우 기능적 제한은 2.13점, 신체적 동통은 2.53점, 심리적 불편은 2.17점, 신체적 제한은 2.31점, 심리적 능력저하는 2.06점, 사회적 능력저하는 1.81점, 사회적 불리는 1.99점이었다. 노인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의 기회제공과 예방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하여 구강건강이 진행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방안모색이 충분히 고려될 때 노인의 구강건강 뿐만 아니라 삶의 질까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노인의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ntal prosthese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 허익강;이태용;동진근;홍송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01-110
    • /
    • 2010
  • 연구목적: 사회복지관 이용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과보철물 상태를 역학적으로 조사하고 이러한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노인들의 치과보철물과 관련된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전광역시 소재 7개 사회 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표본 275명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느끼는 구강건강인식 및 삶의 질에 대한 설문조사와 치아 및 치과보철물 상태에 대한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삶의 질은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1.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인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부부가 함께 사는 가족형태에서GOHAI는 높게 나타났다. 2. 가철성 의치를 처음 사용한 평균연령은 62.11세였고 의치의 평균사용수명은 10.76년이었다. 전체 조사 대상자의 57.5%가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총의치 사용자는 전체의 13.8%이었다. 3.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한 경우나 총의치에서 편악 보다는 상 하악을 함께 총의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저작 불편감과 발음문제를 적게 느끼며 저작능력지수와GOHAI는 높게 나타났다. 4. 의치 만족도가 높고, 항상 의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새로운 의치의 필요성이 없고 의치적합도가 양호한 경우에 GOHAI는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저작이 가능한 기능 치아를 구강 내에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자연치아의 상실이 많은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과보철물을 통하여 치아를 수복하여 줌으로 정상적인 저작기능을 회복하여 주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Effect of 1-palmitoyl-2-linoleoyl-3-acetyl-rac-glycerol on Immune Functions in Healthy Adults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Hwang, Hee-Jin;Sohn, Ki-Young;Han, Yong-Hae;Chong, Saeho;Yoon, Sun Young;Kim, Young-Jun;Jeong, Jinseoun;Kim, Sang-Hwan;Kim, Jae Wha
    • IMMUNE NETWORK
    • /
    • 제15권3호
    • /
    • pp.150-160
    • /
    • 2015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1-palmitoyl-2-linoleoyl-3-acetyl-rac-glycerol (PLAG) accelerates hematopoiesis and has an improving effect on animal disease models such as sepsis and asthma. The effects of PLAG supplementation on immune modulation were assessed in healthy men and women. The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LAG supplementation on immune regulatory functions such as activities of immune cells and cytokine production.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was conducted. Seventy-fiv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all participants had an appropriat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on the testing day. The PLAG group (n=27) received oral PLAG supplements and the control group (n=22) received oral soybean oil supplements. IL-4 and IL-6 production by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were lower (p<0.001 and p<0.001, respectively) with PLAG than with soybean oil. However, the production of IL-2 and IFN-$\gamma$ by PBMC was unaltered with PLAG supplementation. The B cell prolife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LAG group compared to the soybean oil control (p<0.05). The intake of PLAG in healthy adults for 4 weeks was deemed safe. These data suggest that PLAG has an immunomodulatory function that inhibits the excessive immune activity of immunological disorders such as atopic and autoimmune diseases. PLAG could improve the condition of these diseases safely as a health food supplement.

노인의 구강 입체인지와 인지, 수단적 일상생활, 삶의 질과의 관계 : 예비연구 (The Correlation of Oral Stereognosis, Cogni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A Pilot Study)

  • 박은정;정민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89-196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 입체인지 검사를 시행한 후 그 특징을 알아보고 인지, 수단적 일상생활,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75세 이상의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구강 입체인지를 평가하고, 인지는 MoCA-K, 수단적 일상생활수준은 K-IADL, 삶의 질은 GQOL을 사용하여 평가 하였다. 구강 입체인지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정확성이 감소되며, 교육수준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여러 가지 도형 중 모서리가 명확하고 면적이 넓은 도형이 인식하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 입체인지는 인지, 수단적 일상생활, 삶의 질과 관련성이 있어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구강 입체인지는 인지를 포함한 노인의 기능 수준과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강을 통한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대규모의 대상자를 통한 노인용 구강 입체인지 평가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roposal for dementia-related curriculum development for dental hygiene degree programs in Korea

  • Lee, Kyeong-Hee;Choi, Yoon-Young;Jung, Eun-Seo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91-905
    • /
    • 2019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dementia-related education for dental hygiene degree programs in Korea, as well as to develop a dementia-related curriculum for dental hygiene programs suitable for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Korea.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April and November 2018. First, the current state of dementia-related education for dental hygiene programs in colleges throughout Korea and dementia-related education for other health care-related field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initial findings, the basic content of the preliminary curriculum was constructed. Second, based on the opinion of the dementia-related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comprising 10 professors of dental hygiene, the operations of dementia-related courses and relevant details were constructed. Third, these operations and relevant details were assessed and revised based on focus-group interviews. Fourth, the dementia-related curriculum was develop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and literature review. Results: The name of the course in the developed curriculum was set as "Elderly Dental Hygiene and Practicum." The course was established as a "major elective," and was offered as two units with two instructional sessions of two hours each. The learning goal for this course was acquiring the methods for understanding and mana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 consensus was reached regarding conduct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lessons on some of the dementia-related content. The dementia-related curriculum comprised 10 "required contents" which is to be conducted over three weeks of theoretical lessons and two weeks of practical lessons. Conclusions: With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for geriatric oral health interventions are warranted in dental hygiene education. However, continued discussions and improvements are needed on the extent of educational content, considering various dementia-related symptoms and general geriatric systemic diseases.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성향점수 분석과 회귀모델을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Propensity Score Approaches)

  • 차선아;배수영;남상훈;홍익표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61-77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2020년에 수집된 제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 참여한 지역에 거주하는 45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 점수를 기준으로 분류한 인지기능, 종속변수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이다. 인지기능 그룹 간 공변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성향점수 활용법 중 역확률가중치를 적용 후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역확률가중치 적용 전의 다중회귀분석과 적용 후의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는 총 6,116명으로 인지정상군 4,367명, 경도 인지손상군 1,155명, 중증 인지손상군 594명으로 구성되었다. 성향점수 역확률가중치 적용 결과로 표준화된 평균 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ence)를 확인하여 0.2 이상인 변수를 다시 통제하고 분석한 다중회귀모델에서 인지기능 그룹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부정적인 연관성이 있었다(정상 vs. 경도: β = -2.534, p < .0001; 정상 vs. 중증: β = -2.452, p < .0001). 결론 : 본 연구 결과에서 인지손상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음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성향점수 활용 후 중증 인지손상보다 경도 인지손상에서 더 부정적인 연관성을 나타낸 결과는 인지손상은 저하된 정도와 관계없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지기능의 감퇴가 나타난 모든 환자들은 구강관리의 중요성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도시농촌 노인의 구강건강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s Concerning to Residence at Urban and Rural)

  • 윤영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3-28
    • /
    • 2006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인 노인구강보건 사업개발을 위하여 일차적으로 노인들의 구강건강조사항목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조사 검토해 보았다. 연구대상자는 도시지역 거주자로서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으로서 2005년 5월 30일에서 6월 30일까지 동주대학 특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지역어르신 무료건강관리' 행사에 참여한 노인 113명과 농촌지역 거주자로서 경남 거제시 사등면 사등리 대리마을 일대에 거주하는 노인으로서 2005년 9월 12일에 연구자가 그 지역을 직접 방문조사한 102명을 합친 총 215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조사하기 위해 Cushing과 Sheiham(1986)이 개발한 Sociodental Scale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for windows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및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1. 조사대상자는 성별에 있어 남자가 22.7%, 여자가 77.3%였으며, 연령에 있어 60~70세가 46.8%, 71세 이상이 53.2%로 나타났다. 2. 구강건강관련 항목을 조사한 결과 먼저 악안면 외상에 있어서 치아외상경험이 있는 경우가 30.9%, 없는 경우가 69.1%로 치아외상경험이 없는 경우가 더 많았다. 치아외상원인으로 교통사고 2.8%, 운동중 사고 10.4%, 넘어짐 3.5%, 기타 14.8%로 나타났다. 3. 악관절 장애에서 개구시 악관절 소리가 나는 경우가 15.3%, 나지 않는 경우가 84.7%였고, 현재 악관절 통증이 있는 경우 10.6%, 없는 경우 89.4%였으며, 개구시통증이 있는 경우 10.3%, 없는 경우 89.7%였고, 병원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 6.4%, 없는 경우 93.6%로 나타났다. 4. 응급구강진료 필요성에 있어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상태인 경우가 8.0%, 응급치료가 필요한 통증이나 감염상태인 경우가 19.6%, 중대한 상태가 아닌 경우가 72.4%로 나타났다. 5. 부정치과시술에 있어 부정치과시술경험이 있는 경우가 23.7%, 없는 경우가 76.3%였고, 부정치과시술 만족정도에서는 불편함 없이 잘 사용하는 경우가 10.5%, 약간 불편한 경우가 6.0%, 불편하고 부작용이 있는 경우가 5.0%였고, 참기 힘들 정도로 불편한 경우가 2.7%로 나타났다. 부정치과시술 결과상태에 있어 양호하다가 11.8%, 약간문제가 있다가 7.8%, 문제가 심각하여 재진료가 필요하다가 2.3%, 매우 심각한 문제가 있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가 1.4%로 나타났다. 6. 연령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분석한 결과 60~70세 노인은 $2.19{\pm}0.88$이고 71세 이상 노인은 $2.63{\pm}1.12$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1). 7. 거주지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분석한 결과 도시는 $2.58{\pm}1.13$이고 농촌은 $2.24{\pm}0.89$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이상의 결과로 우리나라 노인들의 삶의 질 관련 구강보건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구강보건사업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며, 또한 구강건강이 노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들이 더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되고, 이러한 연구과정에 구강건강이 노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한국적인 평가도구의 개발도 더 많이 시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 PDF

의치 장착 노인과 임플란트 장착 노인의 저작능력 및 삶의 질 비교 연구 (A study of comparative the mastication capability and life quality of elderly people using dentures or implants)

  • 김영숙;전보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629-636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oral health o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atients with dentures or implants. It is our intention that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aid seniors in making the choice between dentures or implants, considering future masticatory function and the likely effects of this decision on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Methods : This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November 1, 2010 and November 25, 2010, in Kyunggi-Do, whasung cit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t one public health center, among elderly patients. 105 seniors were surveyed using the direct interviewing metho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PGC) Morale Scale. Collected data was examined using the SPSS 13.0 program, using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is, T-test and $x^2$ test. Results : The number of residual teeth for patients who have implants was $20.45{\pm}5.85$, while among those patients with dentures the number was considerably lower, $8.11{\pm}7.66$(p<0.05). The results of patients masticatory function, was $28.13{\pm}2.40$ for those with implants, and $25.35{\pm}4.15$ with dentures. The results were better for those with implants. Among implant patients overall satisfaction was rated $25.21{\pm}3.63$, higher than for those with dentures $20.20{\pm}6.79$(p<0.05). Quality of life was scored higher for patients with implants($12.76{\pm}2.61$) compared to those with dentures($10.47{\pm}3.52$)(p<0.05). The subjects masticatory function was highly related to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greater masticatory fun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 Dental treatments such as dentures and implants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Implants can improve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and the general quality of life more than denture therap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Natural Remaining Teeth an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in Korean Older Adults

  • Kim, Sunyoung;Min, Jin-Young;Lee, Hong Soo;Kwon, Kung-Rock;Yoo, Jinho;Won, Chang Won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194-199
    • /
    • 2018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natural teeth (NRT) and the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index (SMI) in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2008-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s. The participants were 2,378 older participants (984 men and 1,394 women) aged over 65 years. Survey dentists conducted oral health examinations, and ASM was measur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The participants with $NRT{\geq}20$ had more ASM and SMI than those with NRT<20 in both sexes. SMI was correlated with NRT in men (r=0.018, p<0.001) and in women (r=-0.007, p<0.001).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RT and SMI remained significant in men even after adjusting for age, marital status, income,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protein intake, energy intake, calcium intake, body mass index, fasting blood glucose level, medications, and prostheses (${\beta}=0.011$, p=0.001). In women, the correlation disappeared after adjustment for smoking, alcohol, physical activity, protein intake, energy intake, calcium intake, marital status, income, fasting basal glucose,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prosthese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NRT and SMI in those ${\geq}65$ years of age in Korea. The relationship persisted in men, but not in women, eve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건강보험중 구강요양급여의 청구 및 심사에 관한 치과의사의 견해 (Dentists' Opinions in The Dental Field of Present Health Insurance Claim and Review)

  • 장용석;안용우;박준상;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2호
    • /
    • pp.215-230
    • /
    • 2005
  • 이 조사논문은 건강보험 중 구강요양급여의 청구 및 심사등과 관련하여 일선 개원치의들의 견해를 조사하고, 보험관련정책수립에 개원치의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코자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조사는 2004년 2월경에 부산광역시 경남일대에 개원하고 있는 1,465명의 개원치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중에서 406명으로부터 답변을 얻었고,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청구업무와 관련된사항 : 보험청구의 담당은 대체로 치과위생사(간호조무사)와 치과의사의 직접청구방식이 많았다. 대행청구는 그 비중이 전체에서 20%미만을 차지했다. 2.보험강좌의 참여도 : 보험강좌에 대한 관심은 비교적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이의신청유무 : 보험청구에 관련한 이의신청 유무는 엇비슷하게 나타났다. 4. 건강보험 심사규정에 관한 개원치의들의 견해 : 현재의 진료비 심사규정 지침에 대한 개원치의들의 생각을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는 "심사기준이 난해하고 부당한 삭감이 많은 것 같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5.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관련한 사항 : 약 70%의 개원치의들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자율지도라는 명분하에 이루어지는 대화방식에 불만을 표시했다. 6. 진료비 영수증 발급에 대한 개원치의들의 입장 : 약 70%의 개원치의들은 진료비 영수증 발급에 여려움을 겪고 있었다. 7. 건강보험 비급여 진료분야의 급여적용에 관한 사항 : 대다수의 개원치의들은 전악 스켈링처치와 치면열구전색처치 및 불소도포와 같은 예방치료에 대해서는 급여적용을 희망하였다. 노인틀니, 귀금속을 제외한 보철치료, 광중합레진치료 등에 관하여는 비급여적용을 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