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 causat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해상보험(海上保險)에서의 복합인과관계(複合因果關係)에 관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Complex Causation of Loss in Marine Insurance)

  • 박성철
    • 무역상무연구
    • /
    • 제15권
    • /
    • pp.119-13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how to decide the cause of loss or damage to the transport goods when maritime accident occurs. In marine insurance, the underwriter is liable for any loss or damage proximately caused by a risk insured(MIA Art.55). So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proximate cause of loss or damage to ascertain whether it is to be recoverable under the policy. But there is no definite conception or rule what is the proximate cause. It was left to the tribunal as a question of fact. In this paper, I will suggest the general rules to determine the proximate cause of loss or damage of the transport goods in marine insurance. First, in MIA 1906, there is the rule of proximate causation and it has been established the effective causation by cases since 1918. Second, in Institute Cargo Clauses(B) & (C), there are rules of considerably relaxed standards to determine the causation of loss of or damage using the "attributable to" and "caused by" basis. Third, it is noted, under the complex causation situation, there are difference basises to decide the liability of underwriters between the case of successive occurrence of single risk and the case of concurrent occurrence of several risks. Forth, in practice, it couldn't be ascertained the underwrier's liability by a definite rule and it should be fully considered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of the loss.

  • PDF

의료과오소송 원고의 증명부담 경감 - 대법원 판례상 '일반인의 상식' 문언을 중심으로 - (Mitigation of Plaintiff's Duty to Prove in Medical Malpratice Litigation - Focused on the Phrase "Layman's Common Sense" in Supreme Court Precedents -)

  • 석희태
    • 의료법학
    • /
    • 제8권2호
    • /
    • pp.195-204
    • /
    • 2007
  • It is a general principle that the plaintiff takes burden of proof about negligence and causation in a civil compensation litigation. And it is the same in a medical malpractice lawsuit. Korean courts have made diverse efforts to mitigate the plaintiff's duty to prove in medical malpractice lawsuits under the name of justice and impartiality. One of those theoretical attempt is 'presumption of causation'. The Supreme Court, since 1995, has developed a new logic for the theory of 'presumption of caus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a phrase "layman's common sense". The Court presumes the defendant's negligence and causation when the plaintiff alleges and proves the facts which can be pointed out and expressed by a layman with common sense. And if the defendant fails to prove that the result was caused by other fact than own medical activities, the defendant shall be defeated. I realize that this theory has problem for justice and impartiality. I would say that two fators should be considered and added to this logic. First,are defendant's acts generally belonging to gross negligence which would cause that kind of bad result? Second, is it recognized that there would be the causation generally and statistically between the cause and the result?

  • PDF

김세화 교수의 반론과 활성 경로 이론의 제한 및 확장 (The Active-Route Account Restricted and Expanded: A Reply to Seahwa Kim's Criticisms)

  • 김성수
    • 논리연구
    • /
    • 제18권2호
    • /
    • pp.265-289
    • /
    • 2015
  • 인과 관계가 결과와 원인 간의 반사실적 의존 관계로 분석될 수 있다는 직관은 설득력이 있다. 활성 경로 이론은 단순한 형태의 반사실적 인과 이론의 문제점을 피하면서도 이 직관을 유지하기 위해 제안된 이론이다. 하지만 이 이론 역시 심각한 반례에 직면한다. 김세화 교수는 최근의 논문에서 이러한 반례를 반박하고자 제시된 기존의 해결책이 갖는 문제점을 설득력 있게 비판하였다. 이 논문은 김세화 교수의 비판을 논의하고 더 나아가 활성 경로 이론에 대한 반례를 극복할 수 있는 또 다른 해결책을 논의한다. 특히 활성 경로 이론의 적용 범위를 제한하고 이렇게 제한된 이론을 다시 확장하는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활성 경로 이론을 그 반례로부터 방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건설사업 특성에 따른 공기연장사유 분석 (Analysis of Delay Causation by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Projects)

  • 김종한;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78-86
    • /
    • 2007
  • 건설사업 수행에서 정해진 공사기간은 가장 중요하게 이행 및 관리되어야 하는 것으로, 공정관리를 건설사업관리의 최우선으로 두고 있으나, 최근 공공건설사업, 특히 토목사업의 대부분에서 공사기간이 연장되고 있고, 그 비용 또한 막대하여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사기간연장에 대한 예방 및 해결의 문제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연구를 통하여 그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해 왔다. 그러나 문제점의 근본이 되는 공기연장사유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이는 공기연장예방과 해결의 핵심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없이는 관리 및 해결방안은 형식적일 수밖에 없음은 자명하다. 사업의 특성에 따라 관련 RISK는 다르고, 연장사유 역시 사업특성에 따라 동일하지 않음이 분명한 바, 본 연구에서는 공종별 특성, 계약유형별 특성, 사업수행주체별 특성, 계약조건상의 특성 등을 비교하여 그 상이함을 도출하였고, 이는 공기연장예방 및 클레임해결과 연관하여 중점사유 대상선정, 사전적 관리 및 해결방안 도출 등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형법상 제조물책임과 인과관계의 확정 (Product Liability and Causation in Criminal Law)

  • 이석배
    • 의료법학
    • /
    • 제17권2호
    • /
    • pp.3-28
    • /
    • 2016
  • 민사법에서 제조물 책임이 전문용어로 정착된 반면, 형사법에서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 전문용어는 없다. 민사법에서 제조물책임과 달리 형사책임에서는 개개인의 책임성과 규범질서의 장애가 중요하다. 즉 구체적인 개개인의 의무위반행위가 그리고 제조물이 법익위태화 또는 법익침해라는 결과를 야기했다는 인과관계가 입증되어야 한다. 형법에서 제조물 책임은 일반 거동범을 제외하고는 상해죄 또는 과실치상죄, 살인죄 또는 과실치사죄가 주로 문제가 된다. 물론 결과발생과 관련된 행위가 작위인지 부작위인지 구별되어야 하고, 그 행위와 결과사이에 인과관계가 입증되어야 하며, 고의 혹은 과실도 인정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독일, 스페인 등에서 실제로 문제가 되었던 판례들을 분석하여 인과관계의 확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특히 제조물과 관련된 형사책임을 인정하기 위한 핵심문제인 인과관계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인과관계의 검토단계를 자연과학적 인과법칙과 규범적 인과관계로 나누어 2단계로 검토하는 견해를 따랐다. 이 절차에 따른 제조물의 형사책임을 인정하기 위한 인과관계의 입증은 우선 그 제조물의 특정물질이 결과발생을 야기할 수 있는 일반적인 위험성이 있어야 하고, 그것을 전제로만 구체적인 사안에서 인과관계의 검토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일부 판례와 학설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일반적 인과관계 자체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유심증에 의해 구체적 인과관계를 확정한다고 하더라도 일반적 인과법칙에 반하는 것이 아니며, 법관의 심증을 경험법칙보다 우위에 놓은 것도 아니므로 구체적 인과관계의 인정이 가능하다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이 글은 구체적 인과관계를 인정하기 위한 전제인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의심없는 인과법칙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법관은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in dubio pro reo)" 원칙에 따라 무죄를 선고해야 하며, 사실상 입증책임의 전환의 효과가 있는 자유심증이라는 방식으로 객관적으로 입증되지 않는 사실에 대한 부담을 피고인이 지도록 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법관의 임무는 인과관계가 100% 확실하다는 데 대한 합리적 의심이 없어야 한다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추정하는 것이지만, 일반적 인과관계가 100% 확실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통계적으로 유미의한 인과관계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 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 PDF

수면, 자살, 세로토닌의 상호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leep, Suicide, and Serotonin)

  • 박영민
    • 수면정신생리
    • /
    • 제20권1호
    • /
    • pp.5-9
    • /
    • 2013
  • One of hypothesis is that sleep loss related to a decrease in serotonergic activi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attempted suicide. A growing evidence suggests that central serotonergic activity plays a key role in the etiology of suicide.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cerebrospinal fluid (CSF) levels of 5-hydroxyindoleacetic acid (5-HIAA), the main metabolite of serotonin, were reduced in suicide attempters. In addition, there is evidence that tryptophan hydroxylase is associated with suicide.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suicide was also suggested by some researchers. Several recent studies have showed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isturbance and suicide rates in 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and in a general population. In addit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serotonin plays a role in maintaining arousal and regulating muscle tone and in regulating some of the phasic events of REM sleep. Especially, it is well-known that 5-HT2 receptors are related to slow wave sleep. In conclusion, it is clear that sleep, serotonin activity, and suicide are linked, although the direction of causation needs clarification. In future, large population-based cohort studies are needed to demonstrate the direction of caus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leep, serotonin activity, and suicide.

국내 고위험 유전성 유방암 환자의 유전자검사 경험 (Experiences of Breast Cancer Women Undertaking Genetic Test)

  • 전명희;최경숙;안세현;구보경
    • 종양간호연구
    • /
    • 제5권2호
    • /
    • pp.146-158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obtain a understanding of breast cancer women with high risk for hereditary cancer syndrome. Method: A micro-ethnography was used, including participation observation, open-ended in-depth interviews. Results: Two major arguments were derived. First, When Korean women at high risk to hereditary breast cancer make a decision about whether to take a genetic test, they are strongly motivated by a desire to preserve close kinship bonds and "family love" among their siblings, parents and children. Second, Even after genetic risk assessment and counseling services, Korean women at high-risk for developing a hereditary breast cancer who have been informed that they are mutation carriers, still hold onto previous beliefs about cancer causation. Their cancer prevention strategies a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ir unchanged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cancer causation. Conclusion: More sensitive genetic counseling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Referral programs and clinical services must be attentive to cultural values and beliefs otherwise cultural attitudes and practices toward genetic counseling will not change.

  • PDF

결혼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종단분석 및 아동기 부모 이혼의 조절효과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ransition into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and Childhood Parental Divorce as a Moderator)

  • 이윤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1호
    • /
    • pp.113-125
    • /
    • 2021
  • Previous research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is limited due to the lack of attempts to investigate the time profiles of life satisfaction around marriage. This study addresses unresolved questions about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ests if it is moderated by childhood parental divorce. Using 14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N=3,890 individuals or 25,338 person-year observations), the author first used an ordinary least squares model with clustered standard errors and found that married people reported higher life satisfaction before marriage, compared to people who remained single during the survey. This result supports a social selection perspective. Next, the author used a fixed effects regression model and found that the transition into marriage was associated with an initial rise and subsequent decline in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fter reaching its lowest level in the third year of marriage. Life satisfaction after the transition into marri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bserved three or more years prior to marriage. The result supports a social causation perspective. Such changing patterns were not moderated by parental divorce during childhood. This study advances the current literature on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by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data set as well as by testing social selection and causation perspectives.

의사의 위험설명의무 - 법적 기능, 요건 및 위반에 대한 제재 - (Physician's Duty to Inform Treatment Risk: Function, Requirements and Sanctions)

  • 이동진
    • 의료법학
    • /
    • 제21권1호
    • /
    • pp.3-32
    • /
    • 2020
  • 판례는 의사의 위험설명의무 위반에 대하여 그것과 환자의 동의 사이의 인과관계가 불분명한 때에는 위자료를 지급할 의무를 지우고, 인과관계가 증명되는 경우에는 민사상 전손해배상, 형사상 업무상과실치사상의 책임을 묻는다. 그러나 어느 경우든 설명하지 아니한 위험이 실현될 것을 요구한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사안에서 위자료책임이 인정되었는데, 이는 위험설명의 대상이 되는 위험을 매우 넓게 인정하는 또 다른 판례와 결합하여 의료과오가 증명되지 아니할 때 우회적·간접적으로 일정 부분 배상을 확보하는 사실상의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의사의 설명의무가 의료문화로 정착해가면 갈수록 설명의무 위반이 줄어들고 그 결과 어쩌다 우연적으로 약간의 배상을 제공하는 외에는 오히려 설명대화를 위험의 형식적 나열로 변질시키는 부작용이 두드러지게 된다. 본래 설명의무는 환자의 자기결정을 돕기 위한 것이므로 발생한 악결과가 설명의무 위반에 귀속되는지 여부도 환자의 구체적 자기결정과정을 고려하여 가려야 한다. 즉, 환자가 특정 위험에 대하여 특별한 선호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그 위험이 제대로 설명되었는지, 그리고 제대로 설명되지 아니한 바로 그 위험이 실현되었는지를 보아 그것이 인정되는 경우 전손해배상을 인정함이 옳고, 그 이외의 경우, 특히 환자가 전체적으로 자신이 감수하는 수준의 위험과 기대효과에 노출된 것인지에만 관심을 갖는 경우에는 개개의 위험의 설명 여부나 그 실현 여부를 문제 삼지 아니하는 것이 옳다. 뒤의 경우 세부사항을 설명하지 아니하였는데 그 위험이 실현되었다 하여 인과관계와 귀속관련을 고려하지 아니한 채위자료 상당의 책임을 인정하는 것은 정당화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은 형사법에서 피해자 승낙에 의한 위법성조각에도 타당하다. 이 경우 이른바 가정적 승낙은 위법성조각사유로서 동의의 요건 자체에 흡수되고 독자적인 항변이 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Different Effects of Workers' Trust on Work Stress, Perceived Stress, Stress Reaction,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orkers

  • Rhee, Kyung-Yo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권1호
    • /
    • pp.87-97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ust on work stress. Trus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dimensions; social trust, institutional trust, and trust in ot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trust is regarded as having three components. First, trust has an influence on work stressors as an antecedent variable; secondly, trust modifies the effect of the various stressors, and finally, trust is one of the stressors. Methods: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by interviews and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376 Korean and 77 Japanese workers in small businesses. Subjects were selected by two 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 from the working popul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es. Results: Three different positions of trust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stress causation web. Social trust, institutional trust and trust in others significantly influence different work stressor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workers. Three different kinds of trust influence work stressors among Korean workers, but institutional trust has no impact on work stressors among Japanese workers. As a moderating variable for perceived stress, distrust in an employer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groups. However, stress symptom prevalence among Korean workers is modified by caution, trust in career development, and distrust in co-workers, but that of Japanese workers is modified only by distrust in employer. Job satisfaction of Korean workers is affected by general trust, utility of relation, institutional trust and trust in employer, but among Japanese workers, caution, reputation and trust in employer ha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effect of trust on work stress, perceived stress, stress reac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different among Korean workers and Japanese workers. Three dimensions of trust have three different positions as antecedent, moderating and mediating factors in stress cau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