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 perspective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9초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출산.양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젠더관점과 다문화관점을 중심으로 (Childbirth and Childcare Policies for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aracteristics)

  • 김영주
    • 한국인구학
    • /
    • 제33권1호
    • /
    • pp.51-73
    • /
    • 201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임신 출산 및 자녀 양육 정책의 관점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한다. 즉, 다문화가족의 출산 및 양육 관련 정책은 젠더 관점과 다문화 관점을 동시에 견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이 두 관점에서의 다문화가족 출산 및 양육과 관련한 정책 관점과 내용을 점검한 후, 현재의 관련 정책들을 살펴보고 향후 정책 방향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관련 정책은 젠더 관점에서 볼 때 크게 네 가지 점에서 새로운 방향설정과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현재의 정책들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을 좁은 의미에서의 모자보건에 치중하고 있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생애주기 전반을 고려하는 접근과 지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 결혼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장과 관련한 정책이 강화되어야 하고, 셋째, 임신과 출산에 대한 지원이 생물학적 건강 유지의 성격을 넘어 정신 및 심리적 건강 등 다양한 차원의 지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넷째, 다문화가족의 자녀양육 지원 정책이 대체로 이들을 '자녀양육의 전담자'로 설정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성별분업 체계를 넘어서는 정책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다문화적 관점에서는 소수자인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출산 및 양육 정책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차이들을 인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그러한 점에서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권의 확보와 소수자로서 차별을 받지 않도록 관련 법령들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관련 정책들이 보다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도록 강화되어야 하고, 셋째, 자녀 양육 지원 정책을 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문제가 아닌 자녀양육 환경의 개선과 지원으로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마음 이론과 감정조망수용능력이 유아의 표출 규칙 행동 및 이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ory of Mind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on Young Children's Display Rule Behavior and Understanding)

  • 배윤진;최보가
    • 아동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77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of display rule by age and gender and the effects of theory of mind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on display rule. Subjects were 64 4- to 5-year old children. Instruments were false belief, appearance-reality distinction,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gift-giving, and display rule understanding task. Findings were (1) Display rule understanding differed by age; older children understood the display rules better than younger children. (2) Theory of mind influenced positive display rule behavior. (3) Theory of mind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splay rule understanding.

  • PDF

성 인지적 관점에서 도시의 여성친화도 평가에 관한 연구 - 안산시 공공디자인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 (An Assessment of Woman Friendliness of the City from Gender - Sensitive Perspective View Point - Focused on a Case of Ansan City Public Design Policy -)

  • 하재경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5-12
    • /
    • 2011
  • As the city have been enlarged bigger and more complicated recently, a discussion about a city right, started on the base of perception that a city must be recognized as a public resource and the value. A city rights imply equal use and participation in these city resource. From a start of modern city, a city space have been developed mainly, as a man's economic business and industrial area, but now, to ensure a woman's city right is getting an important factor of citizen's settlement. Then many domestic cities tries to promote a woman friendly city cre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concept of woman friendly city, based on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view point and to make an assessment index of Woman Friendliness of the City (WFC). In a case of Ansan City which city is in the planning stage of application for a woman friendly city.

소비자사회화 관점에서 본 대학생소비자의 의사결점 스타일 (College Students' Decision-Making Styles : An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 Socialization)

  • 김영신;박지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77-91
    • /
    • 2005
  •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consumer decision-making styl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 socialization. A number of antecedent variables identified by preceding studies (age, gender, place where one grew up, job experience, main reason for working, amount of allowance, family income, socio-economic status) and socialization agents such as family, peers, mass medi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is study extends previous studies by examining a theoretical link between the antecedent variables and socialization agents. Three hundred and forty one undergraduate students in Daeje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ix consumer decision-making styles were identified. 2. The influence of the socialization agents, especially mass media and several antecedent variables, especially gender and main reason for working, played important roles in consumer decision-making styles. 3. Several antecedent variables, especially gender and family income, were related only with the influence of socialization agents. 4. Six path-analysis models that illustr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ntecedent variables, the socialization agents and consumer decision-making styles were proposed.

Gender Characteristics in Virtual Fashion Design -Virtual Avatars' Genders and Genderless Fashion Design Concepts-

  • Minji Lena Kim;Sang Ha Yun;Inzali Moe;Eun Kyoung Ya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97-416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gender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virtual fashion design, focusing on avatars and genderless fashion in recent collections from Auroboros, Republiqe, Placebo Digital Fashion House, RTFKT, and Tribute. Employing content analysis within a theoretical framework of gender-related research, the study coded virtual avatars in terms of biological sex, appearance, and sociological perspectives. The results showed a preference for female-type avatars, through which androgynous aesthetics were embraced and traditional gender norms were challenged. Male-type avatars reflected experimentation with blending masculine elements, emphasizing inclusivity. Human-like avatars indicated a preference for designs that promoted inclusivity and, in the process, challenged binary classifications. The examined brands strategically capitalized on compromise, sensuality, and playfulness, thereby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values to opt for more diverse styles. Genderless features combined elements from traditional men's and women's clothing, espousing sensuality and playful exaggeration. These findings signify a dynamic shift away from conventional gender standards to foster inclusivity and experimentation. They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promoting creative strategies and design innovation, challenging the traditional gender perspective in the fashion industry. Implementing these strategies can lead to a more inclusive representation of fashion styles, encouraging critical thinking about gender norms.

과학기술의 젠더혁신 정책 방향 연구 (Policy for Gender Innovation in Scientific Research)

  • 이효빈;김해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41-249
    • /
    • 2017
  • 젠더혁신이란 연구개발을 추진함에 있어 젠더분석을 기반으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과학기술을 창출하는 행동을 말한다. 그간 과학기술은 젠더와 무관한 것으로 간주해 왔다. 그러한 기존의 사고틀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과학기술에서 젠더분석을 고려하지 않아 시장 확보의 기회를 잃고 막대한 손질을 초래한 경우가 종종 있었다. 과학기술 분야에서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젠더혁신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여성과학기술인 부족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뿐만 아니라, 정부에서 추진해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정책이 과학기술계에 퍼져있는 '성과주의' 인식을 무시한 채 무리하게 추진해온 탓도 이유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과학계의 성몰인식을 개선하고 젠더관점을 고려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전 단계에서 젠더분석을 도입하고, 연구자를 대상으로 성인지 교육을 실시하고 나아가 과학연구를 위한 젠더 거버넌스를 구축해야한다.

성차별사회에서 자란 50대 어린이집 원장의 자문화기술지 -에릭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단계를 중심으로- (An autoethnography of a nursery principal in her fifties growing up with experiences of gender discrim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rik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

  • 김옥경;윤은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89-197
    • /
    • 2018
  • 본 연구는 유년 시절 경험한 성차별이 한 개인의 성장과 일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 그가 성인이 된 후 달라지는 남녀차별인식에 어떻게 대응, 적응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자문화기술지를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고, 자아 정립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단계를 기초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로는 에세이, 자기 회상 자료, 자기 성찰 자료, 가족과의 인터뷰 등을 수집, 선발하여 종단 코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시절 경험한 성차별은 기억의 유무와 관계없이 개인에게 오랜 시간 트라우마로 남게 되고, 성인이 된 후, 변화하는 사회와 새로운 가족구성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험과 학습으로 일정 이상의 트라우마 극복은 가능했지만 완전한 치유 및 적응은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의 문제점을 통해 한 개인의 발달을 알아보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다른 문제들을 접목해 고민해볼 수 있는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맞벌이 부부의 통근시간 관련 요인: 첫 자녀의 연령에 따른 집단별 비교 (Factors Related to the Commute Time of Dual-earner Couples: From a Family Developmental Perspective)

  • 김소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2호
    • /
    • pp.255-266
    • /
    • 2020
  • This study observed and investigated the commute time of dual-earner couples from a family developmental perspective. It tested whether the household responsibility hypothesis was effective in explaining the gender gap in the commute time for these couples. I extracted 2,103 time diaries written by 1,266 matched couples from the 2014 Korean Time Use Survey data for this study. The sample was categorized by the age of the eldest child into four age groups of 0-6, 7-12, 13-18, and 19-29. Analytic results from ANOVA, Scheffé test, and OLS regression are as follows. First, husbands traveled longer hours to work than wives in all age groups, while the commute time of couples tended to increase along with the child' age. However, couples in the child group aged 7 to 12 had the shortest commute time. Second, domestic labor time of wive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commute time, which appeared to support the household responsibility hypothesis. Third, in the child group aged 7 to 12, wives spent more time for work commute as their income increased; however, wives with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had a shorter commute time in the child group aged 0 to 6. Forth, neither the wives' nor husbands' work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the wives' commute time; however, both wives' and husbands' work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the husbands' commute time. Th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of spatial entrapment by working wives throughout the family life cycle due to household responsibilities, which provides implications for policy inter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gender gap in commute time for dual-earner couples.

서울 도심의 공간 표상에 대한 젠더문화론적 독해 - '검경(speculum)' 으로 보며 '산보하기(fl$\check{a}$neria)' - (A Reading on the Spatial Representations of Urban Center in Seoul from Cultural Perspective of Gender : 'Fl$\check{a}$nerie' Seeing with Speculum)

  • 이수안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2-300
    • /
    • 2009
  • 이 논문은 서울의 도심을 근대성과 후기근대성이 공존하는 도시공간으로서의 문화텍스트로 상정하고 젠더문화연구의 관점에서 독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물리적 공간과 사회적 주체 간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주요 논제로 상던 기존의 도시사회학과 인문지리학적 논의를 배경으로 하여, 근대성이 관철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의 성별적 표상과 공간의 성별 분할을 파악하였다. 이미지성과 가독성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공간적 해석의 분석틀은 성별분업과 영역의 이분법, 여성성/남성성의 이분법적 재현. 그리고 근대성과 후기근대성이 이들과 조응하고 교차하는 방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Benjamin의 '산보하기(fl$\check{a}$nerie)' 의 도시문화 해석과 음미의 방식은 수용하되 이를 페미니스트 문화독해 방식으로 전화하여 은유적 방법론으로 차용하기 위하여 lrigaray의 '검경(speculum)으로 들여다보기'를 도입함으로써 도시공간분석의 새로운 해석적 방법론으로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