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cy for Gender Innovation in Scientific Research

과학기술의 젠더혁신 정책 방향 연구

  • Received : 2017.09.19
  • Accepted : 2017.10.11
  • Published : 2017.10.28

Abstract

Gender innovation refers to the act of producing more trustworthy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gender analysis in conducting and development.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een considered to be irrelevant to gender and gender analysis. Science and technology lost opportunity to market and sometimes caused massive losses due to the ignorance of gender and the concept of gender differences. Despite importance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ason why gender innovation does not take place is the lack of woman scie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Further, the promotion of female scientists policy bas been pursued by the government is one of the reasons. The government has been forcibly carried out without considering 'performanceism' spreading in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fields. This research argues that scientific research brings gender perspective back into all the level of research conduct. In order to improve gender ignora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gender sensitiv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scientists. Also, gender governance and women's committee for gender analysis should be established to adopt gender analysis in scientific research.

젠더혁신이란 연구개발을 추진함에 있어 젠더분석을 기반으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과학기술을 창출하는 행동을 말한다. 그간 과학기술은 젠더와 무관한 것으로 간주해 왔다. 그러한 기존의 사고틀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과학기술에서 젠더분석을 고려하지 않아 시장 확보의 기회를 잃고 막대한 손질을 초래한 경우가 종종 있었다. 과학기술 분야에서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젠더혁신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여성과학기술인 부족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뿐만 아니라, 정부에서 추진해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정책이 과학기술계에 퍼져있는 '성과주의' 인식을 무시한 채 무리하게 추진해온 탓도 이유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과학계의 성몰인식을 개선하고 젠더관점을 고려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전 단계에서 젠더분석을 도입하고, 연구자를 대상으로 성인지 교육을 실시하고 나아가 과학연구를 위한 젠더 거버넌스를 구축해야한다.

Keywords

References

  1. www.genderinnovation.standford.edu
  2. http://www.gdrc.org/gender
  3. 김지형, "과학기술 젠더 불균형 : 현황과 과제," 과학기술학연구, 제14권, 제2호, pp.251-280, 2014.
  4. 하정옥,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과학과 젠더개념: 켈러, 하딩, 하러웨이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24권, 제1호, pp.52-81, 2008.
  5. www.ytn.co.kr/_1n/0105_201508281020278018
  6. www.gao.gov/new.itms/d01286r.pdf
  7. https://www.ft.com/content/29a005c4-1a2d-11e7-bcac-6d03d067f81f?mhq5j=e2
  8. 이혜숙, 연구지원 정책에서 젠더혁신 적용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2017.
  9. 정인경, "과학기술 분야 젠더거버넌스 : 미국과 한국의 여성과학기술인 정책," 젠더와 문화, 제9권, 제1호, pp.7-43, 2016.
  10. EU Committee, Strategy for Equality between Women and Men 2010-2015, 2011.
  11. EU Committee, Strategic Engagement for Gender Equality 2016-2019, 2015.
  12. 과학기술정통부, 제3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기본계획'14-'18 2014년도 추진실적 및 2015년도 시행계획안, 과학기술정통부, 2015.
  13. 김혜련, "여성주의 연구방법으로서 젠더분석과 기술혁신," 가톨릭철학, 제14권, pp.199-232, 2010.
  14. 주혜진, "여성과학기술인 지원정책에 '여성'은 있는가 - 참여토론과 AHP를 통한 정책 발굴의 의의-," 페미니즘연구, 제14권, 제2호, pp.153-202, 2014.
  15. 이성용, 정고은, 2015년 우리나라 여성과학기술인력 현황,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7.
  16.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2014년도 여성과학기술인력 현황,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