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l image analysi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초

Elevated plasma α1-antichymotrypsin is a biomarker candidate for malaria patients

  • Young Yil, Bahk;Sang Bong, Lee;Jong Bo, Kim;Tong-Soo, Kim;Sung-Jong, Hong;Dong Min, Kim;Sungkeun, Lee
    • BMB Reports
    • /
    • 제55권11호
    • /
    • pp.571-576
    • /
    • 2022
  • Advancements in the field of proteomics have provided opportunities to develop diagnostic and therapeutic strategies against various diseases. About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remains at risk of malaria. Caused by protozoan parasites of the genus Plasmodium, malaria is one of the oldest and largest risk factors responsible for the global burden of infectious diseases with an estimated 3.2 billion persons at risk of infection. For epidemiological surveillance and appropriate treatment of individuals infected with Plasmodium spp., timely detection is critical. In this study, we used combinations of depletion of abundant plasma proteins, 2-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2-DE), image analysis, LC-MS/MS and western blot analysis on the plasma of healthy donors (100 individuals) and vivax and falciparum malaria patients (100 vivax malaria patients and 8 falciparum malaria patients). These analyses revealed that α1-antichymotrypsin (AACT) protein levels were elevated in vivax malaria patient plasma samples (mean fold-change ± standard error: 2.83 ± 0.11, based on band intensities), but not in plasma from patients with other mosquito-borne infectious diseases. The results of AACT immunoblot analyses showed that AACT protein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vivax and falciparum malaria patient plasma samples (≥ 2-fold) compared to healthy control donor plasma samples,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일부 자원 여성에서 모발염색 후 림프구의 DNA손상과 관련 요인 (DNA Damage in Lymphocytes after Hair Dyeing and Related Factors among Women Volunteers)

  • 조진아;오은하;설동근;이은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4호
    • /
    • pp.275-281
    • /
    • 2002
  • Objectives : To evaluate the DNA damage by hair dyeing in human lymphocytes Methods : Comet assay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NA damage in lymphocytes by hair dyeing. Twent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women volunteers whose age ranged from 55 to 67 year old. All subjects had no smoking histor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6 hours after hair dyeing. DNA damage was evaluated by means of the tail moments, which were quantified by a KOMET 4.0 image analysis system. Results : The tail moments before hair dye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ubjects except for the high frequency group. The mean values of the tail moments in subjects with low and high frequencies of hair dyeing were 1.39 and 1.77, respectively (p<0.05). The tail moments after hair dyeing increased significantly, The mean values of tail moments in subjects before and after hair dyeing were 1.45 and 1.79, respectively (p<0.01). However, the difference levels of DNA damage in lymphocytes before and after hair dyeing were found to be slightly lower in both the dietary supplement taking group and high frequency group. Conclusions : The high frequency group appears to have a higher level of DNA damage than the low frequency group before hair dyeing. DNA damage in lymphocyt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olunteers after hair dyeing. In this study, the related factors such as high frequency and taking dietary supplements appeard to reduce DNA damage in lymphocytes after hair dyeing.

Discoloration of teeth due to different intracanal medicaments

  • Afkhami, Farzaneh;Elahy, Sadaf;Nahavandi, Alireza Mahmoudi;Kharazifard, Mohamad Javad;Sooratgar, Aidi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4권1호
    • /
    • pp.10.1-10.11
    • /
    • 2019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coronal discoloration induced by the following intracanal medicaments: calcium hydroxide (CH), a mixture of CH paste and chlorhexidine gel (CH/CHX), and triple antibiotic paste (3Mix).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extracted single-canal teeth were selected. Access cavities were prepared and each canal was instrumented with a rotary ProTaper system. The specimens were randomly assigned to CH, CH/CHX, and 3Mix paste experimental groups (n = 20 each) or a control group (n = 10). Each experimental group was randomly divided into 2 subgroups (A and B). In subgroup A, medicaments were only applied to the root canals, while in subgroup B, the root canals were completely filled with medicaments and a cotton pellet dipped in medicament was also placed in the pulp chamber. Spectrophotometric readings were obtained from the mid-buccal surface of the tooth crowns immediately after placing the medicaments (T1) and at 1 week (T2), 1 month (T3), and 3 months (T4) after filling. The ${\Delta}E$ was then calculated. Data were analyzed using 2-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3-way ANOVA, and the $Scheff{\acute{e}}$ post hoc test. Results: The greatest color change (${\Delta}E$) was observed at 3 months (p < 0.0001) and in 3Mix subgroup B (p = 0.0057). No significant color change occurred in the CH (p = 0.7865) or CH/CHX (p = 0.1367) groups over time, but the 3Mix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lta}E$ (p = 0.0164). Conclusion: Intracanal medicaments may induce tooth discoloration. Use of 3Mix must be short and it must be carefully applied only to the root canals; the access cavity should be thoroughly cleaned afterwards.

반자성 물질을 이용한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의 인공물 감소 (Reduction of Artifact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Diamagnetic Substance)

  • 최우전;김동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81-588
    • /
    • 2019
  • 자기공명영상검사는 조직의 대조도 와 해상력이 우수하지만, 인공물이 발생 될 경우 진단에 영향을 주어 판독이 불가능한 영상을 생성하기도 한다. 치아에 삽입된 금속은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로 되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자화율 차이로 인하여 기하학적 왜곡을 유발하여 영상진단에 저해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반자성 물질을 사용에 따른 금속 인공물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자성 물질로는 치아교정용 와이어와 브라켓인 스테인리스 스틸이 사용되었고 반자성 물질은 구리, 아연, 비스무트를 사용하였다. 검사장비는 1.5T, 3T가 사용되었으며 사용된 시퀀스는 SE, TSE, GE, EPI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체 제작된 팬텀을 물질은 균등한 신호를 위하여 아가로스 겔(10%)을 사용하였으며 인공물 유발 물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은 팬텀의 정중앙에 위치시켜 검사하고 각 길이 10mm의 정 육면체 반자성 물질의 씌워 검사하였다. 인공물 측정은 Image J를 사용하여 순수한 팬텀 영상에서 자성물질을 포함한 영상을 감산하여 얻은 영상에서 Low Threshold 값을 10으로 설정 한 후 Wand tool을 사용하여 인공물 영역설정 후 면적을 구하였다. 스테인리스 스틸에서 발생한 금속 인공물은 반자성 물질 중 비스무트를 사용한 영상에서 금속 인공물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며 구리와 아연은 약간은 감소하지만, 그 정도의 차이는 크지 않다고 하겠다. 이러한 이유는 비스무트의 반자성 자화율이 가장 작아서 강자성체에서의 자화율을 가장 많이 상쇄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1.5T 와 3T 모두에서 비스무트를 사용한 영상의 인공물이 가장 적게 나왔다. 시퀀스별 인공물 감소는 1.5T에서는 TSE에서 가장 많이 인공물이 감소하였으며 3T에서는 SE에서 가장 많은 인공물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반자성물질의 따른 인공물 변화의 결과는 자화율(${\chi}$)이 가장 낮은 비스무트를 사용한 영상에서 금속인공물이 기준인 Implant 인공물 보다 줄어든 양상을 보여 자화율이 낮은 물질일수록 금속 인공물이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기존 금속 인공물의 해결 방법의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스캔 시간의 증가 등이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인공물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향후 치아 교정 물질뿐만 아니라 치아 보철물 전체에 대한 금속 인공물 저감에 관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Expression of angiogenin, TGF-${\beta}$, VEGF, APEX and TNF-${\alpha}$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Lee, Ho-Sun;Kim, Kyoung-Won;Kim, Wun-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1호
    • /
    • pp.8-18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at the expressions of angiogenin,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TGF-${\bet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human apurinic/apyrimidinic endonuclease(APEX)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were associated with the tumorigenesis of th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OSCC). Materials and Methods: Fifty-one samples of OSCC and fifteen normal oral mucosae were obtained to analyze the expression levels of above five factors. mRNA expressions were quantified by the quantitative competitive PCR(QC-PCR) method. After 2% agarose gel electrophoresis stained with ethidium bromide, the concentration of mRNA was calculated by a digital image analysis system. The expression levels of angiogenin, TGF-${\beta}$, VEGF, APEX and TNF-${\alpha}$ were compared by unpaired Student's t-tests between cancer and normal tissues. We analyzed statistically to find the cut-off values that would be useful as diagnostic markers, an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very two factors of these five factors by SAS system. Results: All of these five factors (angiogenin: P<0.0037, TGF-${\beta}$: P<0.0001, VEGF: P<0.0102, APEX: P<0.0023, TNF-${\alpha}$: P<0.0074)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SCC. In the analysis to find the cut-off values for the diagnosis, we could not find any value that had a reasonabl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angiogenin and TNF-${\alpha}$, TGF-${\beta}$ and VEGF, TGF-${\beta}$ and APEX, TGF-${\beta}$ and TNF-${\alpha}$, VEGF and APEX, VEGF and TNF-${\alpha}$, APEX and TNF-${\alpha}$.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not only angiogenin, TGF-${\beta}$, VEGF, APEX and TNF-${\alpha}$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tumorigenesis, but als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might enhance the tumorigenesis of OSCC. We can not find clinical availability for diagnosis.

Load cycling에 따른 소수성 실험용 상아질 접착제의 nanoleakage 양상 (The nanoleakage patterns of experimental hydrophobic adhesives after load cycling)

  • 손서진;장주혜;강석호;유현미;조병훈;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1호
    • /
    • pp.9-1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실험용 소수성 상아질 접착제와 전통적인 3-step 상아질 접착제의 nanoleakage 양상을 load cycling 전, 후에 비교하여 상아질 접착제의 내구성을 예측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두 가지 실험용 소수성 상아질 접착제 즉, 에탄을 포함 상아질 접착제, 메탄을 포함 상아질 접착제를 만들었다. 대구치 30개의 치관부 3분의 1을 절단하고 임의로 3군으로 나누어 각각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t. Paul, MN, USA), 에탄올 포함 상아질 접착제 및 메탄을 포함 상아질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아질 접착 후, 복합레진으로 치관부를 수복하였다. 각각의 접착 시스템을 Load cycling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치아를 접착 계면에 수직으로, 약 2.0 mm의 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여 치아마다 2개의 시편을 얻어 각 군 당10개의 시편을 얻었다. 시편을 50 % ammoniacal silver nitrate를 이용하여 염색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혼성층의 nanoleakage를 관찰하였다. 은 침착의 분포는 image analysis software (Scion Image Beta 4.03, Scion Corp., Frederick, MD, USA)를 이용하여 gray value로 계산하였고 이 원분산 분석법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3종의 상아질 접착제에서 모두 nanoleakage가 관찰되었으나, 에탄올 포함 상아질 접착제와 메탄을 포함 상아질 접착제에서 Scotchbond Multi-Purpose 보다 적은 양의 nanoleakage 가 관찰되었다 (p < .0001). 각각의 상아질 접착제에서 load cycling에 따른 nanoleakage 양상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친수성기를 줄이고 소수성기를 극대화 한 실험용 상아질 접착제가 접착 계면의 내구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버네사이트를 고정화한 알긴산 비드(Bir-AB)를 이용한 수용액 중 1-Naphthol의 제거 (Removals of 1-Naphthol in Aqueous Solution Using Alginate Gel Beads with Entrapped Birnessites)

  • 엄원숙;이두희;신현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47-25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페놀계 화합물의 산화-변환 반응매개체로 알려진 버네사이트를 고정화한 알긴산 겔 비드(birnessite entrapped alginate beads, Bir-AB)를 제조하고, 1-naphthol (1-NP)의 제거반응 특성을 회분식 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분석 결과, 버네사이트 입자는 알긴산 겔을 가교로 하여 비드에 고정화됨을 확인하였다. Bir-AB에 의한 1-NP의 제거는 유사일차 속도반응(pseudo-first order kinetic)을 따랐으며, 반응속도상수(k)는 알긴산(AG)에 대한 버네사이트(Bir) 입자의 혼합비(Bir : AG=0.25 : 1~1 : 1 w/w)가 2배 증가할 때마다 약 1.5배씩 증가하였다. Bir-AB에 의한 1-NP 제거는 pH의 영향을 받았으며 pH가 10에서 4로 감소하면서 반응속도 상수(k, $hr^{-1}$)는 0.361에서 0.661로 약 1.8배 증가하였다. 반응상등액에 대한 총유기탄소(TOC) 분석결과 Bir-AB는 버네사이트 분말입자를 사용한 경우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용존 유기탄소 제거 효과(74% vs 92%)를 보였으며, 반응 후 분리한 비드에 대한 탈착실험(CH3OH)과 HPLC 크로마토그램 분석 결과로부터 1-NP의 중합체 생성물은 Bir-AB에의 고정화를 통해 수용액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응상등액에 대한 원자흡광분석(AAS) 분석결과 반응과정에서 용출되는 Mn이온은 Bir-AB에의 재흡착을 통해 제거되었다. Bir-AB는 간단한 여과를 통해 모두 회수가능하며, 2회 재사용에 따른 1-NP의 제거효율을 평가한 결과, 초기에 비교한 큰 반응성의 감소(제거율<20%) 없이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합성 폴리머 겔의 법랑질 탈회 속도 비교 (Comparison of the Rate of Demineralization of Enamel using Synthetic Polymer Gel)

  • 이준행;신지선;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0-199
    • /
    • 2019
  • 인공우식 유발 용액 제조 방법 중의 하나인 White의 방법에 사용되는 $Carbopol^{(R)}$ 907의 생산이 최근 중단되면서, 그동안 사용되어 왔던 $Carbopol^{(R)}$ 907을 대체할 새로운 법랑질 보호제가 요구되게 되었다. 기존 White의 방법에 따라 $Carbopol^{(R)}$ 907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같은 방법으로 $Carbopol^{(R)}$ 2050을 사용하여 인공 탈회 용액을 제조한 후, 1일부터 20일까지 법랑질 표면에 인공우식을 유발시키고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병소 깊이의 변화와 우식 양상을 평가하였다. 편광 현미경 소견을 관찰한 결과, $Carbopol^{(R)}$ 907과 $Carbopol^{(R)}$ 2050을 사용한 탈회 용액으로 유발된 인공 우식은 자연 발생의 치아우식증과 매우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Carbopol^{(R)}$ 907과 $Carbopol^{(R)}$ 2050을 사용한 탈회 용액으로 인공 우식을 유발한 영구치 법랑질 병소의 탈회 기간 경과에 따른 병소 깊이를 회귀 분석한 결과, $Carbopol^{(R)}$ 907을 사용한 경우는 회귀식이 Y = 8.4X - 0.4이었고, $Carbopol^{(R)}$ 2050을 사용한 경우는 회귀식이 Y = 9.8X + 8.0이었다. $Carbopol^{(R)}$ 907을 사용한 경우에 대한 회귀식의 R square 값은 0.945이었고, $Carbopol^{(R)}$ 2050을 사용한 경우는 R square 값이 0.965로 나타났다. 초기 법랑질 우식 병소 연구에 있어 인공 우식 유발 용액 제조시에 $Carbopol^{(R)}$ 2050을 사용한 경우가 $Carbopol^{(R)}$ 907를 사용한 경우보다 병소 깊이 증가가 더 빠르게 나타났으며, 회귀 분석 결과에서 R square 값이 0.965와 0.945로 나타나 탈회 기간과 병소 깊이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병소 깊이의 조절이 매우 용이하다고 사료되었다.

금 나노 입자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T_1$, $T_2$ 이완 시간의 변화 측정 (Measurements of $T_1$-and $T_2$-relaxation Time Changes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old Nanoparticles (GNPs))

  • 장무영;한용희;문치웅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5권1호
    • /
    • pp.48-56
    • /
    • 2011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금 나노 입자를 통한 국소 가열과 MR 온도 영상 기법을 결합한 Theragnosis 개념에 대한 가초연구로 금 나노 입자의 특성 및 제조 조건에 따른 MR 변수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험실에서 제조된 구형과 막대형 금 나노 입자를 사용하였다. 구형 입자는 합성방법과 교반속도(stirring speed: rpm)를 변수로 설정하였고, 막대형 입자눈 첨가된 구형 입자의 양을 변수로 하여 조건을 다양화하였다. 금 나노 입자를 2% 아가로즈 젤에 1:1 로 혼합하여 임상용 1.5T MRI 시스템에서 신호를 획득하였고, $T_1$$T_2$ 이완시간의 측정을 위해 TR과 TE를 조절하였다. 획득한 영상의 화소별 신호 강도플 이용하여 제작한 소프트웨어로 $T_1$$T_2$ 이완곡선을 추정하였고, 통계 분석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 구형 입자의 평균 $T_1$ 값은 $1.86{\pm}0.04$초, 막대형은 평균 $2.08{\pm}0.04$초로 막대형이 더 걸게 측정되었고, 반면 평균 $T_2$ 값은 구형과 막대형 각각 $57{\pm}2.4$ ms와 $35.45{\pm}0.1$ ms로 구형 나노 입자에서 더 길게 측정되었다. 결론 : 금 나노 입자의 형태적 특성 및 제조 조건에 따른 MR 영상 변수 $T_1$$T_2$ 이완시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금 나노 입자를 이용한 MR 영상 연구의 수행 시 금 나노 입자의 형태와 제조 조건에 따른 적절한 TR과 TE로 최적화된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시광선중합화에 따른 충전용 Glass Ionomer Cement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GLASS IONOMER CEMENT FOR RESTORATIVE FILLING USING VISIBLE LIGHT POLYMERIZATION)

  • 신동훈;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7권2호
    • /
    • pp.307-330
    • /
    • 199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visible light curing Glass Ionomer cement for restorative esthetic filling. The control group was the autopolymerizing GC Fuji II Glass Ionomer cement (2.2: 1 P/L ratio)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made by following procedure. To induce the polymerization by visible light, the powder of GC Fuji II GI cement and the liquid of Vitrabond for base & liner were mixed in an amalgam capsule with 2.5:1, 3.0:1, 3.5:1 P/L ratio (% wt/wt). After fabrication of specimens, compressive strength, fracture toughness ($K_{IC}$)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X-ray Diffraction, water-leachable content, marginal leakage and surface roughness were stud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nly experimental No. 1 group (visible light curing) showed less compressive strength than control group 1 hour after curing. Strength was increased with aging in all groups, so the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 curing groups was no less than that of autopolymerizing group after 3 weeks. 2. Experimental No.3 group (visible light curing) was inferior to No.2 group (visible light curing) in fracture resistance but light curing groups were more resistant to fracture than autopolymerizing group and showed ductile fracture pattern as compared with the brittle fracture pattern of autopolymerizing group. 3. From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image, various sized unreacted powder particles, surrounded by silica gel, were embedded in polysalt matrix. Light curing groups showed little crack and more dense unreacted particles than autopolymerizing group. 4. From X-ray diffraction analysis, GC Fuji II Glass Ionomer cement powder and all groups showed glassy appearance but light curing groups seemed to be more intensive in crystaline than autopolymerizing group. S. The most significant dissolution was shown in early setting period in all group. Light curing groups were dissolved less than autopolymerizing group. 6. Marginal leakage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in case of cavity margin composed of same tooth structure (ex. only enamel margin, only dentin margin) but much more leakage was shown in dentin/cementum margin than enamel margin. In only case of only enamel margin, light curing groups were superior to autopolymerizing group. 7. All groups showed relatively smooth surface, which irregularity was less than $1{\mu}m$. Light curing groups were smoother than autopolymerizing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