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l fraction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27초

묵제조용 전분에서 분리한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성질과 추출물겔의 특성 (Properties of Hot-water Extracts and Extract-gels of Starches for Mook)

  • 송영미;정구민;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25-630
    • /
    • 1995
  • 전분의 열수추출물 성분이 전분의 겔형성이나 성질과 어떤 관계가 있는 가를 연구하기 위해 묵제조용전분(도토리, 메밀, 녹두)과 비묵제조용전분(옥수수, 쌀, 밀)의 현탁액을 $85^{\circ}C$에서 가열하여 추출물을 얻고 이들의 이 화학적 성질과 분자량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추출물로 겔을 만들어 전분겔과 함께 산가수분해하여 가수분해정도, 가수분해잔유물의 평균중합도, 분자량분포 등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추출율은 아밀로오스 함량이 적고 지질의 함량이 많은 곡류전분이 적어 $4.0{\sim}6.6%$를 나타냈으며 아밀로오스함량이 많고 지질의 함량이 적은 도토리, 녹두전분은 각각 11.7%와 13.5%로 추출율이 컸다. 이화학적 성질과 분자량 분포결과를 보면 묵제조용전분의 추출물은 대부분이 아밀로오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묵제조용전분의 추출물에는 약간의 아밀로펙틴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겔을 산가수분해(1 N HCl, $35^{\circ}C$, 60일)한 결과 추출물겔의 가수분해도는 $22{\sim}35%$이었으며 전분겔의 가수분해도는 아밀로펙틴의 분해로 추출물겔보다 높은 $70{\sim}84%$를 나타냈다. 추출물겔의 가수분해에서는 아밀로오스가 많은 묵제조용전분의 추출물겔의 가수분해도가 $22{\sim}29%$이었으며 아밀로오스가 적은 비묵제조용전분의 추출물겔의 분해도는 $30{\sim}35%$이었다. 가수분해 잔유물은 겔크로마토그래피 결과 한 개의 피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겔의 잔유물의 평균중합도가 전분겔의 평균중합도보다 더 컸다.

  • PDF

신선초에서 분리된 flavonoid glycosides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 Glycosides Isolated from Angelica keiskei)

  • 심재석;김승덕;김태석;김경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8-83
    • /
    • 2005
  • 신선초에서 항산화 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신선초를 80% 에탄올 추출하고 추출물에 대한 계통 분획을 실시하여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및 water의 총 5가 분획으로 나누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의 활성이 가장 높아 ethyl acetate 분획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chloroform : methanol : water의 용매 조건을 점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소분획으로 나누고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소분획에 대해서 acetylation 반응을 실시하고 이를 n-hexane : ethyl acetate : methanol의 용매 조건으로 단일 물질로 분리 한후 deacetylation 반응을 거쳐 최종 두 개의 단일 화합물을 획득했다. 두 개의 단일 화합물에 대한 구조 해석을 기기분석을 통해서 진행 한 결과 이 두 화합물을 각각 isoquercitrin과 hyperoside로 최종 동정하였다. Isoquercitrin과 hyperoside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DPPH radical 소거법, ABTS radical 소거법, OH radical 소거법 및 $H_{2}O_{2}$ 소거법으로 측정한 결과 4가지 assay법에 대해서 저농도에서 고른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고, 또한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isoquercitrin과 hyperoside 모두 손상된 DNA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isoquercitrin과 hyperoside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과 같은 기본적인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 DNA 손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OH radical과 $H_{2}O_{2}$에 대해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경로의 항산화 메커니즘에 작용한다는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으며 산업적으로 유용한 소재로서의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ilapia(Oreochromis niloticus)의 혈청과 단백질의 transferrin의 다형현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olymorphism of Transferrin of Serum Proteins in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심언화;윤종만;김주웅;박홍양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20
    • /
    • 1989
  • 본 실험은 rivanol 침전법, iron-staining metho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그리고 $^{59}FeCl_3$ sutoradiography를 이용하여 tilapia(Oreochromis niloticus) 혈청으로부터 transferrin을 분리 추출하며, Hardy-Weinberg법칙을 이용하며 유전자 빈도와 유전자형 빈도 추정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ilapia의 transferrin은 albumin보다 상대적으로 느린 전기영동도와 높은 분자양의 크기를 가졌고, globulin 보다는 빠른 전기영동도와 낮은 분자양을 나타내었다. 2. 염색방법을 달리하여 transferrin의 band를 비교하였을 때, 별다른 차리를 발견하지 못했다. 3. Rivanol 대 혈청의 비율은 2 : 1이 가장 적합했고, 모든 분획에 이 비율을 이용하였다. 4. Transferrin의 분자양은 각 70,000$\pm$2,000을 나타내었다. 5. Transferrin의 종내 다형현상을 나타내었다. 6. 3개의 transferrin 변이체(A,B 그리고 C)가 발견되었고, Tf형은 3개의 공동 우성 대립유전자(Tf A, Tf B 그리고 Tf C)에 의해 조절되며, 6개의 가능한 표현형(Tf AA, Tf AB, Tf AC, Tf BC 그리고 Tf CC)중에서 5개의 표현형만이 발견되었고, Tf CC형은 발견되지 않았다. 7. 3개의 대립유전자 Tf A, Tf B 그리고 Tf C의 빈도는 각각 0.795, 0.15 그리고 0.055 이었다.

  • PDF

구름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의 복합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활성물질의 정제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oriolus versicolor Liquid Culture Extracts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nd Purification of Active Substance)

  • 이정선;김택;이윤희;김성민;김현걸;김우중;오덕철;박용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2-97
    • /
    • 2006
  • 구름버섯 균사체를 12% 감귤 추출액에서 7일간 배양한 배양액을 열탕 추출한 후 균사체 잔사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동량의 ethyl acetate(1 : 1, v/v)로 재차 추출하였다. EA 추출물은 복합내성을 갖는 MRSA 균주인 S. aureus CCARM3230와 P. aeruginosa CCARM2171에 대해 현저한 생육저지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추출물을 silica gel chromatography로 분획하였을 때 dichloromethane : methanol(9 : 1, v/v)의 용매조건으로 용출한 분획물의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활성물질이 높은 순도의 단일 물질로 정제되었음을 HP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다제 내성 균주들에 대해 현저한 항균 활성을 보이고, 특히, 그람음성균인 P. aeruginosa CCARM2171과 그람양성균인 S. asures CCARM3230 균주 모두에서 현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은 본 추출물의 활성물질이 광범위 항균 스펙트럼을 갖는 신규의 항생물질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옻나무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의 구조동정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Ethanol Extract of Rhus verniciflua STOKES)

  • 김인원;신동화;백남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54-1660
    • /
    • 1999
  • 건칠(Rhus verniciflua STOKES)은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의 수액으로 한방에서는 구충, 복통, 통경, 변비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옻나무 75% 에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phenolic 성분을 중심으로 분리하여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free phenolic acid 성분(RCF)을 가지고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RCF-11, RCF-13로 이름 붙이고, 분리된 획분은 Rancimat mathod에서 다른 획분보다 강한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RCF-11은 다시 3개의 물질로, RCF-13은 1개의 물질로 분리되었다. 소분획으로 분리된 물질들은 전자공여능, Rancimat을 통한 유도기간의 측정과 liposome상에서의 TBA test를 통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RCF-13-1은 74.1%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RCF-11-2는 54.62%를 나타내어 같은 농도의 BHT(45.19%) 보다는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으며, BHA(73.47%), ${\delta}-tocopherol(75.48%)$과는 비슷한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Rancimat test에서도 돈지를 기질로 하였을 때 RCF-11-1, RCF-11-2, RCF-11-3, RCF-13-1획분의 AI는 같은 농도에서 각각 1.17, 1.84, 2.68, 1.54로 RCF-11-3의 유도기간이 가장 길었다. Liposome상에 적용하였을 때도 RCF-11-3의 lipid peroxide inhi-bition(%)이 전자공여능과 유도기간의 결과와 같이 유지의 산패 지연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 물질들은 mass 및 $^1H-NMR,\;^{13}C-NMR$통해 각각 gallic acid, butin, butein, sulfuretin으로 확인되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he Immun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Glycyrrhiza uralensis Prepared as Herbal Kimchi

  • Hwang, Jong-Hyun;Lee, Kyong-Haeng;Yu, Kw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29-35
    • /
    • 2003
  • A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GU-3) from the roots of Glycyrrhiza uralensis (licorice root), a screened herbal plant used in the preparation of herbal kimchi, enhanced Peyer's patch mediated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nd NK cell-mediated tumor cytotoxicity against Yac-1 cells. GU-3 was further purified by DEAE-Sepharose CL-6B yielding fractions designated as GU-3I, and 3IIa∼3IIe. GU-3IIa is mainly composed of arabinose, galactose and galacturonic acid, and showed the highest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ctivity. In addition, GU-3IIb had arabinose, galactose, rhamnose and galacturonic acid as the component sugars with a small quantity of protein; GU-3IIb also enhanced activity of NK cell-mediated tumor cytotoxicity. After these fractions were further fractionated via gel filtration on Sepharose CL-6B or Sephacryl S-300, two immunological active polysaccharides, GU-3IIa-2 and 3IIb-1 were purified from the respective fractions. GU-3IIa-2 mostly contained neutral sugars (75%) such as arabinose and galactose (molar ratio; 1.0 : 0.7) in addition to a considerable amount of galacturonic acid (20%), whereas GU-3IIb-1 was composed of arabinose, galactose, rhamnose and galacturonic acid (molar ratio; 0.3 : 0.5 : 0.1 : 1.0). Methy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GU-3IIa-2 was composed mainly of terminal, 4- or 5-linked and 3,4- or 3,5-branched arabinose, 3-linked, 4-linked and 3,6-branched galactose, and terminal and 4-linked galacturonic acid whereas GU-3IIb-1 contained various glycosidic linkages such as terminal and 4- or 5-linked arabinose, 2,4-branched rhamnose, terminal and 4-linked galactose, and terminal and 4-galacturonic arid. Single radial gel diffusion indicated that only GU-3IIa-2 strongly reacted with β-D-glucosyl-Yariv antig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ne marrow cell proliferating activity and enhancement of NK cell-mediated tumor cytotoxicity of GU-3 are caused by polysaccharides containing a pectic arabinogalactan (GU-3IIa-2) and pectic polysaccharide (GU-3IIb-1).

품종별 감자 전분의 분자 구조적 특성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Various Potato Starches)

  • 나환식;박종훈;강길진;김성곤;김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212-217
    • /
    • 1996
  • 감자 품종(분질인 남작, 중간질인 세풍, 점질인 대지마)간의 생전분, 열수 가용성 및 산처리전분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남작이 28.0%, 세풍이 27난.0%, 대지마가 25.5%였다. ${\beta}$-아밀라아제 분해한도는 $64.0{\sim}65.0%$로 품종간에 비슷하였다. 전분의 사슬분포는 ${\overline}{DP}55$ 이상의 부분이 $34.7{\sim}37.9%,\;{\overline}{DP}40{\sim}50$부분이 $17.1{\sim}19.9%$ 그리고 ${\overline}{DP}15{\sim}20$ 부분이 $42.2{\sim}48.2%$이었으며 품종간 사슬분포의 특성은 A사슬$({\overline}{DP}15{\sim}20)$과 B 사슬$({\overline}{DP}40{\sim}50)$의 분포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열수가용성전분은 남작 15.8%, 세풍 18.6%, 대지마가 20.8%이였으며,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용출양상은 품종간에서 특성을 나타냈다. 전분의 산가수분해($0{\sim}48$시간)는 각 품종간 모두 24시간을 기준으로 2단 거동을 보였으며 산가수분해속도는 남작이 대지마보다 낮았다.

  • PDF

밀버섯의 항암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titumor Components of Collybia confluens)

  • 김숙희;김진숙;진미림;김하원;최응칠;김병각
    • 생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7-281
    • /
    • 1993
  • To find antitumor components from higher fungi, the mycelia of Collybia confluens (Pers. ex Fr.) Kummer were cultured in artificial media. For efficient production of the mycelia, the influences of various modifications of culture conditions were examined. A water-soluble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action, Fr. A, was obtained from the mycelia by hot water extraction. When Fr. A was purified and fractionated by DEAE-cellulose and Sepbadex G-200 gel filtration chromatographies into four fractions which were designated B, C, C-I and C-II. The tumor inhibition ratios of these fractions ranged from 46% to 75% against the solid forms of sarcoma 180 in ICR mice at doses of 20 and 50 mg/kg/day when given intraperitoneally. Especially, Fr. C which was named Collyban(CB) exhibited a marked life-prolonging effect of the mice against ascitic forms of sarcoma 180 at a dose of 50 mg via i.p. administration. To extend spectra of the antitumor activities and eliminate the effects of allograft rejection, the characterization of antitumor effects of CB was performed in syngeneic host-tumor systems. It did not show any antitumor activity against L1210 murine leukemia in $CD_2Fl$ mice but prolonged their life span against ascitic forms of $MM_{46}$ carcinoma in $C_3H/He$ mice. Also it exhibited antitumor activity against human cervical cancer HeLa cells that were xenografted into nude mice having BALB/c genetic backgrounds by the i.p. injection at a dose of 100 mg/kg/day.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antitumor components, CB was examined by chemical analysis. It was acidic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composed of 31% polysaccharide, 27% protein and 3% hexosamine. CB was fractionated into two fractions, Fr. C-I(M.W.: 500 Kd) and Fr. C-II(M.W.:30 and 8 Kd) by Sephadex G-200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 PDF

된장의 쓴맛 펩타이드 특성 (Characteristics of bitter peptides from Doenjang)

  • 홍혜정;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5-50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재래식 된장, Asp. oryzae를 이용한 고지와 소금의 배합을 달리한 개량식 된장 세가지(A; 쌀고지 :콩 :소금:53 : 100 : 33, B: 쌀고지 .콩 :소금=100 : 100 : 40, C: 쌀고지 :콩 :소금=200 : 100 : 40)를 만들어 일반 성분의 변화와 쓴맛 펩타이드의 특성을 살펴보고 쓴맛 펩타이드가 된장의 수응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1. 4가지 된장 모두 총질소는 발효기간 중 약간씩 증가하였으며 아미노산태 질소는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재래식 된장의 아미노산태 질소는 다른 시료에 비해 큰폭의 증가를 보였다. 환원당은 쌀고지를 첨가한 된장의 경우 함량이 월등힌 많았으며 숙성됨에 따라 모든 된장이 증가 추세를 보였다. pH는 된장이 숙성됨에 따라 점차로 저하하였으며 고지가 첨가된 된장의 경우 더욱 산성을 띠었다. 2. 숙성시킨 된장에서 쓴맛 펩타이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소수성 펩타이드를 2 : 1(v/v) Chloroform-me-thanol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추출물을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자량별로 분리하고 다시 TLC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펩타이드는 쓴맛 검사를 하여서 쓴맛을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얻었다. 쓴맛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음과 같다. 재래식 된장 peak 1-1. Trp-(Asp, Arg, Thr, Ser, Glu, Pro)-Phe 개량식 된장 B peak 1 Trp-(lie, Pro, Asp, Lys, Val, Glu)-Trp 개량식 된장 B peak 1 Trp-(lie, Pro, Asp, Lys, Val, Glu)-Trp 개량식 된장 C peak 1-2 Trp-(tyr, Thr, Glu, Pro, Gly)-Phe. 3. 관능검사의 결과를 Pearson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쓴맛과 전체적인 수응도와의 상관관계는 높지 않았다.

  • PDF

발아 호박씨로부터 Cucurbitacin E의 분리정제 및 항암, 항염증 활성 (Isolation of Cucurbitacin E from Sprouted Pumpkin Seed and Analysis of Its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 심후성;장병철;박혜민;정병용;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34-840
    • /
    • 2008
  • 호박 종실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호박 종실을 발아시켜 가면서 성장 중 고미성분의 성분분석을 행하고 고미물질을 순수 분리하여 정제하고 구조분석을 행하였다. 정제된 고미물질의 항염증 활성 및 폐암세포에 대한 암세포 성장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박 종실을 발아 시키면 종실에는 존재하지 않던 고미물질이 발아에 의하여 생성되므로 이 물질을 silica gel TLC, HPLC에 의하여 순수 분리한 결과 Rf 0.73, RT 10.3의 것을 모아 LC-MS/MS로 구조 분석을 행하여 분자량 557인 Cucurbitacin E(Cu E)로 확인되었다. 물 살포주기, 광, 온도를 달리하면서 발아시킨 호박씨의 고미성분인 Cu E 함량은 48시간 주기로 물을 살포하면서 $20^{\circ}C$, 암소에서 4일간 발아시켰을 때 224.7 mg/kg로서 최고치에 달하였다. 분리 정제한 Cu E는 in vitro에서 Cu E가 비교적 낮은 농도($1{\sim}100\;nM$)에서 1L-$1{\beta}$에 의한 염증성 COX-2 단백질 발현을 크게 감소시켰고, 비교적 높은 농도($1{\sim}5\;{\mu}M$)에서는 PMA에 의한 COX-2 단백질 발현 억제를 통한 항염증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Cu E에 의한 A549 암세포의 증식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100 또는 1000 nM Cu E를 24 및 48시간 처리 시 약 $20{\sim}28%$$56{\sim}58%$의 A549 세포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100 nM Cu E를 24시간 및 48시간 처리 시 약 60% 및 88%의 A549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