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검색결과 747건 처리시간 0.027초

대황(Eisenia bicyclis)으로부터 Laminaran의 정제 및 화학적 특성 (Purification and Chemical Characterisation of Laminaran from Eisenia bicyclis in Korea)

  • 김영명;최용석;박종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8-86
    • /
    • 2006
  • 국내 울릉도 연안에서 자생하는 대황에서 라미나란을 분리, 정제 분획하여 구조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쇄한 대황을 0.09 N HCl로 추출한 조 라미나란과 이를 CPC로 정제한 부분 정제 라미나란의 수율은 각각 $14.5\%,\;6.5\%$였으며, 그 화학적 조성을 비교해 보면, 총당의 함량이 $68.2\%$에서 $74.7\%$로 증가하였고, 단백질의 함량$(8.4\%\rightarrow3.8\%)$및 황산기의 함량$(7.6\%\rightarrow3.2\%)$로 감소하였으며, 주요 구성당인 glucose의 함량이 $55.0\%$에서 $83.3\%$로 증가하여 CPC를 사용하여 라미나란을 간단히 정제할 수 있었다. 라미나란의 분자량 및 당구조 분석을 위하여 부분정제 라미나란을 Sephacryl S-300 HR 칼럼으로 정제하였으며, 이 정제물의 평균 분자량은 12,500 dalton이었다. 그리고 총당의 함량이 $89.9\%$, 단백질 함량은 $1.1\%$, 그리고 황산기 함량 $0.8\%$ 이었으며, 주요 구성당인 glucose의 함량이 $98.3\%$였다. 그리고 FT-IR 분석 결과 glucose는 대부분 $\beta$-결합$(888\;cm^{-1})$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13}C$ NMR 분석 및 methylation 분석을 해본 결과 라미나란은 주로 $\beta-1,3$ 결합에 $\beta-1,6$ 분지를 갖는 glucan임 을 확인하였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Bacterium Burkholderia gladioli Bsp-1 Producing Alkaline Lipase

  • Zhu, Jing;Liu, Yanjing;Yanqin, Yanqin;Pan, Lixia;Li, Yi;Liang, Ge;Wang, Qingy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7호
    • /
    • pp.1043-1052
    • /
    • 2019
  • Active lipase-producing bacterium Burkholderia gladioli Bps-1 was rapidly isolated using a modified trypan blue and tetracycline, ampicillin plate. The electro-phoretically pure enzyme was obtained by purification using ethanol precipitation, 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The molecular weight was 34.6 kDa and the specific activity was determined to be 443.9 U/mg. The purified lipas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fter hydrolysis with $p-NPC_{16}$ at a pH of 8.5 and $50^{\circ}C$, and the $K_m$, $k_{cat}$, and $k_{cat}/K_m$ values were 1.05 mM, $292.95s^{-1}$ and $279s^{-1}mM^{-1}$, respectively. The lipase was highly stable at $7.5{\leq}pH{\leq}10.0$. $K^+$ and $Na^+$ exerted activation effects on the lipase which had favorable tolerance to short-chain alcohols with its residual enzyme activity being 110% after being maintained in 30% ethanol for 1 h.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lipase produced by the strain B. gladioli Bps-1 has high enzyme activity and is an alkaline lipase. The lipase has promising chemical properties for a range of applications in the food-processing and detergent industries, and has particularly high potential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biodiesel.

A Tuber Lectin from Arisaema jacquemontii Blume with Anti-insect and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 Kaur, Manpreet;Singh, Kuljinder;Rup, Pushpinder Jai;Kamboj, Sukhdev Singh;Saxena, Ajit Kumar;Sharma, Madhunika;Bhagat, Madhulika;Sood, Sarvesh Kumar;Singh, Jatinder
    • BMB Reports
    • /
    • 제39권4호
    • /
    • pp.432-440
    • /
    • 2006
  • A tuber lectin from Arisaema jacquemontii Blume belonging to family Araceae was purified by employing a single step affinity chromatography using column of asialofetuin-linked amino activated silica beads and the bound lectin was eluted with 100 mM glycine-HCl buffer pH 2.5. The purified A. jacquemontii lectin (AJL) showed a single protein band with an apparent molecular mass of 13.4 kDa when submitted to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under reducing as well as non-reducing conditions. The native molecular mass of AJL determined by gel filtration on a Biogel P-200 column was 52 kDa and its carbohydrate content was estimated to be 3.40%. Thus AJL is a tetrameric glycoprotein. The purified lectin agglutinated erythrocytes from rabbit but not from human. Its activity was not inhibited by any of the mono- and disaccharides tested except N-acetyl-D-lactosamine having minimal inhibitory sugar concentration (MIC) 25 mM. Among the glycoproteins tested only asialofetuin was found to be inhibitory (MIC $125\;{\mu}g/mL$). A single band was obtained in native PAGE at pH 4.5 while PAGE at pH 8.3 showed two bands. Isoelectric focusing of AJL gave multiple bands in the pI range of 4.6-5.5. When incorporated in artificial diet AJL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Bactrocera cucurbitae (Coquillett) larvae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lectin in a biotechnological strategy for insect management of cucurbits. Larvae fed on artificial diet containing sub-lethal dose of AJ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cid phosphatase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hile esterase activity markedly increased as compared to larvae fed on diet without lectin. Out of various human cancer cell lines employed in sulphorhodamine B (SRB) assay, this lectin was found to have appreciable inhibitory effect on the in vitro proliferation of HCT-15, HOP-62, SW-620, HT-29, IMR-32, SKOV-3, Colo-205, PC-3, HEP-2 and A-549 cancer cell lines by 82, 77, 73, 70, 41, 41, 37, 29, 21 and 21% respectively.

함초 추출물의 마우스 면역 증강 활성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Extract)

  • 류덕선;김선희;이동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5-141
    • /
    • 2008
  •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염습 지대에서 자생하는 명아주과에 속하는 일년초 식물로서 우리말로는 퉁퉁마디라고 불리우며,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건조된 함초로부터 열수 추출을 하여 조추출물(CSP)을 얻었으며, 조추출물을 한외 여과 및 gel 여과를 통해 다당체I(SP I)과 다당체 II(SP II)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함초 추출물들은 마우스 면역 조절 활성을 확인하는데 사용되었고, 실험은 시험관 내 실험과 생체 내 실험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시험관 내 실험에서는 $7{\sim}8$주 된 Balb/c 마우스로부터 비장 세포와 T 세포를 분리하여 시료를 농도별(0.5, 1, 2, 4 mg/mL)로 처리한 후 일정 시간 배양하여 MTS assay를 통해 세포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비장 세포와 T 세포에서 각각 4 mg/mL 농도로 24시간 배양한 경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SP I이 3.2, 3.5배로 유의적인 세포 증식 활성을 나타내었다. 생체 내 실험에서는 $7{\sim}8$주 된 Balb/c마우스를 대조군과 투여군으로 나누어 7일 동안 경구 투여를 실시하였는데, 실험 종료 후 비장 세포를 적출하여 mitogen을 이용한 세포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SP I을 경구 투석한 비장 세포가 가장 높은 세포 증식능을 보였다. 즉, 함초로부터 조추출물과 다당체를 획득하여 이들에 대한 면역 활성능을 확인한 결과, 조추출물과 다당체에서 면역 세포 활성 증강 효과를 보였는데, 조추출물보다 다당체에서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함초 다당체는 면역 증강 활성을 가진 바이오 헬스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자미피 젤라틴 가수분해물로부터 항산화성 펩티드의 분리${\cdot}$정제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Peptides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Yellowfin Sole Skin Gelatin)

  • 김세권;이현철;변희국;전유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6-255
    • /
    • 1996
  • 연속식 3단계 막반응기로부터 각 단계별로 분리한 가자미피 젤라틴 가수분해물의 항산화성을 측정한 결과, 2단계 가수분해물의 항산화력이 가장 뛰어날 뿐만 아니라,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 $10\%$ 정도의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낸 반면, 1단계 및 3단계 가수분해물은 $\alpha-tocopherol$보다 오히려 $10\~15\%$ 정도 낮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가수분해물의 첨가한 농도에 따른 항산화성은 유지중량에 대해 $1.0\%(w/w)$로 첨가한 농도에서 최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한편,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합성항산화제인 BHT와의 상승효과를 검토한 결과, 각 단계별 가수분해물은 $\alpha-tocopherol$과 우수한 상승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그 중 2단계 가수분해물의 상승효과가 가장 강하였다. 또한 항산화성이 가장 뛰어난 2단계 가수분해물로부터 gel column, ion exchange column 및 ODS column을 사용하여 항산화력이 특히 우수한 부분만을 분리한 단일 펩티드를 간세포에 첨가하여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TBHP의 독성에 대해 펩티드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세포생존을 연장시켰으며, lipid peroxidation측정에서도 세포의 산화를 억제함으로써 세포의 생존율을 높였다.

  • PDF

Halomonas sp. ES 10이 생산하는 alkaline protease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alkaline protease from the moderate halophile, Halomonas sp. ES 10)

  • 김찬조;오만진;최성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4호
    • /
    • pp.237-241
    • /
    • 1992
  • Halomonas sp. ES 10이 생산하는 protease를 methanol 침전, Sephadex G-150, G-200 및 DEAE-Sephadex A-50으로 여과하여 비활성이 1,014 units/mg protein, 수율이 7%로 정제하였다. 이 효소의 작용 최적온도 및 pH는 $35^{\circ}C$ 와 pH 11.0 이었고, $50^{\circ}C$ 에서 40분에 70%의 잔존활성을 보였으며 $pH\;7.5{\sim}11.0$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정제효소의 우유 casein에 대한 Km값은 7.4 mg/ml 이었다. $Li^+$, $Ca^{2+}$, SDS, Tween 80 등은 효소 활성을 다소 증가시키고 $Hg^{2+}$과 EDTA는 심히 저해하였다. DFP와 PMSF에 의해서는 각각 63%, 107%의 상대활성을 보여 이 효소는 serine protease가 아님을 시사하였다. 0.5 M과 1 M의 NaCl 농도에서 각각 95%와 65%의 상대활성을 보여 일반 미생물의 protease 보다 각각 20%, 15%씩 상대활성이 높았다.

  • PDF

녹두(綠豆)에서 Peroxidase 동위(同位) 효소(酵素)들의 분리(分離)와 효소적(酵素的) 특성(特性)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Isoperoxidases from Mung Bean Seedling)

  • 이상갑;박우철;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279-287
    • /
    • 1986
  • 발아초기(發芽初期) 녹두(綠豆)의 부위별(部位烈) peroxidase 활성(活性)은 뿌리가 타부위(他部位)보다 약 $1.5{\sim}3.5$배 더 높은 효소활성(酵素活性)을 나타내었으며 발아(發芽)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자엽(予葉), 뿌리에서는 효소활성(酵素活性)이 증가(增加)하다가 점차 감소(滅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인 반면에 타부위(他部位)에서는 계속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전기영동상(電氣泳動上) isozyme의 수는 발아(發芽),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모든 부위(部位)에서 계속 증가(增加)하여 활성도(活性度)와는 무관(無關)하게 발아(發芽) 후 6일(日)째에 가장 많이 나타났다. Ammonium sulfate에 의한 단백질(蛋白質)의 분획(分劃), Sephadex G-75 Column, DEAE-cellulose column한 결과(結果) isozyme A는 16배 정제(精製)되었으며, isozyme B는 조금도 순도(純度)가 증가(增加)되지 않았으며 isozyme A와 B의 전기영동상(電氣泳動上) Rm값은 각각(各各) 0.22와 0.62였다. isozyme A와 B 모두 PH5.6에서 최대(最大) 활성(活性)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반응최적온도(反應最適溫度)는 각각(各各) $65^{\circ}C$$70^{\circ}C$였으며, 열(熱)에 대해서도 비교적(比較的) 안정(安定)한 결과(結果)를 얻었다. Lineweaver-Burk Polt를 이용(利用)하며 Km값을 측정(測定)해 본 결과(結果) 0-dianisidine에 대한 isozyme A는 0.071mM, isozyme B는 0.052mM이었으며 $H_2O_2$에 대한 isozyme A는 0.28mM, isozyme B는 0.23mM이었다.

  • PDF

구름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의 복합내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활성물질의 정제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oriolus versicolor Liquid Culture Extracts Against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nd Purification of Active Substance)

  • 이정선;김택;이윤희;김성민;김현걸;김우중;오덕철;박용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2-97
    • /
    • 2006
  • 구름버섯 균사체를 12% 감귤 추출액에서 7일간 배양한 배양액을 열탕 추출한 후 균사체 잔사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동량의 ethyl acetate(1 : 1, v/v)로 재차 추출하였다. EA 추출물은 복합내성을 갖는 MRSA 균주인 S. aureus CCARM3230와 P. aeruginosa CCARM2171에 대해 현저한 생육저지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추출물을 silica gel chromatography로 분획하였을 때 dichloromethane : methanol(9 : 1, v/v)의 용매조건으로 용출한 분획물의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활성물질이 높은 순도의 단일 물질로 정제되었음을 HP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다제 내성 균주들에 대해 현저한 항균 활성을 보이고, 특히, 그람음성균인 P. aeruginosa CCARM2171과 그람양성균인 S. asures CCARM3230 균주 모두에서 현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은 본 추출물의 활성물질이 광범위 항균 스펙트럼을 갖는 신규의 항생물질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작물(오이, 딸기, 포도) 중 살균제 Fenhexamid의 잔류성에 대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n the Residual of Fungicide Fenhexamid in Crops(Cucumber, Strawberry and Grape))

  • 한성수;노석초;김원주;박필재;김일광
    • 분석과학
    • /
    • 제16권1호
    • /
    • pp.70-77
    • /
    • 2003
  • Hydroxyanilide계 살균제 fenhexamid의 작물 (오이, 딸기, 포도) 중 잔류량을 전자포획검출기가 장착된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최적 분석조건을 설정하고, 처리시기별 잔류량을 구하였다. 각 시료를 blender로 마쇄 후 acetone으로 1차 추출 한 후 dichloromethane으로 2차 추출하였으며, silica gel이 충전된 plastic 컬럼에서 acetone:hexane (5:95, 15:85, v/v) 혼합액으로 분리하였다. 표준 검량선의 회귀방정식은 0.05~0.20 ng에서 오이 Y=312.40X+10.26, 딸기 Y=313.33X+5.54, 포도 Y=253.27X-2.23 이었으며, 각각 $R^2=0.9996$, $R^2=0.9998$, $R^2=0.9994$의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0.10 mg/L 과 0.40 mg/L의 표준시료 처리시 평균 회수율은 오이, 딸기, 포도 각각 94.8%, 88.1%, 93.7% 이었으며, 순수표준품의 검출한계는 0.01 mg/L이었다. 각 작물체의 잔류량은 0.01~0.58 mg/L 범위이었다.

벼 유식물에서 OsCPK11의 부분 정제 및 생화학적 특성 규명 (Partial Purification of OsCPK11 from Rice Seedlings and Its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 신재화;김성하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7-146
    • /
    • 2020
  • 식물에서 Ca2+는 세포의 중요한 2차 신호 전달 분자 중 하나이다. Ca2+ 및 인산화 효소의 센서 단백질인 칼슘-의존성 단백질 카이네즈(CDPKs)는 식물 세포에서 가장 풍부한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이다. 이들은 다양한 자극에 대한 신호를 변환하여 식물에서 특정 반응을 일으킨다. 벼에는 31개의 CDPK 유전자 족이 확인되었다. 그들은 주로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관여하며 다양한 스트레스 조건에 반응하여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CDPK 단백질의 생화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별로 없다. 이 연구에서는 벼의 CDPK 중 하나인 OsCPK11을 부분 정제하여 그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벼 유식물에서 3단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과정을 거쳐 부분 정제된 OsCPK11을 얻었다. 정제 과정에는 DEAE를 사용한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Phenyl-Sepharose를 사용한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 및 Sephacryl-200HR를 사용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포함하였다. 부분 정제된 OsCPK11은 분자량이 54kDa이며 소수성 수지와 강한 소수성 상호작용을 보였다. 부분 정제된 OsCPK11으로 in vitro kinase assay를 실시한 결과, OsCPK11은 Ca2+-의존성 자가인산화 활성을 가짐을 보여 주었다. OsCPK11은 histone III-S를 인산화 하였으며, 카이네즈 활성의 최적 pH는 7.5-8.0이었다. Native OsCPK11은 이전에 연구된 재조합 OsCPK11과 몇 가지 생화학적 특징을 공유하였는데, 둘 다 Ca2+-의존성 자가인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둘 모두 카이네즈 활성을 위한 기질로서 histone III-S를 선호하였으며, Ca2+ 의존성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