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l

검색결과 10,360건 처리시간 0.051초

Agar Gel Barrier의 농도변화에 따른 폭발완화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losion Mitigations b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gar Gel Barriers)

  • 박달재;김남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3-18
    • /
    • 2011
  • 폭발챔버에서 Agar gel barrier의 폭발완화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단면적 $100{\times}100mm^2$, 길이 1400 mm를 가지는 폭발챔버 그리고 폭발챔버의 개구부에 설치될 gel barrier의 고정을 위하여 $100{\times}100{\times}300mm^3$의 챔버를 제작하였다. Agar gel과 물을 혼합하여 4가지 서로 다른 농도(2, 3, 4, 5 %)를 가지는 agar gel barrier를 제조하여 실험변수로 사용하였다. 폭발과정 동안 gel displacement의 가시화를 위해 고속카메라 그리고 gel barrier 전 후단의 폭발압력 변화를 관찰하고자 압력획득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gel 농도 증가에따라 gel의 파열시간 및 최대 폭발압력 도달시간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el 농도가 증가할 때 gelbarrier 전 후단에서의 폭발압력 완화율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쌀 gel consistency의 품종 및 환경변이 (Varietal and Environmental Variation of Gel Consistency of Rice Flour)

  • 김광호;구자윤;황도엽;공원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8-45
    • /
    • 1993
  • Gel consistancy의 재배환경에 따른 변이정도를 밝히기 위하여 국내 재배품종과 육성 중인 계통을 1988년부터 1992년 걸쳐 재배시기를 달리하거나 질소비료수준을 달리하여 재배, 수확한 뒤 gel consistency를 조사하였다. 1. 품종간 gel consistency의 변이정도는 상당히 켰고 공시 품종수의 85%정도가 60-100mm의 gel길이 를 보여 soft에 속하였다. 2. 자포니카 품종의 gel길이 평균치가 통일형 품종의 평균치보다 켰으며 공시한 찰벼 품종의 gel 길이는 모두 최대 값인 100mm에 가까왔다. 3. 연차변이가 작게 나타나는 품종과 크게 나타나는 품종들이 있으나 이것이 품종간 차이를 크게 뒤 바꾸지는 않았다. 4. Gel길이가 아주 길거나 아주 짧은 품종은 파종기에 따른 변이가 거의 없었으나 일부 인디카형품종은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gel길이가 다소 짧아졌다. 5. 재배품종과 육성중인 계통의 gel consistency 는 질소시비량 따른 큰 변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 품종은 질소시비량이 많아질수록 gel 길이가 다소 짧아졌다.

  • PDF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와 propionic acid/urea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봉독 성분의 분리 (Purification of Peptide Components including Melittin from Bee Venom using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and propionic acid/urea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 최영권;최석호;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5-111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rry out Purification of Melittin and other peptide components from Bee Venom using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and propionic acid/urea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Methods : Melittin and other peptide components were separated from bee venom by using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on Sephadex G-50 column in 0.05M ammonium acetate buffer. Results : Melittin and other peptide components were separated from bee venom by using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on Sephadex G-50 column in 0.05M ammonium acetate buffer. The fractions obtained from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was analyzed by using SDS-PAGE and propionic acid/urea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melittin obtained from the gel filtration contained residual amount of phospholipase $A_2$ and a protein with molecular weight of 6,000. The contaminating proteins were removed by the seco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Conclusion :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and propionic acid/urea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re useful to separate peptide components including melittin from bee venom.

Aloe Gel의 생리 효과에 대한 고찰 - Gel의 다당류와 미량 성분을 중심으로 - (The Physiological Efficacy of Aloe Gel)

  • 서화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026-1038
    • /
    • 1995
  • Aloe식물에서 만든 전통적 aloe는 현대 임상 의약분 야에서 이전의 인기를 거의 잃고 있지만 aloe gel은 그 간 그의 효능 즉 여려가지 치료작용과 대사에 대한 유익한 tonic 효과를 밝히려는 수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꾸준히 gel의 치료 효능이 주장되어 온 반면에 상당수의 연구자들에 의한 상반된 연구 결과로 인해 aloe gel 효능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loe gel을 원료로한 외용 또는 내용의 치료제와 화장품 그리고 특히 건강 식품들(general tonics)이 대중적 인기를 끌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aloe gel 산업이 비교적 경제성을 크게 유지하는데 여기에는 일부 promotional works나 대중 매체의 영향도 일조 했으리라 본다(21). Gel의 유익한 생리작용을 내는 원인 물질에 관한 그간 많은 연구 보고에서 gel의 미량 성분들 중 salicylic acid의 진통 소염착용, Mg ion의 마취작용, Mg-lactate의 항 histamine작용, Aloctin A의 세포 성장 촉진에 의한 상처 치료작용, carboxypeptidase와 bradykinase에 의한 통증 감소와 소염작용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되었으나 이들 생리작용이 현대 임상 약리학에서 거의 입증이 안되었고 지지를 지 못했다. Gel내 미량 anthraquinone 배당체(aloin)가 false substrate inhibitor작용에 기인한 항 prostanoid (항PG와 항TX) 효과에 의한 소염, 화상, 동상 상처 치료 작용을 낸다는 가설이 한 때 상당 기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주장되었으나 이 제안도 증명되지 못했고 이제는 다른 연구자들의 다른 주장들에 의해 가려지고 있다. 또 gel의 항미생물, 항당뇨, 간해독 작용 등이 gel내 미량 anthraquinone 화합물의 작용에 기인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1980년 중반 부터 최근(1993년)에 이르기 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새로이 주장 되고 있는 gel의 생리작용은 주성분 다당류인 acetylglu-comannan과 acetylmannan 및 glycoprotein에 의한 면역 증진 내지 면역 조절작용에 의한 감염 상처 치료, 소염, 항미생물, 항암 작용이 계속 제안되고 있다. 저자는 acetylpolysacchride의 acetyl기가 in vivo에서 cyclooxy-genase를 억제하여 항 prostanoide 효과를 낼 것으로 가정해 본다. 이제는 acetylpolysacchride에 대한 여러 주장들이 임상적으로 증명되어 gel의 효력에 대한 논쟁에서 결론이 날 것으로 기대해 본다. Aloe gel의 다당류 acemannan의 실험 동물(개)에 대한 독성 실험 결과 복강내 주입에 의한 최저 부작용 유발량은 5.0mg/kg이었으나 aloe gel은 일반적으로 무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aloe gel의 임상 적용에서 가끔 과민 반응에 의한 부작용 사례 보고를 다수 볼 수 있고 실험적 연구에서도 입증되어 있으므로 aloe gel을 건강 식품으로 섭취하는 경우는 국소 적용시 유의해야 할 점이라 생각된다. 결국 aloe gel의 오랜 연구역사를 볼 때 어떤 생리작용의 기전에 의존한던 간에 aloe gel이 유익한 여러 효과를 낸다는 사실을 간단히 부정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울 것 같다.

  • PDF

케토롤락과 치자엑스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하이드로겔제의 물성 및 생체 부착성 (Property and Bio-adhesiveness in Hydrogel Material with Content of Ketorolac and Gardeniae Fructus Hydrolysis Products)

  • 김미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9-83
    • /
    • 2010
  • 소염진통제인 Ketorolac tromethamine에 치자엑스 복합제제를 혼합하여 4종의 하이드로겔을 제조한 다음 주성분의 확인, 점도, 표면장력, 인장강도 및 생체부착성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KGE 및 KGH gel 제제 중 Ketorolac tromethamine의 함량은 1.02~0.97%이었고, Geniposide의 함량은 KGE gel A와 C에서 0.34%이었으나, KGH gel B와 D에서 0.11%로 낮아졌고, Genipin의 함량은 KGE gel A와 C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KGH gel B와 D에서 0.13%로 나타났다. 2. Gel 제제의 온도에 따른 점도는 gel 화제로 Carbopol 940을 단독으로 사용한 gel이 Poloxamer 407을 추가한 gel보다 더 높은 점도를 유지하였으며, 각 제제에서의 표면장력은 $37^{\circ}C$에서 34.77~40.58 dyne/cm를 나타냈다. 제제의 인장강도는 KGH gel B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3.5배 정도 높은 인장강도를 나타냈다. 3. 생체부착성은 등피부 상부(표피층)와 배피부의 경우 KGH gel B 에서 50.62 N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5배 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등피부 하부(진피층)와 배피부의 경우 KGH gel B의 에서 35.93 N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3.5배 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알로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Aloe(Aloe vera Linne))

  • 신두호;김동원;정용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9-405
    • /
    • 2007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made by adding levels of 30%, 60%, and 100% aloe gel were investigated. The 60% aloe gel sample had a larger dough volume than the control dough. Also, the loaf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the bread made with 60% aloe gel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control bread. The pasting temperature increased gradually with the increasing amounts of substituted aloe gel as compared to wheat flour with water added$(66.5{\pm}12^{\circ}C)$; the wheat flour with 100% aloe gel had a pasting temperature of $90.7{\pm}1.1^{\circ}C$. Peak viscosity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aloe gel when compared to the wheat flour with water added. Setback also was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increasing amounts of aloe gel as compared to the wheat flour with added water. From the setback decrease it is suggested that the aloe controlled retrogradation of the bread during short-term storage. The crumb color of the bread made with the aloe g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at of the control bread, and the color of the crumb was yellow-white. Bread hardness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the substituted aloe gel. However, bread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aloe gel. The springiness of the bread made with 100% aloe gel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bread. With regard to flavor and taste, the bread made with 100% aloe gel produced a green-like odor and had a bitter taste. The mouth feel of the breads made with aloe gel was considered soft and moist. The overall acceptabilities of the breads made with 30% and 60% aloe ge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bread, but the bread made with 100% aloe gel had a green smell and bitter taste. Yet accordingly, the results indicate that functional and health products with improved quality could be developed by adding aloe gel to breads and cakes.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Stored Mungbean Starch Gels Added with Sucrose Fatty Acid Ester

  • Choi, Eun-Jung;Oh, Myung-Suk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3권2호
    • /
    • pp.53-5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stored mungbean starch gels added with sucrose fatty acid ester (SE). The study showed a delay of gelatinization of mungbean starch by SE addition through the measurements conducted by using Rapid Visco Analyzer (RVA)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In the color of SE added frozen stored gels,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value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values measured from freshly prepared gel, whereas redness (a) value was decreased. The addition of 1% SE on mungbean starch gel prevented the color change during frozen storage. Rupture stress and rupture energy of frozen stored gel was higher than those of freshly prepared gel, whereas rupture strain of frozen stored gel was lower than that of freshly prepared gel. The addition of 1% SE on mungbean starch gel prevented the change of rupture characteristics during frozen storage. Texture profile analysis(TPA) characteristics revealed a significant change of the gel texture during frozen storage by showing an increase of hardness of the frozen stored gels compared to the freshly prepared gels with newly discovered fracturability, which resulted to show a large difference of gel texture by showing the disappearance of adhesiveness and large reduction of cohesivenes. The addition of 1% SE on mungbean starch gel prevented the change of TPA characteristics during frozen storag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showed that network structure of frozen stored gel was more rough than that of freshly prepared gel, and the addition of 1% SE on mungbean starch gel could suppress the breakdown of network structure. Thus the addition of 1.0% SE on mungbean starch gel was appropriate method for remaining gel characteristics during frozen storage.

Identification of Three Positive Regulators in the Geldanamycin PKS Gene Cluster of Streptomyces hygroscopicus JCM4427

  • Kim, Won-Cheol;Lee, Jung-Joon;Paik, Sang-Gi;Hong, You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1호
    • /
    • pp.1484-1490
    • /
    • 2010
  • In the Streptomyces hygroscopicus JCM4427 geldanamycin biosynthetic gene cluster, five putative regulatory genes were identified by protein homology searching. Among those genes, gel14, gel17, and gel19 are located downstream of polyketide synthase genes. Gel14 and Gel17 are members of the LAL family of transcriptional regulators, including an ATP/GTP-binding domain at the N-terminus and a DNA-binding helix-turn-helix domain at the C-terminus. Gel19 is a member of the TetR family of transcriptional regulators, which generally act to repress transcription. To verify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the putative regulators in geldanamycin production, they were individually characterized by gene disruption, genetic complementation, and transcriptional analyses. All three genes were confirmed as positive regulators of geldanamycin production. Specifically, Gel17 and Gel19 are required for gel14 as well as gelA gene expression.

The Optimization of Gel Electrolytes on Performance of Valve Regulated Lead Acid Batteries

  • An, Sang-Yong;Jeong, Euh-Duck;Won, Mi-Sook;Shim, Yoon-B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5호
    • /
    • pp.998-1002
    • /
    • 2008
  • The gel electrolytes were prepared with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where hydrophilic fumed silica was used as a gelling agent. The influences of gel electrolyte on performance of the valve regulated lead acid (VRLA) batteries were investigated employing capacity test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initial capacities of the sulfuric gel VRLA batteries were higher than that of phosphoric gel VRLA batteries. The sulfuric gel VRLA battery using 1.210 specific gravity of sulfuric acid with hydrophilic fumed silica exhibited the highest capacity of 0.828Ah. In the impedance measurements, the ohmic and charge transfer resistances for the phosphoric gel VRLA batteries were higher thanthat of sulfuric gel batteries. The morphology of electrodes of phosphoric gel VRLA batteries were more deteriorated in the SEM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