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1초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분석법에 관한 연구(I): GC-ECD 및 NPD를 병렬 사용한 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Various Pesticides (I): Analysis by GC with ECD and NPD Dual Detectors)

  • 노경아;김진호;김현위;이윤경;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27-431
    • /
    • 1997
  • 유기인제, 유기염소제, 카바메이트제 및 피레쓰로이드제 농약을 한 번의 전처리와 주입으로 동시에 분석할수 있는 실험법을 연구하였다. 자동 soxhlet 추출 장치로 쌀시료로 부터 농약을 추출해내고, 이 추출물의 용매를 증발시킨후 hexane에 재용해하고 Sep-Pak florisil catridge를 이용한 고체상 추출법으로 정제하였다. Soxhlet 추출의 용매는 acetone을 사용하였고, 정제시의 용출용매로는 ethyl acetate : n-hexane (1:1) 혼합 용매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전처리 과정을 거친 시료액을 GC에 주입하고, 하나의 칼럼에 병렬로 연결된 ECD와 NPD를 통해 검출하였다. ECD를 통해서는 유기염소제와 피레쓰로이드제 농약들이 검출되고, NPD를 통해서는 유기인제와 카바메이트제 농약이 선택적으로 동시에 검출되어진다. 이 분석법으로 쌀시료에 대해 5회의 회수율 실험을 하였을 때 dichlorvos와 captan을 제외한 46종 농약이 60% 이상의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5회 반복된 실험치 간의 표준편차는 $1.12{\sim}14.44$의 범위로 나타나 비교적 양호한 재현성을 보였다.

  • PDF

HPTLC와 GC/MS를 이용한 의약품의 데이타베이스화 및 생체시료에의 응용 (Constructing Database for Drugs and its Application to Biological Sample by HPTLC and GC/MS)

  • 유영찬;박성우;임미애;백승경;박세연;이주선;노동석
    • 분석과학
    • /
    • 제13권2호
    • /
    • pp.136-150
    • /
    • 2000
  • 생체시료에서 미지 의약품의 검출을 위하여, 민감하고 선택적인 박층크로마토그래피인 자동화 점적기 및 자외선 스펙트럼 검출기를 장착한 고성능박층크로마토그라피(HPTLC)를 시도하였다. 205종의 의약품에 대한 Rf값과 자외선흡수스펙트럼(scan 200-360 nm)을 이용하여 HPTLC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또한 96종의 의약품에 대하여는 리도카인에 대한 상대적 머무름시간(relative retention time; RRT) 및 질량스펙트럼을 이용하여 GC/M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생체시료중 의약품성분은 고상추출법(Clean Screen ZSDAU020)으로 추출한 후, 이들 시료들을 HPTLC 및 GC/MS 데이터베이스에 적용시켜 검색한 결과 90% 이상의 매우 양호한 일치율로 검색할 수 있었으며, 이들 의약품들을 GC/MS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구축한 HPTLC 및 GC/MS 데이터베이스체계는 생체시료에서 미지의 의약품성분을 검색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농산물 중 Phenothrin 및 Silafuofen의 정밀 잔류분석법 개발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Phenothrin and Silafluofen Residues in Crops with Mass Spectrometric Confirmation)

  • 이영득;오재호;장상원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9-400
    • /
    • 2011
  •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농산물 중 살충제 phenothrin과 silafluofen 잔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공정 잔류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미, 사과, 고추 및 배추의 4종 대표 농산물 시료로부터 분석성분들을 acetone으로 동시에 추출하고 액-액 분배 및 Florisil 흡착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시료 조제과정을 최적화하였다. 현미 및 고추 시료의 경우 acetonitrile/n-hexane 분배법을 추가하여 유지를 포함한 비극성 간섭물질을 제거하였다. HPLC에서 역상 C18 column과 경사용리법을 사용, 대상 성분들과 시료 중 간섭물질을 완전 분리하였으며 자외흡광검출기를 이용하여 고감도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의 정량한계는 회수율 시험을 통하여 명확히 확인한 결과, phenothrin 및 silafluofen이 각각 0.02 및 0.01 mg/kg 이었다. 대표 농산물 4종에 대상 농약을 3수준 3반복으로 수행하여 얻은 분석법의 회수율은 phenothrin 및 silafluofen이 각각 82.4~109.8% 및 83.7~109.8% 범위였으며 분석오차는 농산물 종류 및 처리수준에 관계없이 10% 미만이었다. 시료 중 검출된 대상 성분의 재확인을 위하여 LC/MS 및 GC/MS법을 추가로 확립하여 분석결과의 정성적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개발된 분석법은 높은 감도와 양호한 회수율 그리고 낮은 분석오차를 감안할 때 국가 공정분석법으로 충분히 이용 가능하였다.

작물(오이, 딸기, 포도) 중 살균제 Fenhexamid의 잔류성에 대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n the Residual of Fungicide Fenhexamid in Crops(Cucumber, Strawberry and Grape))

  • 한성수;노석초;김원주;박필재;김일광
    • 분석과학
    • /
    • 제16권1호
    • /
    • pp.70-77
    • /
    • 2003
  • Hydroxyanilide계 살균제 fenhexamid의 작물 (오이, 딸기, 포도) 중 잔류량을 전자포획검출기가 장착된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최적 분석조건을 설정하고, 처리시기별 잔류량을 구하였다. 각 시료를 blender로 마쇄 후 acetone으로 1차 추출 한 후 dichloromethane으로 2차 추출하였으며, silica gel이 충전된 plastic 컬럼에서 acetone:hexane (5:95, 15:85, v/v) 혼합액으로 분리하였다. 표준 검량선의 회귀방정식은 0.05~0.20 ng에서 오이 Y=312.40X+10.26, 딸기 Y=313.33X+5.54, 포도 Y=253.27X-2.23 이었으며, 각각 $R^2=0.9996$, $R^2=0.9998$, $R^2=0.9994$의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0.10 mg/L 과 0.40 mg/L의 표준시료 처리시 평균 회수율은 오이, 딸기, 포도 각각 94.8%, 88.1%, 93.7% 이었으며, 순수표준품의 검출한계는 0.01 mg/L이었다. 각 작물체의 잔류량은 0.01~0.58 mg/L 범위이었다.

Gas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인삼(人蔘) 제품(製品) 중의 지방산(脂肪酸) 분석(分析) (Gas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Fatty Acids in Ginseng Products)

  • 윤태헌;김을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2-187
    • /
    • 1979
  • 시판되고 있는 홍삼(紅蔘)과 백삼(白蔘), 홍삼(紅蔘) 엑기스와 백삼(白蔘) 엑기스를 구입하여 ethyl ether로 추출한 다음 지방질(脂肪質)의 총(總)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GLC로 분석 확인하였고 각 peak면적은 integrator로 계산하였다. 1. 홍삼(紅蔘)과 백삼(白蔘) II의 조(粗) 지방질(脂肪質) 함량은 각각 0.86%와 0.82%로 비슷하였고 백삼(白蔘) I의 조(粗) 지방질(脂肪質)은 0.54%였다. 엑기스에서는 홍삼(紅蔘) 엑기스와 백삼(白蔘) 엑기스 I에서 다같이 약 1.1%정도였는데 다만 백삼(白蔘)엑기스 II에서만 0.40%로서 함량이 가장 적었다. 2.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에서 $C_{10:0}$을 제외한 $C_{6:0}$에서 $C_{24:1}$까지 분리된 총 22개의 peak중 16개의 우수 지방산(脂肪酸)을 확인하였으며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주지방산(主脂肪酸)은 linoleic acid로서 홍삼(紅蔘)이 63.33%, 백삼(白蔘) I 45.55%, 백삼(白蔘) II 41.06%였다. 그 다음으로 많은 지방산(脂肪酸)은 palmitic acid로서 홍삼(紅蔘)은 11.30%였고 백삼(白蔘) I과 II는 이보다 다소 많았다. 3. 홍삼(紅蔘) 엑기스에서는 linoleic acid가 15.93% palmitic acid가 15.71%로서 이 두 지방산(脂肪酸)이 주(主) 지방산(脂肪酸)을 이루고 있었고 백삼(白蔘) 엑기스 I에서도 linoleic acid가 21.94%, palmitic acid가 19.15%로서 역시 이 두 지방산(脂肪酸)이 주(主) 지방산(脂肪酸)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백삼(白蔘)엑기스 II에서는 16.13%인 palmitic acid가 주(主) 지방산(脂肪酸)을 구성하고 있었다.

  • PDF

GC-MS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중 옥타코사놀 분석법 개발 연구 (Optimization of Analytical Methods for Octacosanol in Related Health-functional Foods with GC-MS)

  • 이진희;오미현;이경진;김양선;금은희;박지은;조미현;성민혜;김상아;김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6-271
    • /
    • 2018
  •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의 복합제품 개발 및 일반식품 형태의 제품개발 확대에 따라 옥타코사놀의 특이성 및 감도 등이 개선된 분석법을 마련하여 향후 공정시험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건강기능식품 중 옥타코사놀의 함량분석을 위해 GC-MS를 이용한 분석법을 확립하고 유통중인 제품을 대상으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분석법 검증은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에 대해 수행하였다. $12.5{\sim}200{\mu}g/L$의 농도범위에서 $r^2=0.999$ 이상의 우수한 직선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4.5, $13.8{\mu}g/L$이었다. 공시료에 표준물질 첨가법을 이용하여 정확성을 검토하였으며 50, 100, $150{\mu}g/L$의 농도에서 각각 94, 93, 109%의 회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밀성 결과에서는 시료 채취량을 80 mg, 120 mg, 220 mg으로 각기 달라하여 측정한 결과 상대표준편차는 1.8~2.4%로 확인되었다. 실험실간재현성은 1.0~2.3%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분석법을 적용하여 유통제품 9건에 대해 적용성 검토를 실시한 결과 전체 시료에서 분석이 용이하였으며, 모두 표시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GC-MS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중 옥타코사놀 분석법은 향후 공정시험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국내 건강기능식품의 관리 기반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Distribution and Content of Geometric Isomer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in Dairy Foods from the Quebec Province of Canada

  • Park, Seung-Yong;Ahn, Jae-Eun;Kim, Geun-Bae;Jung, Mun-Yhung;Lee, Byong-H.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31-37
    • /
    • 2008
  • The distributions and content of geometrical isomers of conjugated linoleic acids (CLA) in dairy foods such as milk, yogurt, and cheese, produced or being sold in the Quebec province of Canada, were investigated by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The mean contents of total CLA (mg/g fat) were $5.06{\pm}0.74$ in 4 low-fat milk samples, $14.14{\pm}4.95$ in 6 yogurt samples, and $18.22{\pm}7.89$ in 5 natural ripened cheeses. Among the yogurt samples, YY containe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CLA ($20.68{\pm}5.17\;mg/g$ fat). Among the cheese samples, Gruyere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of total CLA ($29.86{\pm}0.62$) as well as c-9,t-11 ($22.03{\pm}0.36\;mg/g$ fat), followed by Jarlsberg ($22.76{\pm}0.14$), Provolone ($16.42{\pm}0.52$), Cheddar ($13.83{\pm}0.81$), and Swiss ($8.23{\pm}1.11$). Based on the distribution ratios of CLA isomers in these dairy foods, the c-9,t-11 isomer appeared to be the major CLA isomer in both the low-fat milk ($89.87{\pm}2.39%$) and yogurt ($90.98{\pm}4.42%$). In the cheeses, however, the ratio of c-9,t-11 ($54.86{\pm}13.06%$)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c-10,c-12 ($40.81{\pm}13.40%$).

Development of a Rapid Method for the Screening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Producing Strains of Bifidobacterium breve

  • Choi, Sun-Hae;Lee, Kyoung-Min;Kim, Kwan-Hu;Kim, Geun-Ba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806-815
    • /
    • 201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solate some strains of Bifidobacterium breve from fecal materials of neonates and to screen them for the biotransformation activity of converting linoleic acid into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wenty healthy neonates between 14 and 100 days old, and four hundred colonie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Bifidobacterium selective transoligosaccharide medium. A du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technique was developed for the rapid and accurate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B. breve strains that have been reported to show the species-specific characteristic of CLA production. They are identified by 16S ribosomal DNA, fructose-6-phosphate phosphoketolase encoding genes (xfp), and rapid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Thirty-six isolates were identified as B. breve, and just two of the 12 neonates were harboring B. breve strains. Each isolate showed different CLA-producing ability in the spectrophotometric assay. All of the positive strains from the primary spectrophotometric assay were confirmed for their CLA-producing activities using gas-chromatographic analysis, and their conversion rat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rain isolated in this study. Some strains of B. breve were successfully isolated and characterized based on the CLA-producing activity, an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characterize the enzyme and the gene responsible for the enzyme activity.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ucous Exopolysaccharide (EPS) Produced by Vibrio furnissii Strain VB0S3

  • Bramhachari P.V.;Kishor P.B. Kavi;Ramadevi R.;Kumar Ranadheer;Rao, B. Rama;Dubey Santosh Kumar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44-51
    • /
    • 2007
  • Marine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trom coastal regions of Goa and screened for the strains that produce the highest amount of mucous expolysaccharide (EPS). Our screening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strain Vibrio furnissii VB0S3 (hereafter called VB0S3), as it produced the highest EPS in batch cultures during the late logarithmic growth phase.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VB0S3 based on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Growth and EPS production were studied in mineral salts medium supplemented with NaCl (1.5%) and glucose (0.2%). The exopolymer was recover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by using three volumes of cold ethanol precipitation and dialysis procedure. Chemical analyses of EPS revealed that it is primarily composed of neutral sugars, uronic acids, and proteins. Fourier-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revealed the presence of carboxyl, hydroxyl, and amide groups, which correspond to a typical heteropolymeric polysaccharide, and the EPS also possessed good emulsification activity. Th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an alditol-acetate derivatized sample of EPS revealed that it was mainly composed of galactose and glucose. Minor components found were mannose, rhamnose, fucose, ribose, arabinose, and xylose. EPS was readily isolated from culture supernatants, which suggests that the EPS was a slime-like exopolysaccharid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exopolysaccharide characterization that describes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PS expressed by Vibrio surnissii strain VB0S3.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ribute significantly and go a long way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growth and EPS production, chemical composition, and industrial applications of the exopolysaccharide in environmental biotechnology and bioremediation.

수원근교(水原近郊) 관개수중(灌漑水中)의 PCBs 및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殺蟲劑)의 잔류평가(殘留評價) (Evalu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 and Organochlorine Insecticide Residues in Irrigation Waters in the Periphery of Suwon)

  • 이윤형;황을철;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5-101
    • /
    • 1985
  • 1982년 11월부터 1983년 10월까지 서호를 포함한 수인근교의 저수지 및 한강의 하천수질 시료를 수집, PCBs 및 유기염소계살충제 잔류수준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CBs는 거의 모든 수질시료에서 검출되었다. 2) PCBs의 펑균잔류수준은 0.009${\sim}$0.5ppb였고 유기 염소계 살충제의 평균잔류수준은 불검출${\sim}$0.008ppb 였다. 3) PCBs와 총 DDT의 평균잔류수준비는 시료채취 지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이 비는 한강수질시료에서는 500으로 가장 높았고, 원천 수질에서 가장 낮았다. 4) 관개수중 PCBs는 공업 및 도시폐수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