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extracts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7초

향신료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pices)

  • 손종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48-6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메탄올로 추출한 향신료 추출물(생강, 마늘 양파, 산초 및 후추)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생강, 마늘, 양파, 산초 및 후추 메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20.3, 10.0, 4.3, 6.6 및 12.8%이었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각각 19.3, 1.0, 0.5, 3.4 및 7.9%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2,000 ppm)은 생강(67.2%)> 후추 (56.8%)> 산초(39.7%)> 마늘(26.6%)> 양파(19.6%)의 순이었다. 항균효과의 경우, 생강 메탄올 추출물은 Bacillus cereus에 대해서, 마늘 추출물은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해서 항균효과를 보였다. 양파 추출물은 모든 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ascorbic acid> 생강 추출물> BHT> 후추 추출물> 산초 추출물> 마늘 추출물> 양파 추출물의 순이었다. Linoleic acid 기질에서의 향신료 추출물(0.05%)의 항산화효과는 BHT (0.02%)> 생강> 산초> 후추> 마늘> $\alpha$-tocopherol(0.02%)> 양파의 순이었고, linoleic acid 에멀젼 기질에서의 항산화 효과는 BHT> $\alpha$-tocopherol> 생강> 후추> 산초> 마늘> 양파의 순이었다.

조리방법을 달리한 마늘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 김용두;김기만;허창기;김은선;조인경;김경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00-404
    • /
    • 2004
  • 조리방법을 달리한 마늘을 대상으로 새로운 식품개발 및 천연 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물, 에탄올로 추출한 항균활성 물질을 몇 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세균, 젖산균 및 효모등 10개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 검색을하였으며, 항균력이 강한 마늘 에탄을 추출물을 용매 계통분획하여 각 분획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에탄을안정성, pH 등을 조사하였다. 생마늘과 마늘장아찌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에탄을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10균주 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열처리한 자숙마늘, 구운 마늘, 전자렌지로 익힌 마늘은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마늘의 항균성물질은 가공방법중 열처리에 의하여 활성이 급격히 소실됨을 알 수 있었다. 마늘의 에탄을 추출물을 핵산, 디에칠에테르, 에칠아세테이트 및 물로 용매계통 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와 물층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균주별로 일반세균은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효모와 젖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생마늘의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그람양성세균은 0.1 mg/mL이었고, 그람음성세균은 0.5 mg/mL 효모와 젖산균은 2 mg/mL이었다. 마늘의 에탄을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물질은 50$^{\circ}C$에서는 비교적 안정하나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clear zone이 작아져 90$^{\circ}C$에서 10분 이상 가열시 항균활성은 급격히 저하되었고, pH 변화에서는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Comparison betwee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environment-friendly agro-produce and processed food

  • Kim, Soo-Mi;Kim, Joo-Hee;Son, Myoung-Jin;Kim, Se-Young;Rico, Catherine;Kang, Mi-Young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316-316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on garlic cultivation, and the methods for processing garlic at proper ripening stage to increase its antioxidant properties and market valu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and processed black garlic were analyzed in vitro and ex vivo. The ethanol extracts of garlic and black garlic were used in the antioxidant, linoleic acid autooxidation, lipid oxidation and RAW264.7 indicator cell using NO induced activity analyses. Also, toxicity tests by RBL-2H3 and RAW264.7 indicator cell using MTT assay were compared. Obesity inhibition test of garlic and black garlic were also studied.

  • PDF

숙성에 의해 제조된 흑 마늘 추출물의 생리학적 활성 및 항산화 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

  • 장은경;서지현;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43-448
    • /
    • 2008
  • 고온에서 숙성시켜 제조된 흑 마늘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10.0 mg/g으로 생마늘 3.7 mg/g보다 2.5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다. 생마늘과 흑 마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 흑 마늘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전자공여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1,000{\mu}g/mL$일 때 생마늘은 12.9%, 흑 마늘은 101.9%로 흑 마늘이 생마늘에 비하여 항산화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5mg/mL일 때 생마늘 추출물이 흑 마늘 추출물보다 1.7배 높게 나타났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비슷하거나 흑 마늘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생마늘과 흑 마늘 추출물에서 SOD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20mg/mL일 때 각각 3.3%와 30.9%를 나타내었으며, 흑 마늘이 생마늘에 비하여 SOD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50mg/mL 일 때 생마늘과 흑 마늘에서 각각 52.7%, 88.8%로 흑 마늘의 항고혈압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에서 분리한 호기성 세균의 생육에 대한 마늘의 영향 (Effects of Garlic Extracts on the Aerobic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조남철;전덕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7-362
    • /
    • 1988
  • 김치로부터 호기성 세균들을 분리 동정하고 이들의 생육에 대한 마늘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리된 균은 모두 21종으로서 Bacillus spp. 이 11종, Staphylococcus spp. 이 2종, Micrococcus, Flavobacterium이 1종씩 이었으며 Enterobacteriaceae와 Vibrionaceae에 속하는 균주가 각각 1종과 4종이었다. 이들 세균은 마늘 추출물이 첨가된 nutrient broth에서 생육이 저해되었는데 저해의 정도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달랐으며 마늘농도가 높으면 억제효과도 상대적으로 컸다. 이 억제작용은 마늘 추출물의 호기성 미생물에 대한 사멸작용 때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마늘껍질을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인공재배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s Using the Garlic Peel as an Agricultural by-product)

  • 이상선;김순근;이태수;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268-275
    • /
    • 1997
  • High prices of raw materials used as media for the mushroom cultivation increased the cost of commercial production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In this study, garlic peels (Allium sativum f. pekinese) as an agricultural by-product were investigated to replace the saw dust for the bottle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Mycelial growth of oyster mushroom were examined by the extracts made from the sawdust, rice bran and garlic peels. The mycelial growth was very poor in the agar media containing the extracts of sawdust or garlic peels, but was good when those of the rice bran were added. In the polypropylene bottle experiment, the sawdust medium which ammended with minerals vitamin was essential for the production of the mushroom fruitbodies. The rice bran was considered to stimulate the mycelial growth, but not the development of basidiocarps. The garlic peel was not a factor to stimulate the production of mushroom fruitbodies, but a raw material ammended with the rice bran produced much amounts of mushroom. In this work, garlic peels ($10{\sim}70%$ v/v) added to the mixture of sawdust and rice bran (4 : 1, v/v) was considered to help the productions of mushroom fruitbodies. Based on the result, the replacement of expensive saw dust with inexpensive garlic peels was a good example to reduce production cost of the bottle cultivation of mushroom.

  • PDF

숙성 흑마늘 추출물의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of Aged Black Garlic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30-1335
    • /
    • 2007
  • 마늘을 발효시켜 만든 흑마늘의 지질 산화 억제 및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실험하였다. 표준품으로서 마늘의 주성분인 alliin과 흑마늘의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각각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흑마늘 에탄을 추출물이 효능이 가장 높았다. 사람 LDL을 $Cu^{2+}$유도 LDL로 산화시킬 때 그 항산화능은 각 시료를 $10\;{\mu}g/ml$$20\;{\mu}g/ml$ 씩 첨가하며 TSARS를 측정한 결과 에탄을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용량 의존형으로 나타났다. 흑마늘의 에탄올과 물추출물을 $10\;{\mu}g/ml$$20\;{\mu}g/ml$ 첨가한 후 J774 유도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각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었고 용량 의존형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흑마늘의 각 추출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전기영동 이동상은 대조구에 비하여 $10\;{\mu}g/ml$$20\;{\mu}g/ml$에서 산화를 억제하였고 공액 2중 결합에 의한 실험에서도 항산화 효과가 있었으며 $20\;{\mu}g/ml$의 농도에서 거의 억제되었다.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Black Garlic Extracts during Fermentation

  • Jeong, Yoon-Hw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42-14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black garlic extract during fermentation. Black garlic extract was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to produce 0.5% and 1.0% black garlic solutions. Those solutions were then used to make rice solutions which included 2 kg rice, 40 g Nuruk (a fermentation starter), and 14 g yeast. After being mixed, the rice solutions were fermented for 7 days in a water bath at $28^{\circ}C$. The alcohol contents of the control, 0.5% and 1.0% black garlic Makgeolli were 16.9, 16.0, and 16.2%, respectively. Total acidity, total soluble solids, and color increased throughout the fermentation process. There was an increase of microorganisms throughout the fermentation period in all the samples. Glucose was the highest free sugar, and succinic acid was the highest organic acid detected in all the samples. Thirty nine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in black garlic Makgeolli.

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生育, 脂質 및 Aflatoxin 生産에 미치는 마늘(Allium sativum L.)엑기스의 영향 (The Effects of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 on Growth, Lipid and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R-716)

  • Woo, Young Sook;Chung, Duck Hwa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9-97
    • /
    • 1984
  • The possible effects of garlic (Aliium sativurn L.) extract on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R- 716 were investigated. Various solvent extracts of garlic strongly inhibited growth and sporula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R-716, and effective solvents used for extraction of garlic were chloroform, benzene, and water-chloroform. The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extract concentration, and extract equivalent 1.5g of raw garlic weight in 25ml SLS medium completely inhibited, and at a level of 1.25g garlic, total aflatoxin was reduced 64% (472 ${\mu}g$/25ml) of that produced in the control (1, 352 ${\mu}g$/25 ml). During cultivation inhibitory rate of growth was reduced from 89.1% to 40% and aflatoxin $B_2$, $G_1$ production increased with the laps of time. Especially garlic extract appeared to have a stimulatory effect on lipid accumulation on the contrary aflatoxin production.

  • PDF

건조 마늘, 홍삼 및 이들 혼합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Garlic, Red Ginseng and Their Mixture)

  • 신정혜;강민정;이수정;양승미;류지현;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33-1639
    • /
    • 2009
  • 열풍건조 마늘 및 홍삼 추출물과 혼합물의 생리활성을 평가하고자 마늘 열수추출물에 홍삼 열수추출물을 5-15%(v/v) 첨가한 혼합물을 제조하여 500-10,000 $\mu$g/mL 농도에서 항산화활성, tyrosinase 및 glucosidase 저해활성, 위암 및 대장암 세포에 대한 생육저해 활성을 실험하였다. 열풍건조 마늘과 홍삼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1,000 $\mu$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15% 미만으로 낮았으나, 이들의 혼합물의 경우 38%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2,500 $\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열풍건조 마늘 추출물에서 가장 높고 다음으로 홍삼 추출물 15% 첨가군, 10% 첨가군의 순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10,000 $\mu$g/mL 농도에서 열풍건조 마늘은 29.56%, 홍삼 추출물은 34.59%이던 것이 이들의 혼합물에서는 그 활성이 급격히 저하하여 15% 미만이었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열풍건조 마늘 추출물에서 더 높아 10,000 $\mu$g/mL 농도에서 22.22%였고, 동일농도에서 홍삼 추출물의 경우 13.84%, 이들의 15% 혼합물에서 활성은 25.27%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GS 세포 성장억제능은 시료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열풍건조 마늘이나 홍삼 단독 추출액에 비하여 이들의 혼합 시료에서 더 활성이 높았다. HT-29 세포의 성장도 시료의 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는데, 1,000 $\mu$g/mL 농도에서 열풍건조 마늘과 홍삼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억제능은 50% 이상이었으나 이들의 혼합물의 경우 활성이 저하하여 28.25-39.62%에 불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