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ranon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6초

목초액의 휘발성 성분과 이화학적 특성 (Volatile Substanc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yroligneous Liquor)

  • 김종수;박승우;최정환;이은영;이상한;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56-661
    • /
    • 2005
  • 목초액을 천연보존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기계식전용 탄화로에서 제조된 목초액을 대상으로 이화적인 특성 및 휘발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목초액은 pH, 비중, 산도, 굴절률, 투과률은 각각 2.40, 1.020, $0.8\%$, $1.354\%$, $89.05\%$이었고, 용해타르 및 작열잔사는 각각 $2.31\%,\;0.008\%$이었다. 한편 무기성분은 Al 0.11, Cu 4.13, Fe 2.92, Mn 0.15, Zn 4.37, Ca 3.49, K 5.89, Mg 0.43, Na 6.88 mg/L 함유하고 있었으나 유해중금속인 Pb, Cd, As, Hg, Cr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GC-MS에 의한 목초액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유기성 분획에 함유된 화합물은 ketones 및 diketone계 화합물이 5,472.3 ${\mu}g/100mg$, phenol류가 5,170.3 ${\mu}g/100mg$, methoxyphenol 화합물이 6,002.7 ${\mu}g/100mg$, dimethoxyphenol 화합물이 5,790.7 ${\mu}g/100mg$, furan 및 pyran 화합물이 5,604.5 ${\mu}g/100mg$, pyrocatechol류가 4,790.3 ${\mu}g/100mg$ 함유되어 있었다. 성분별로는 2, 6-dimethoxyphenol (syringol) 3,453 ${\mu}g/100m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2-hydroxy-2-cyclopenten-1-one 2,480.3 ${\mu}g/100mg$, catechol 2,097.5 ${\mu}g/100mg$, Phenol 2,037.2 ${\mu}g/100mg$, 2(5H)-furanone 1,826.7 ${\mu}g/100mg$, 2-methoxyphenol (guaiacol) 1,812.9 ${\mu}g/100mg$, 5-hydro-2-furancarboxaldehyde (HMF) 1,636.8 ${\mu}g/100mg$함유되어 있었다. 수용성 분획에서는 catechol 501.2 ${\mu}g/100mg$, cyclopropyl carbinol 442.0 ${\mu}g/100mg$, 2-hydroxy-2-cyclopenten-1-one 270.0 ${\mu}g/100mg$, 5-hydro-2-furancarboxaldehyde 120.5 ${\mu}g/100mg$, 1,4:3,6-dianhydro-$\alpha$-d-glucopyranose 121.9 ${\mu}g/100mg$ 함유되어 있었다.

간장박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Soy Sauce Residue)

  • 차용준;왕문봉;차하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55-1761
    • /
    • 2016
  • 간장박 및 그 산가수분해물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PME/GC/MSD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79종의 화합물이 간장박(66종)과 산가수분해물(60종)에서 동정되었다. 에스테르 및 알코올류가 각각 15종으로 가장 많았고, 알데히드류 11종, 산류 9종, 방향족 화합물류 8종, 퓨란류 8종, 케톤류 7종 및 기타 화합물류 6종이었다. 함량 면에서는 간장박에서 알코올 함량(433.37 ng/g)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알데히드류(273.01 ng/g), 에스테르류(236.80 ng/g) 및 방향족 화합물류(180.66 ng/g) 순이었다. 산가수분해물에서는 퓨란류가 249.27 ng/g으로 가장 많았으며(P<0.05), 알코올을 제외한 나머지 화합물류는 15 ng/g 미만이었다. 간장박에서는 4종의 에스테르류, 3-methylbutyl acetate(바나나/배향), ethyl 3-methyl butanoate(익은 과일향), ethylbenzene acetate(와인향), ethyl 3-methyl butanoate(사과향), 3종의 알코올류, 3-methyl-1-butanol(과일/위스키향), 2-phenylethanol(꽃/달콤한향), 1-octen-3-ol(버섯향), 4종의 알데히드류, (E)-2-phenyl-2-butenal(초코렛향), benzaldehyde(알몬드향), 3-methylbutanal(엿기름향), 2-phenylacetaldehyde(꽃향), 4종의 방향족 화합물류, 4-ethyl-2-methoxyphenol(연기향/간장향), 4-ethylphenol(약품향), 4-vinyl-2-methoxyphenol(나무향), phenol(나무향) 및 2종의 퓨란류, fufural(알몬드향), 4-hydroxy-2,5-dimethyl-3(2H)-furanone(카라멜향)이 지배적이었다. 반면에 산가수분해물에서는 furfural, 5-methylfurfural(알몬드향), 3-methyl-1-butanol, 2-phenylethanol, 4-ethyl-2-methoxyphenol, 3-methylbutanal, benzaldehyde 등의 화합물이 지배적이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검은비늘버섯의 향기특성 (Aroma Characteristics of Pholiota adiposa (Geumbongi)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 윤향식;오은희;주선종;김기식;정은경;장후봉;김숙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53-557
    • /
    • 2004
  • 검은비늘버섯(Pholiota adiposa)의 향기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생버섯을 SDE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GC/MS로 정성하였다. GC/MS로 정성된 화합물은 총 41종이었으며 관능기별로 보면 알콜류 11개(8.23%), 알데하이드류 8개(32.70%), 에스테르류 4개(5.69%), 케톤류 4개(5.42%), 알칸류 9개(17.91%), 기타 5개(11.64%)화합물로 구성되었다. 함량이 높은 화합물로는 hexanal(8.55%), n-heptaldehyde(13.02%), 2-pentyl furan(4.82%), bonzeneacetaldehyde(3.34%), (E,Z)-2,4-decadienal(3.06%)과 hexacosane(5.04%)이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은 SPME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였으며 열풍건조시 건조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2-phenylethanol, benzeneacetaldehyde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70^{\circ}C$에서는 2(5H)-furanone(0.16%), 2H-1-benzopyran-2-one(7.63%), 2-acetylpyrrole(5.49%), 4-phenyl-pyridine(5.61%)이 높게 나타났다.

복합 유산균 스타터 ABT-5를 이용한 발효 다크 초콜릿의 항산화 활성 및 향기 성분 (Effects of fermentation by the commercial starter ABT-5 on the flavo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ark chocolate)

  • 고소예;류지연;김현아;김소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17-624
    • /
    • 2017
  • 본 연구는 다크 초콜릿을 복합 유산균 스타터인 ABT-5를 이용하여 발효시켰을 때, 항산화 성분과 활성 그리고 향기 성분의 변화를 발효 전 다크 초콜릿과 비교하였다. 발효 시간에 따른 pH의 감소와 적정 산도의 증가 및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한 lactic acid 성분비의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다크 초콜릿의 발효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6, 12, 그리고 24시간 발효한 다크 초콜릿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발효 전 대조구 대비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한편, 6, 12시간 발효한 다크 초콜릿은 대조구에 대비하여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ROS 발생 및 세포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유의적으로 보호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검출된 4-hydroxy-2,5-dimethyl-3(2H)-furanone와 헤드스페이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검출된 2-furanmethanol은 중요한 향미 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해당 성분들은 발효 다크 초콜릿의 풍미를 증진시킬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유산균을 이용해 다크 초콜릿을 발효했으며, 발효 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발효에 의한 다크 초콜릿의 향미 성분의 증가를 측정함으로써 고부가가치 다크 초콜릿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4,5-Diaryl-2,2-Dimethyl-3(2Η)Furanone Derivatives as COX-2 Inhibitors-Next Generation Anti-Arthritis Candidate-

  • Shin, Song-Seok;Noh, Min-Soo;Byun, Young-Joo;Park, Jin-Kyu;Kim, Ji-Young;Lim, Kyung-Min;Ha, Jun-Yong;Kim, Jin-Kwan;Lee, Chang-Ho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6
    • /
    • 2001
  • Inflammation is an outcome or an end effect of disruption of complex immunological balance. A variety of approaches to control immunological unbalance have been tried, and some of them are in practice in the clinic. Since inflammatory disorders are reflection of very complex immunological responses, it should be difficult to have such disorders under complete control. Thus, most of the drugs, being marketed and under development, possess some degrees of undesired side offsets originating from disruption of immunological balance. Steroids are excellent drugs suppressing inflammation in short term, however, long-term use of steroids would incur a serious side effect of "rebound". Another example is TNF-${\alpha}$-neutralizing agents, such as enbrel and infliximab. TNF-${\alpha}$ has been known to play a key role in the exacerbation of inflammation, and knock-out of TNF-${\alpha}$ is regarded essential to control of chronic inflammation. The TNF-${\alpha}$-neutralizing drugs in the market are regarded very efficient in the management of rheumatoid arthritis. Upon long term use, however, those drugs cause sepsis to a certain proportion of patients. It is ironical that a high plasma level of TNF-${\alpha}$ is known to be responsible for sepsis, and that the drugs scavenging TNF-${\alpha}$ cause sepsis. The above two examples illustrate well the difficulty of discovering an anti-inflammatory drug without unwanted immunological side effects. An anti-inflammatory drug would make a case in the market, as long as the drug has huge therapeutic benefits compared to its expected but unwanted immunological side effects, where cyclooxygenase-2 inhibitors are positioning. In this presentation, will be discussed general aspects of cyclooxygenase-2 inhibition in conjunction with 3(2Η)furanone derivatives, a novel class of COX-2 inhibitors.

  • PDF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을 이용한 둥굴레차의 증자 여부에 따른 향기성분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lavor Compounds in Steamed- and Nonsteamed-Roasted Polygonatum odoratum Roots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 박난영;서지형;김영회;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07-512
    • /
    • 2000
  • 고품질 둥굴레차의 제조를 위한 기반연구로서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을 이용한 headspace 방법에 의해 볶음 전 중자(steaming) 여부에 따른 둥굴레차의 향기성분 특성을 비교하였다. SPME fiber에 대한 향기성분의 흡착조건은 $60^{\circ}C$에서 30분이 적합하였고, 무중자 및 중자(120분)된 시료를 $130^{\circ}C$에서 15분간 볶음 처리하여 분석 GC chromatogram에서는 40여 종의 peak가 분리되었고, 전반적인 pattern은 유사하였으나 서로 상이한 peak특성이 관찰되었다. 분리된 성분들을 GC-MS와 retention time 비교에 의해 25종을 동정하였으며, 무중자 볶음처리 둥굴레는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 2,5-di-methyl-4-hydroxy-3(2H)-furanone, 2-acetyl-1-pyrroline 등의 pyrazine류 함량이 중자 후 볶음 둥굴레보다 높게 나타나 둥굴레의 고유한 향과 맛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중자 후 볶음 처리한 둥굴레의 경우에는 acetic acid(8.17%)와 hexanoic acid(5.43%)의 함량이 무중자 시료(2.40%와 2.00%)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천연한방소재인 연교 추출물의 미백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the Oriental Medicinal Herb Forsythia suspensa Fruit as a Cosmetic Ingredient)

  • 이정노;박재희;김상우;유영경;이강태;이건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9-86
    • /
    • 2007
  • 본 연구는 연교 추출물과 연교 추출물에서 분리한 활성물질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에 관한 것이다. 연교 추출물은 $0.1{\sim}1.0%$ (v/v)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멜라닌 생성억제 실험결과 1.0 %에서 $63.1{\pm}3.1%$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1H-NMR,\;^{13}C-NMR$, Mass analysis 등의 기기분석 결과 리그난 계열의 활성물질인 4-[(3,4-Dimethoxyphenyl)methyl)]dihydro-3-[(4-hydroxy-3-methoxyphenyl)methyl]-2(3H)-furanone (arctigenin)으로 동정되었다. 활성물질에 대한 멜라닌 저해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3.0{\mu}g/mL$에서 $52.7{\pm}3.1%$를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교 추출물을 3 % 함유한 크림의 미백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진행한 결과 전문의의 육안평가와 기기평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연교 추출물은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광릉쥐오줌풀의 정유향 특성 (Odor Characteristics of Essential Oil of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 조장환;이종철;김영회;김근수;안대진;한옥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37
    • /
    • 1996
  • 광릉쥐오줌풀 뿌리의 정유성분 조성 및 정유의 특성을 더욱 정밀하게 조사하기 위하여 수증기 증류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을 산성, 페놀성, 염기성 및 중성성분 분획으로 분리하여 분획별 향의 관능평가 및 분획물의 조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릉쥐오줌풀 뿌리의 정유성분분획물 각각의 조성은 중성성분 분획물 92%, 산성성분 분획물 6%, 염기성성분 및 페놀분획물은 각각 1% 미만이며 각 분획물의 향특성은 중성성분 분획은 sweet-balsamic, woody, musky, medicinal 향이며 산성성분 분획은 sweat-socks, valeric-like, cheese-like 향이었다. 2. 중성성분분획물을 용매의 극성을 달리하여 분획한 결과 용출 용매별 분획 비율은 ethyl ether분획물이 44%, pentane : ethyl ether분획물 34%, pentane과 methanol분획물은 각각 11%였다. 분획별 향 특성은 ethyl ether 분획물은 woody, medicinal 향이며 pentane :. ethyl ether 분획물은 sweet-balsamic, woody, herb-like향 특성을 나타내었다. 극성을 달리한 용출용매별 분획물에서 확인된 성분은 ethyl ether 분획물에서 valeranone 등 12종, pentane : ethyl ether(9 : 1) 분획물에서는 bornyl acetate등 26종, pentane 분획물에서 camphene등 43종을 확인하였다. 3. 산성성분분획에서는 n-butanoic acid 외 44종을 확인하였고 그 중 양적으로 많은 성분은 3-methyl butanoic acid 42.1%, dimethoxy-2-propanoic acid 11.5%, 5-ethyldihydro-2H-furanone 5.7% 등 이었다.

  • PDF

장기간 숙성에 따른 죽초 및 목초액의 이화학적 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of Vinegars Obtained from Bamboo and Wood during Long Term Aging)

  • 구창섭;문성필;박상범;권수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74-79
    • /
    • 2002
  • 졸참나무, 맹종죽 및 소나무로부터 제조한 미정제 죽초 및 목초액을 약 1년 간 저장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변화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였다. pH, 유기산·용해타르 함량 및 비중은 전 숙성기간 중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색차의 경우 7~10개월 사이에서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 기간 동안에 이들 죽초 및 목초액의 색깔은 연한 노랑 띤 오렌지색에서 자주색과 오렌지색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죽초 및 목초액 중 유기산 및 중성 성분(dihydro-2(3H)-furanone, furfural, furfuryl alcohol, 2-hydroxy-1-methy-1-cyclopenten-3-one, 1-hydroxy-2-propanone, methanol)들의 함량은 3개월 간격으로 주기적인 증감을 나타내었다. 특히 유기산류와 중성 성분들의 관계는 0.92 정도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페놀류의 함량은 비록 유사한 주기적인 증감이 관찰되었으나, 그 함량의 경우 숙성 전 기간에 걸쳐 감소하였다.

Effect of Refrigerated and Thermal Storage on the Volatile Profile of Commercial Aseptic Korean Soymilk

  • Kim, Hun;Cadwallader, Keith R.;Jeong, Eun-Jeong;Cha, Yong-J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76-85
    • /
    • 2009
  •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 of refrigerated and thermal storage on the volatile profile of commercial aseptic soymilk.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aseptic soymilk stored either under refrigerated ($4^{\circ}C$) or thermal ($55^{\circ}C$) conditions for 30 days were periodically analyzed by combined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AFE-GC-MS). The concentrations of most of the volatile components, including aldehydes, ketones, alcohols, acids, nitrogen-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 alkylfurans, furan derivatives and phenolic compounds, were affected to a greater extent by thermal storage compared with refrigerated storage. Profound increases in some volatile compounds with low odor detection thresholds, such as hexanal, octanal, (E)-2-octenal, (E,E)-2,4-decadienal, 1-octen-3-ol, 3-ethyl-2,5-dimethylpyrazine, 2,3-diethyl-5-methylpyrazine, 2-pentylfuran, 4-hydroxy-2,5-dimethyl-3(2H)-furanone, dimethyl trisulfide, guaiacol, 4-vinylguaiacol and 4-vinylphenol, were observed in thermal stored soymilk. The volatile profile changes caused by thermal storage may influence the aroma quality of thermal-stored aseptic soymi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