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ungicide sensitivity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3초

Identification of DNA Markers Linked to Metalaxyl Insensitivity Loci in Phytophthora infestans

  • Eom, Seung-Hee;Kim, Kwon-Jong;Jung, Hee-Sun;Lee, Sang-Pyo;Lee, Youn-Su
    • Mycobiology
    • /
    • 제31권4호
    • /
    • pp.229-234
    • /
    • 2003
  • A total of 24 isolates of Phytophthora infestans were tested and analyzed for their resistance to metalaxyl fungicides. Sensitivity to metalaxyl was determined by growing isolates on 20% V8 medium amended with 0, 5, and 100 ${\mu}g/ml$ metalaxyl. Four isolates among the 24 tested were resistant to metalaxyl. Eleven isolates were intermediate and nine isolates were sensitive.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AFLP) assay was used to identify the amplification products of resistant isolates. As a result, selected fragments were cloned, sequences and primer pairs were developed which linked to metalaxyl insensitivity in P. infestans using competitive PCR.

Genetic Variation of Monilinia fructicola Population in Korea

  • Su In Lee;Hwa-Jung Lee;Youn-Sig Kwa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205-217
    • /
    • 2024
  • Brown rot disease, caused by Monilinia spp., poses a significant threat to pome and stone fruit crops globally, resulting in substantial economic losses during pre- and post-harvest stages. Monilinia fructigena, M. laxa, and M. fructicola are identified as the key agents responsible for brown rot disease. In this study, we employed the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method to assess the genetic diversity of 86 strains of Monilinia spp. isolated from major stone fruit cultivation region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strains were collected from Chungcheong, Gangwon, Gyeonggi,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do). A comparative analysis of strain characteristics, such as isolation locations, host plants, and responses to chemical fungicides, was conducted. AFLP phylogenetic classification using 20 primer pairs revealed the presence of three distinct groups, with strains from Jeolla province consistently forming a separate group at a high frequency. Furthermore, M. fructicola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AFLP pattern.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and PERMANOVA were applied to compare strain information, such as origin, host, and fungicide sensitivity, revealing significant partition patterns for AFLP according to geographic origin and host plants. This study represents the utilization of AFLP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genetic variability among M. fructicola isolat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variations in the brown rot pathogen.

전남북 지역 맥류 붉은곰팡이병균의 Propiconazole 약제에 대한 감수성 변화 (Change in the Sensitivity to Propiconazole of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Causing Head Blight of Barley and Wheat in Jeolla Province)

  • 백지선;나주영;이미정;임수빈;최정혜;장자영;이데레사;최효원;김점순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81-289
    • /
    • 2022
  • 붉은곰팡이병은 곡류의 중요한 병이며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FGSC)에 속하는 균들에 의해 발생한다. 맥류 재배 농가들은 이 병을 방제하기 위해 탈메틸화 억제제인 triazole계 살균제를 살포한다. 본 연구는 FGSC 집단에서 triazole계 살균제인 propiconazole에 대한 감수성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0-2016년과 2020-2021년 동안 전남북의 보리와 밀에서 124개와 350개의 FGSC 균주를 각각 분리하였다. 균주들의 종 동정 및 트리코테센 독소화학형은 각각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및 TRI12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PCR 분석을 기반으로 결정되었다. propiconazole에 대한 민감도는 한천 희석법을 사용하여 균사체 성장을 50% 감소시키는 유효 농도(EC50)를 기준으로 결정되었다. 모든 균주에서 nivalenol 독소화학형의 F. asiaticum이 가장 많았으며(2010-2016년 83.9%, 2020-2021년 96.0%), 3-acetyl deoxynivalenol 독소화학형의 F. asiaticum (2010-2016년 12.1%, 2020-2021년 2.9%)이 그 다음이었다. 2010-2016년과 2020-2021년에 수집된 균주의 EC50 값은 각각 0.0180-11.0166 ㎍/mL 및 1.3104-17.9587 ㎍/mL 범위였으며, 평균 EC50 값은 2010-2016년 3.8648 ㎍/mL에서 2020-2021년 5.9635 ㎍/mL로 증가했다. 2010-2016년 균주의 EC50 값을 바탕으로 7.0 ㎍/mL을 저항성 기준으로 정하였고, 저항성 균주의 수는 2010-2016년 9.7%에서 2020-2021년 28.6%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경북 상주지역 감나무로부터 분리한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탄저병균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Sensitivity to Sterol Biosynthesis Inhibitor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Persimmon in 2013 in Sangju, Gyeongsangbukdo)

  • 임태헌;이동운;권오경;한상섭;차병진;송인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2-278
    • /
    • 2015
  •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탄저병균은 우리나라 감 재배지 주요 병의 하나이다. 2013년 상주 지역 감(Diosprosi kaki) 과원에서 C. gloeosporioides에 의하여 감염된 신초, 과일 및 잎으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여 prochloraz manganese complex, tebuconazole, mancozeb+myclobutanil, fluquinconazole+prochloraz, tebuconazole+tolyfluanid 등 총 5종의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67 균주 모두 공시 약제의 포장적용 농도에서 균사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Tebuconazole의 $EC_{50}$값의 범위는 $0.02-1.04{\mu}g/ml$이었으며 평균 $0.31{\mu}g/ml$이었다. Pochloraz manganese complex의 $EC_{50}$값의 범위는 $0.02{\sim}0.23{\mu}g/ml$이었으며 평균 $EC_{50}$값은 $0.078{\mu}g/ml$이었다. Fluquinconazole+Prochloraz(FP)에 대한 $EC_{50}$값을 조사한 결과, 평균 $0.029{\mu}g/ml$이었다. $EC_{50}$값에 기초한 약제간 상관계수 r은 tebuconazole과 prochloraz manganese complex간에는 0.42이었으며, prochoraz manganese complex와 FP 합제 간에는 0.44, tebuconazole과 FP 합제 간은 0.27이었다.

Tolyfluanid에 대한 인삼 잿빛곰팡이병균의 감수성 (Sensitivity of Botrytis cinerea Isolated from Infected Leaves of Ginseng to Tolyfluanid)

  • 김주형;김가혜;김홍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8-193
    • /
    • 2011
  •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인삼 재배지에서 분리한 218개의 Botrytis cinerea 균주의 tolyfluanid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Tolyfluanid를 농도별로 첨가한 PDA배지에서 B. cinerea의 균사생장 억제정도를 조사하여 살균제에 대한 B. cinerea 균주들의 감수성 정도를 3 group으로 구분하였다. 분리한 병원균은 감수성 정도에 따라서,$2.0\;{\mu}g\;mL^{-1}$이하인 균주들을 HS group으로, 2.0에서부터 $18.0\;{\mu}g\;mL^{-1}$ 사이에 속하는 균주들을 S group으로, 그리고 $18.0\;{\mu}g\;mL^{-1}$ 이상인 균주들을 LS group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균주 중에서 174개 균주가 S group에 속하였으며, 각각 22개 균주가 HS와 LS group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tolyfluanid의 B. cinerea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와 포자발아 억제 효과는 높은 정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장에서 분리한 B. cinerea의 tolyfluanid에 대한 저항성 모니터링의 기준과, 저항성 발현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감나무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 Mancozeb 및 Propineb에 대한 감수성 (Sensitivity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Persimmon to Benzimidazoles, Mancozeb and Propineb)

  • 임태헌;최용화;이동운;한상섭;차병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10
    • /
    • 2009
  • 감 과수원으로부터 분리한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대한 carbendazim, thiophanate-methyl, mancozedb 및 propineb 등 총 4종의 살균제의 약제반응을 조사하였다. Carbendazim($415{\mu}g/m{\ell}$)과 thiophanate-methyl($750{\mu}g/m{\ell}$)에 대하여 90%이상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은 각각 68.2와 35.5%로 나타났으며 두 약제 사이의 교차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2=0.7862$). Mancozeb와 propineb에 대하여 91%이상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보인 균주의 비율은 각각 90%과 53.6%이상으로 조사되었으며, 두 약제가 교차 저항성의 위험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2=0.0174$). 시험에 사용한 두 종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와 mancozeb와 propineb 사이의 교차 저항성은 조사한 결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 주 재배지 경북 청송 지역 사과 탄저병원균의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조사 (Research to Fungicide Sensitivity of Colletotrichum spp. Isolated from Apple Fruits in Cheongsong, Korea)

  • 김중연;김흥태;전용호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45-157
    • /
    • 2023
  • 2018년, 경상북도 청송군 소재 7개의 읍면리의 13개 사과과원에서 채집한 탄저병 감염 과실로부터 39개 탄저병 균주를 분리한 후 이 균주들을 대상으로 국내에 등록된 12개의 사과 탄저병 살균제에 대한 균자생장 억제, 포자발아 억제율을 조사하여 각각의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한천희석법을 이용한 실내검정법으로 조사하였다. 살균제 감수성 실내검정 결과 captan, dithanon, fluazinam, metconazole, tebuconazole에서는 저항성 균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trifloxystrobin, kresoxim-methyl 살균제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가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일부 지역에서 살균제의 지속적인 처리로 인하여 균주 집단 내 살균제 내성이 발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저항성이 발현된 strobilurin 계통의 살균제를 관리하기 위하여 연용 살포를 하지 말아야 하며, 살포기간에 유용미생물로 인한 대체 살포 등 관리가 필요하다.

Carboxylic acid amide계 살균제에 대한 고추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의 감수성 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Baseline Sensitivity of Phytophthora capsici Causing Pepper Phytophthora Blight to Carboxylic Acid Amide Fungicides)

  • 신진호;김주형;이경희;노창우;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56-462
    • /
    • 2010
  • 고추 주요 재배지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4년에 걸쳐 채집한 180개의 고추 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을 대상으로 carboxylic acid arnide(CAA)계열의 benthiavalicarb, iprovalicarb, dimethomorph에 대한 감수성/저항성 반응을 검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3가지 살균제에 대한 $EC_{50}$값(병원균의 균사생장을 50% 억제하는 농도)은 benthiavalicarb가 0.033(0.015-0.049) ${\mu}g\;mL^{-1}$, iprovalicarb가 0.411(0.197-0.556) ${\mu}g\;mL^{-1}$, dimethomorph가 0.271(0.101-0.798) ${\mu}g\;mL^{-1}$로 나타났다. Benthiavalicarb와 iprovalicarb는 포장에서 살균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2007년부터의 $EC_{50}$값과 사용하기 전의 $EC_{50}$값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병원균의 $EC_{50}$값에 의한 분포에서도 저항성균의 발현은 찾아볼 수 없었다. Dimethomorph 역시 포장에서 저항성균이 발현하지는 않았지만, 연도별도 병원균의 $EC_{50}$값이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다른 작용기작을 갖는 metalaxyl과의 교차저항성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R^2$값을 조사하였는데, benthiavalicarb, iprovalicarb, imethomorph 각각과 metalaxyl과의 $R^2$값은 0.001, 0.009, 0.069로 매우 낮아 전혀 상관관계가 성립하지 않았다. 같은 계열에 속하는 mandipropamid와 실험에 사용한 세 종류의 살균제 각각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사한 화학구조를 지니는 benthiavalicarb와 iprovalicarb, 그리고 dimethomorph와 mandipropamid간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하지만 동일한 CAA계열의 다른 살균제와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한국잔디에 발생하는 동전마름병 원인균의 유전 및 생리적 특성차이 (Genetic and Physiological Discrepancies from Isolates of Sclerotinia homoeocarpa causing Zoysiagrass Dollar Spot Disease)

  • 박대섭;김경덕;길준영;피재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5-76
    • /
    • 2006
  • 난지형 잔디인 한국 안양잔디에서 달라스팟의 병원균인 Sclerotinia honoeocarpa의 isolate, Scz1이 최근 새롭게 동정되었다. Scz1은 한지형 잔디인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분리된 표준 균주인 Scb1과는 다른 균사의 색상, 균사간의 친밀도 그리고 병 기주 특이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Scz1, Scz2(난지형 잔디에서 분리한 또 다른 달라스팟 병원균) 그리고 Scb1을 분자생물학적인 연구,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와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assays를 이용하여 동정 및 유전자적 차이를 알아보았다. ITS 실험의 결과, 3개의 isolates가 ITS 부분적 염기 서열 비교 BLAST에 등록되어 있는 S. homoeocarpa의 ITS 염기 서열과 $94{\sim}97%$의 동일성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RAPD 실험 결과로는, Scz1과 Scb1의 similarity matrix 범위는 0.167이였고, Scz2와 Scb1은 0.139 그리고, Scz1과 Scz2은 0.713이였다. 계통수(系統樹) 결과는 Scb1과는 달리 Scz1과 Scz2는 유전적으로 높은 동일성을 지니고 있어, 같은 분류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달라스팟 병원균 억제에 효과적인 농약인 프로피코나졸에 대한 $EC_{50}$은 Scz1은 0.012 ${\mu}g/ml$, Scz2은 0.003 ${\mu}g/ml$ 그리고 Scb1은 0.030 ${\mu}g/ml$이었다. 상기 결과로, 동일 병원 기주성과 유사한 유전적 친밀성을 보인 Scz1과 Scz2는 S. homoeocarpa의 동일 그룹에 속하였으나 농약 민감도에서는 차이점을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보다 더 많은 한지형과 난지형 잔디에서 분리된 병원균들을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Molecular Analysis of Botrytis cinerea Causing Ginseng Grey Mold Resistant to Carbendazim and the Mixture of Carbendazin Plus Diethofencarb

  • Kim, Joo-Hyung;Min, Ji-Young;Bae, Young-Seok;Kim, Heung-T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22-327
    • /
    • 2009
  • A total of 23 isolates of Botrytis cinerea causing the grey mold were collected from infected ginseng in several fields of Korea. The sensitivity to carbendazim and the mixture of carbendazim plus diethofencarb was determined through a mycelial inhibition test on PDA amended with or without fungicides. B. cinerea isolates were classified as 3 phenotypes, which were the first phenotype resistant to both of carbendazim and the mixture ($Car^RMix^R$), the second one resistant to carbendazim and sensitive to the mixture ($Car^RMix^S$), and the last one sensitive to both of them ($Car^RMix^S$). Carbendazim resistance correlated with a single mutation $\beta$-tubulin gene of B. cinerea amplified with primer pair tubkjhL and tubkjhR causing a change of glutamate to alanine at amino acid position 198. Furthermore, the substitution of valine for glutamate led the resistance to carbendazim and the mixture at the same position of amino acid.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nalysis using the restriction endonuclease, Tsp451 and BstUI allowed differentiation of the PCR fragment of $\beta$-tubulin gene of $Car^SMix^S$ isolates from that of $Car^RMix^R$ and $Car^RMix^S$ isolates. This method will aid in a fast detection of resistance of carbendazim and the mixture of carbendazim plus diethofencarb in B. cinerea in ginseng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