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eral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9초

Thick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장례서비스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Funeral service focused on Thick Data Analysis)

  • 안진호;이정선
    • 서비스연구
    • /
    • 제10권1호
    • /
    • pp.85-96
    • /
    • 2020
  •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중인 아시아 지역에서는 장례 서비스 산업이 발달하며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장례서비스의 경제적 가치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장례서비스는 상조회사를 중심으로 죽음 직후의 장례식 중심의 편향적인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선진 장례서비스 사례들을 비교해 볼 때 장례식만이 아닌, 사람을 중심으로 고인의 가족과 주변의 지인들을 케어해주는 서비스가 발전하고 있기에 우리나라도 이와 같은 연구가 본격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사이언스적 관점에서 서비스의 주체인 상주(유가족)과 조문객을 중심으로 하여 장례서비스의 미래방향성을 질적 데이터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장례서비스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들은 일반적으로 빅데이터들의 수집, 가공, 해석의 과정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어렵고, 이러한 경우에 데이터 분석 방식은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와 사용자경험(User eXperience)에 기반한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를 위하여 실제 상주와 조문객의 에스노그라피와 사용자경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향후 10년 후의 구체적인 상주와 조문객의 모습을 페르소나(persona) 방식으로 도출하고, 상주와 조문객 중심의 장례서비스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조선 후기 국장용 운반 상구고(喪具考) (A Consideration about the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in the late of Joseon Period)

  • 박종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9권
    • /
    • pp.191-217
    • /
    • 2006
  • 상장례 중 발인절차에서 각종 물품과 시신을 운반하는 상구를 이용하여, 상주들은 예를 원활하게 치루고자 노력한다. 이미 조선시대 초기에 "세종실록"과 "국조오례의"를 통해서, 이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일반백성들이 지켜야 할 예서의 수준을 넘어선 국가의례의 표준서이다. 조선 중후기를 넘어오면서, 국가가 정한 국장의례 규정에 따라서, 국장도감은 운반상구류를 제작하여서 사용하였다. 그 예로 대여 견여 요여 채여 연 가자 등을 제작하여서 국장에 실제로 사용하였다. 이와 관련하여서, 조선 중기 이후에 일련의 실제 국장과 그에 소요된 기물들을 기록한 책인 의궤를 살펴볼 수 있다. 본 글은 "선조국장도감의궤", "인조국장도감의궤", "정조국장도감의궤", "순조국장도감의궤",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를 참고서로 활용하여서 조선 중후기 국장에서 실제로 사용되었던 운반상구류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운반상구류의 준비와 제작과정, 활용상황, 그 변화에 이르기까지 국장도감의궤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조선시대 왕실의례는 곧 국가를 대표하는 의례이어서 개인의 기호에 따라서 좌우될 수 없었다. 조선시대 왕실이 한 국가의 상징이자, 실질적인 권력이 나오는 곳이었기 때문에, 왕실의례는 한 국가의례로서 전형을 보여주어야 했다. 운반상구류가 대행왕의 옥체를 실은 재궁, 왕실의 권위와 왕통을 상징하는 물품 등을 운반하기 때문에, 국장도감은 세심한 배려와 함께 신중을 기하였다. 이는 이러한 물품들이 살아서 이 땅을 지배하였던 왕 같은 권위를 지니고 있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은 발인 시에 단순한 운반상구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왕과 동격 선상에 있는 상징적인 물품들이다. 정형성을 유지하였던 국장용 운반상구 역시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서 당시 현실적인 여건으로 다소의 변화가 일어났다. 왕실의례가 전례의식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변화를 가져왔다면, 사대부 및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 상구류 제작 또는 사용에서도 변화를 꾀할 수 있었다. 이 점에서 조선시대의 국장용 상구류 변화에도 관심을 기여야 한다.

고인의 사회적 신분에 따른 장례 제단 꽃 장식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Flower Decoration at the Funeral Altar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of the Deceased)

  • 예언경;정준현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25-43
    • /
    • 2019
  • 고인의 사회적 신분에 따라 다양한 제단 꽃 장식을 연출하여 조문객과 남은 유가족의 심리적 충격과 아픔을 위로하고 고인의 삶을 아름답게 추억하도록 연출하는 것이 장례 제단 꽃 장식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공정거래위원회가 선정한 우리나라 우수 상조 업체 5개사와 일본을 대표하는 상조업체 5개사의 장례 제단 꽃 장식 유형을 조사하고, 일본과 한국의 장례 제단 꽃 장식 유형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장례 제단 꽃 장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연령대별 설문조사를 통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전 연령대 대부분이 고인의 직업에 따른 장례 제단 꽃 장식에 대하여 긍정적인 결과가 집계 되었고, 이는 소비자들이 상조회사 상품에 구성된 제단 꽃 장식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결과 소비자들 대부분이 고인의 직업과 취미, 취향에 따른 제단 꽃 장식과 자연의 풍경을 입체적으로 연출한 제단 꽃 장식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장기 정씨(1565~1614) 묘의 출토복식 - 17세기 초 장속과 습의를 중심으로 - (The Excavated Costume front Mrs. Jung(1665~1614)'s Grave - Focused on the Funeral Custom and Shroud in the Early 17th Century -)

  • 이은주
    • 복식
    • /
    • 제53권3호
    • /
    • pp.73-87
    • /
    • 2003
  • The custom and shroud for funeral rites of the early 17th Century based on the excavated costume from the grave of Mrs. Jung (1565 - 1614) are studied in this paper. The grave was located in the Pohang, Kyungbuk Province and was excavated in, April 1999. The remains consist of one set of epitaphs, 33 pieces of costume, 7 pieces of cloths, and 14 pieces of funeral accessaries. From these remains, this study newly reveals : 1) a specific funeral custom for the upper class from the fact that her husband, Ja-Hun Ki, was in the position of Prime Minister for the Chosun government when she died, 2) a fact that women also wore a formal dress with round-shaped collar (Dalryoung) and a concubine could use rectangular tablets ((Hyungbae) with peacock pattern according to her husband's rank, 3) a whole set of shroud used for women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4) specific construction methods for individual shroud.

장례문화에 대한 건축계획적 측면에서의 조사 연구(I) (A Survey for Funeral Culture based on Architectural Planning)

  • 이덕용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55-62
    • /
    • 2007
  • Since the human race set foot on the earth, an unremitting effort to the free oneself from the fear of death. It was used ways and means like religion, power and a war to this end that the achievements of one's lifetime for a great man have power and wealth proved. But, there are remain proposition, all man will be die in spite of a lot of eff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cognize theoretical background of funeral culture based on present studies and a recent statistical data, and provide data for err from the right path of a funeral policy and improve consciousness of person. And, There wish inflected a basic data when Architectural Planning of funeral facilities to institutional background and facilities situation.

  • PDF

A Study on the Patterns of the Late 19th Century Funerals

  • Kim, Kyung-Hee
    • 패션비즈니스
    • /
    • 제7권3호
    • /
    • pp.1-13
    • /
    • 2003
  • As a ritual that deals with the issues of human life and death, and that embodies complicated cultural implications, funerals have been an important material to refer to in considering the spiritual life as well as the social aspects of contemporary people. The present study on the 19th-century Western funerals is significant in that current funerals have been formed and changed from the ancient practice in a long historical background. The funeral patterns in 1890 to 1910, the period when reformatory movements started to appear in the custom concerning death, have been changed and fixed to be the current funeral custom. The range of the present study is lim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nbalmment, funeral processions and ceremonies, as well as the costumes for the mourning period.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in the study is the review of literature concerning death and funeral rituals, previous studi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technical literature, and photographs or paintings.

종교의식(宗敎儀式)과 장례식장(葬禮式場) 평면구성(平面構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lanning Funeral Ceremony Hall and Ritual Formalities)

  • 김상희;도용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57-64
    • /
    • 2000
  • The change of social consciousness and culture induce increasing needs of funeral ceremony hall. This study analysed the equipments standards of funeral ceremony hall, and the procedure of each ritual formalities, then surveyed nine cases. As a result, the forms of mortuary are identical despite the needs of plans by religions and rites. This study recognized the needs of mortuary plans by religions, and purposed to plan each religion's mortuary based on funeral ceremony hall after this.

  • PDF

상장례문화의 변화에 따른 수의연구 (A Study on the Shroud, according to Change of Mourning & Funeral Custom)

  • 이민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8권6호
    • /
    • pp.887-898
    • /
    • 2000
  • Mourning & funeral ritual means a various kinds of ritual procedures which begins at the time of death, buried and created a graveyard, a manner of wearing funeral garment being mourning the death, finally go back to everyday life. Our mourning & funeral custom was burial at first time. After going through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The unified Shilla and Korea dynasty, cremation method has been prevailed. However, based on Chu-tzu celebration in Chosun dynasty, the burial custom has been widely spread again. Nowadays, due to effective land utilization issue, excessive cost for burial and the change of thinking for cremation, the cremation is recognized as remedy of righteous funeral system. At this point, a shroud following existing burial custom burdens considerably for quality, price, size and design of it. Accordingly, it needs anew style of shroud corresponding to crem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he shroud is required simpl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 Firstly, in size, a shroud should be larger than plain clothes and differentiated in small, medium and large. Secondly, the material of a shroud would be white cotton, which can keep from pollution during burning time. Thirdly, it unifies the item. In case of man, 바지(把特, those are trousers), 저고리(赤古里, Korean-style jacket) and Durumagi(周衣, Korean topcoat). In case of woman, 치마(赤 , those are skirt), 저고리(赤古里, Koran-style jacket) and Durumagi(周衣, Korean topcoat).

  • PDF

조선 초기 원경왕후 상장례(喪葬禮) 의식과 그 특징 (The Funeral Rites for Queen Wongyeong during Early Joseon and the Characteristics Thereof)

  • 양정현
    • 역사민속학
    • /
    • 제45호
    • /
    • pp.7-50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 초기 흉례(凶禮)의 정비 과정이라는 연속선상에서 원경왕후 국상을 하나의 기점으로 파악하고 그 특징을 상제(喪制)의 변화 및 의식 절차의 분석을 통해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세종 2년 발생한 태종 비(妃) 원경왕후의 국상은 조선에서 국왕이 상주(喪主)가 되어 진행하는 삼년상(三年喪)의 의식 절차가 정비되어, 그 의주가 실록에 기재된 최초의 사례였다. 국상 복제 논의에서는 기존에 행해오던 역월제를 탈피하여 졸곡의 의미가 강조되었다. 기존의 도감 운영 체계를 정리하여 빈전 국장 산릉 3도감만을 운영하게 되었으며, 불교 관련 의례는 대폭 축소 규제되게 되었다. 삼년상 기간 동안 국왕의 친행을 고려한 의식 절차도 새롭게 정비되었다. 의식의 기본 패턴은 배례(拜禮) 곡(哭)-행례(行禮)-배례(拜禮) 곡(哭)로 이루어졌는데 우제(虞祭)를 기점으로 전(奠)과 제(祭)로 구분되었다. 이는 태종대 길례 의식의 정비가 이루어진 바탕에서 고제(古制)에 기반한 '전(奠)'과 제(祭)'의 이해가 반영된 결과였다. 그리고 이러한 패턴을 기준으로 개별 의식 절차의 분석을 행하였다. 이를 통해 원경왕후 국상에서 국왕이 친행하는 실질적인 삼년상 실행을 위한 상장 제도 및 의식 절차의 제정과, 그 바탕이 된 고제의 이해 수용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eath Toll and the Number of Cremators Using E-Haneul Funeral Information System and Cremation Rate in the Whole Nation Metropolitan Cities

  • Choi, Jae Sil;Nam, Yun Ju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1호
    • /
    • pp.95-103
    • /
    • 2020
  • In the study, we show the six metropolitan cities, Incheon Metropolitan City had the highest annual average rate(3.2%) of the death toll, from 2011 to 2018, and the overall annual average rise rate was 2.6%. Also, the annual average rise rate of the number of cremators using E-Haneul funeral information system, Gwangju Metropolitan City had the highest rate(7.6%) and the overall annual average rise rate was 5.6%. The annual average rise rate of the cremation rate, Gwangju Metropolitan City had the highest rate(2.8%) and the overall annual average rise rate was 1.9%. Focusing on the actual state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the policy measure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upply & demand policy of funeral facilities in six metropolitan cities in the whole nation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expanding the supply of cremation facilities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period of cremation facilities. Second, give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remators using E-Haneul Funeral Inform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for meeting the demand of using funeral facilities, such as enshrinement facilities of ash and natural burial sites. Third, in such metropolitan cities, it is difficult to resolve a conflict of location with local residents who recognize cremation facilities as unpleasant fac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and implement a plan for improving local residents awareness of cremation facilities and resolving the conflict of location in diversified ways. Fourth, it is predicated that Busan and Daegu Metropolitan City will face a lack of supply of cremation facilities in a short time due to the increased demand for them. Therefore, in order to meet the demand for cremati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more cremation furnaces in current cremation facilities or to jointly use and expand cremation facilities with their neighboring local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