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xcavated Costume front Mrs. Jung(1665~1614)'s Grave - Focused on the Funeral Custom and Shroud in the Early 17th Century -  

이은주 (한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3, no.3, 2003 , pp. 73-8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custom and shroud for funeral rites of the early 17th Century based on the excavated costume from the grave of Mrs. Jung (1565 - 1614) are studied in this paper. The grave was located in the Pohang, Kyungbuk Province and was excavated in, April 1999. The remains consist of one set of epitaphs, 33 pieces of costume, 7 pieces of cloths, and 14 pieces of funeral accessaries. From these remains, this study newly reveals : 1) a specific funeral custom for the upper class from the fact that her husband, Ja-Hun Ki, was in the position of Prime Minister for the Chosun government when she died, 2) a fact that women also wore a formal dress with round-shaped collar (Dalryoung) and a concubine could use rectangular tablets ((Hyungbae) with peacock pattern according to her husband's rank, 3) a whole set of shroud used for women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4) specific construction methods for individual shroud.
Keywords
excavated costume; shroud; funeral custo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朱憙. 朱子家禮 卷四 喪禮
2 李縡. 四禮便覽 卷之四 喪 二十九
3 尹行恁 泣血錄 卷之二 戊午五月初六日
4 경기도박물관 (2002). 조선의 옷매무새. 민속원. p. 240
5 姜斅錫 編著, 李民樹 譯 (2000). 대동기문 하. 서울: 명문당. p. 249
6 송미경 (2002).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 服飾, 52(8) , pp. 151-160
7 송미경 (2002).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 服飾, 52(8) , pp. 156-158
8 喪禮諺解 卷之二 四十
9 劉頌玉 (1982), 果川出土 廣州李氏家 服飾-括遺物考察. 第 一回 亞細亞服飾學會議 硏究發表要旨(韓國), p. 24
10 하멜, 조선왕국기 원본. 김준식 (1995) 우리는 코레아의 광대였다. 서울 웅진출판. p. 273
11 禮記 檀弓 下 ‘不釋祭服而往遂以襚之 (注)...以此襚之者 以基不用襲也 丹襚以斂
12 李東陽 外(萬曆十五). 大明會典 卷六十 四十二 皇妃冠服 常服 諸色團衫 金繡鸞鳳, 四十八 皇太子妃冠服常服 諸色團領衫, 六十二 親王妃冠服 常服 諸色團領衫, 卷六十- 三十 命婦冠服 禮服 紅色 圓衫(雉爲等第). 三十四 常服 顔色圓領衫, 三十八 士庶妻冠服 淺色團衫
13 世祖實錄 卷二十 六年庚辰四月 三
14 國立古宮博物院 編 (1971). 故宮圖像選萃, 明孝慈高皇后半身像(圖39). 臺北: 國立古宮博物院
15 燕山君日記 卷五十八 十一年 乙丑六月 丙寅
16 梁誠之. 訥齊集 卷四 四十九
17 朴承. 鶴川先生遺集 卷之二
18 이은주 . 박성실 (2002). 조선시대 壽衣에 대한 역사적 고찰. 韓國의 壽衣文化. 서울: 신유 p.73
19 안동대학교 박물관 편 (2000).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 묘 발굴조사 보고서. 안동: 안동대학교 박물관. pp. 238-239
20 李恩珠(1999). 道袍 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기능론적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85-86
21 儀禮注疏 卷十二 士喪禮 十一, 'ㅇ親者襚...(중략)...疏...(중략)...大功以上.... (중략)...庶兄弟襚...疏...庶兄弟是小功緦麻之親...'
22 박성실 (2002). 京畿道 楊洲 海平尹씨 문중 선산 출토 남아 미라 복식유물에 관한 고찰. 남아 미라 및 출토유물 연구논총. 서울. 단국대학교 石富善紀念博物館. p. 307
23 喪禮諺解 卷之二 三十八
24 燕山君日記 四年 六月 庚辰
25 南京博物館 (1982). 明淸人物肖像畵選. 上海: 人民美術出版社
26 世祖實錄 卷二十 六年康辰四月 三
2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p. 516-517
28 송미경 (2002).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 服飾, 52(8), p. 156
29 안동대학교박물관 편 (2000).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pp. 27-90
30 國朝五禮儀 卷之八 凶禮 大夫士庶人喪儀
31 金明淑(1993). 洪禹協 墓 出土 17世紀 服飼 論考. 청주: 忠北大學校 博物館. p. 36
32 안동대학교 박물관 (1996). 安東地域傳統服飾. p.4
33 이순원 외 (2000), 이석명(李碩明) 묘 출토복식 조사 보고서. 서울: 서울大學校 博物館. p. 115
34 國朝五禮儀 卷之八 大夫士庶人喪儀 治葬
35 禮記 第二十一 喪大記
36 泰州市博物館 (1986), 江蘇泰州市明代徐蕃夫婦墓淸理簡報, 文物, pp. 5-12
37 幸州奇氏大同諸譜
38 光海君日記 卷之七十四 六年 正月 壬申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