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 factor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4초

키덜트(kidult) 패션상품의 소비자 특성과 제품이미지 유형 및 제품선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sumer Characteristic and the Facter of Goods as well as the Type of Goods Image in Kidult Fashion Goods)

  • 이승진;유태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5-23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racter of consumers and the situation of domestic kidult fashion market. By grasping the distribution of kidult generation and the factors of product-selection based on products images, this research could be a substantial data to kidult associated company product planning and marketer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13 Daegu women from 20 to 30 yearn of age who have high propensity to kidult. The statistical treatment of material used by SPSS 1.0 program consists of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t-test. As a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kidult consumers are classified as six factors. On image toward of kidult fashion goo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20 and 30 aged generation. According to fashion goods group, each group recognized on image of fashion products as follow: Group A is 'fancy', group B is 'childish', group C are 'familiarity', group D was recognized as 'fancy' and was identical to A on adjective expression, but was different A on recognition. All consumer characteristics of fun, character, girlish, nostalgia have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recurrence of products selection factor, and its order was character, girlish, nostalgia, and fun.

한국 교육용 기능성 게임의 역사와 발전 방향 고찰 (A Study on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Serious Games for Education in Korea)

  • 윤형섭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01-110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용 기능성 게임을 1995년부터 2020년까지 3개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한국의 교육용 기능성 게임의 실패 원인을 사회적 환경, 제작 환경, 게임 디자인, 문화적 측면에서 나누어 분석하였고, 기술 수준과 학습 효과, 그리고 게임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술 수준과 재미, 교육적 효과에 의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기술의 난이도, 게임의 플랫폼은 학습 효과와 상관이 없으며,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접근하기 쉬운 캐주얼 게임 방식, 그리고 재미와 학습효과 간에 균형을 잘 맞추는 것이 상업적 성공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통놀이 참여자들의 재미요인이 재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도전정신의 조절효과 검증 (The effect of fun factors on re-particitation intention to traditional play: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challenge spirit)

  • 오영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33-142
    • /
    • 2022
  • 본 연구는 전통놀이 참여자들의 재미요인과 재참여의사 간의 관계에서 도전정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21년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개최한 전통놀이 한마당 대회 참여자 164명이다. 이들은 재미요인, 도전정신, 재참여의사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측정지를 분석하기 위해 SPSS18.0, PROCESS Macro(V.2.13), Interaction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도모와 도전정신의 상호작용은 높은, 중간수준에서 재참여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성 함양과 도전정신의 상호작용은 재참여 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감 경험과 도전정신의 상호작용은 높은, 중간수준에서 재참여 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쇼핑몰 점포속성 지각이 의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비구매 요인에 관한 연구 (Effect of Internet shopping mall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for Apparel on Internet)

  • 홍희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44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predictors of consumers′ apparel purchase on Internet shopping malls and 2) to determine reasons that respondents didn\`t have purchase intention of apparel on Internet shopping malls.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204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experienced shopping for apparel on Internet shopping malls, living in Cheju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paired t-test. Two predictors were found regarding purchase of apparel on the "big box" Internet shopping malls which sells various product categories; apparel quality and fun of order process. On the speciality Internet shopping malls which sells only fashion goods, diverse apparel assortment and easy handling and fun of information search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apparel purchase. Reasons that respondents didn′t have purchase intention of apparel on Internet shopping malls were summarized and labeled as: difficulty of decision making due to virtual shopping environment, insufficiency of diverse apparels, users′ unease handling, risk of incredible apparel quality, unfamiliarity of Internet shopping and risks of unsecurity. Difficulty of decision making due to virtual shopping environment was determin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reasons that respondents didn′t have purchase intention of apparels in website.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 연구 (A Study of Evaluation Model of VR(Virtual Reality) Game)

  • 박찬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345-34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게임의 평가 모델은 장르별, 재미요소 특성에 맞게 연구 되어 왔다. 가상현실 게임에 대한 평가 모델은 아직까지 연구 제안된 모델이 없었다. 4차 산업과 연관하여 가상현실은 최근 가장 각광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기술의 발달은 게임 분야와 관련하여 많은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 가상현실 게임의 평가 모델 항목은 5가지로 구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슈팅 게임을 활용하여 이를 평가 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영역을 바탕으로 가상현실 게임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게임 개발의 성공을 위한 하나의 가치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게임 품질 향상을 위한 재미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 Factors to Improve Game Quality)

  • 김효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65-68
    • /
    • 2020
  • 최근 코로나19 영향이 가장 컸던 2020년 1분기 동안 전세계 모바일 게임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8% 증가한 약 123억 건이 다운로드 됐으며, 소비자 지출은 약 2% 증가한 약 166억 달러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글로벌 게임시장의 규모가 상승하는 가운데 국내에 출시된 모바일게임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게임성이 향상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 글로벌 게임 경쟁력에 대한 해결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의 재미요소와 관련해서 다양한 내용으로 게임 사용자들의 의견을 알아보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용자 측면에서 의견들을 분석한 결과 재미요소가 게임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사용자들과의 소통, 피드백을 통해 의견을 받고 수렴해주는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기술 준비도와 소비자 준비도가 Self Service Technology 사용동기와 태도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 and Consumer Readiness on SST Usage Motivation, Attitude and Intention)

  • 심현숙;한상린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25-51
    • /
    • 2012
  • 정보기술의 활용이 마케팅 전략의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되는 시장 환경에서 본 논문에서는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서 주문시 Self Service Technology(SST)를 사용 할 때 기술준비도와 소비자 준비도에 따른 사용동기, 태도, 사용의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Parasuraman이 TRI를 개발한 이후 SST와 TRI를 접목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소비자 준비도 역시 SST사용에 대한 소비자의 동기와 태도 및 의도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서 터치스크린 SST를 도입함에 있어 소비자의 기술준비도와 소비자 준비도가 Dabholkar & Bagozzi(1994)가 제안한 SST 핵심태도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때 모든 소비자와 상황적 요인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자 자아의식, 상호작용욕구, 기술에 대한 두려움 등의 소비자특성과 지각된 대기시간, 지각된 과밀 등의 상황적 요인에 따른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AMO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 기술준비도 중 낙관성은 사용용이성과 재미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성은 사용용이성과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의 명확성, 능력 및 자아 효능감으로 구성된 소비자준비도는 사용용이성, 성과와 재미 등 모든 SST사용동기 요소에 기술준비도보다 강하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ST 핵심태도모델 내의 SST 사용 동기, 사용 태도 및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소비자 특성과 상황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지각된 과밀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이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터치스크린 SST를 도입하려는 기업에 실무적 제언을 하였다.

  • PDF

해양스포츠 참가자의 재미요인과 몰입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Fun Factor and Immersion of marine Sports on Leisure Satisfaction)

  • 장재용;권오륜;강신범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1-111
    • /
    • 2013
  • 본 연구는 해양스포츠 참가자의 재미요인과 몰입 그리고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경남지역376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1)참가기간, 시간, 빈도에 따른 재미요인에서 효율성, 운동효과, 자기만족, 가족의 지원 요인에서 참가기간, 시간, 빈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참가기간, 빈도에 따른 몰입도의 인지, 행위 요인에서 참가기간, 빈도, 시간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참가기간, 빈도, 시간 따른 여가만족도의 사회적, 신체적, 정서적, 교육적 만족 요인에서 참가기간, 빈도, 시간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해양스포츠 참가자의 재미요인의 자기만족, 운동효과, 효율성, 가족의 지원 요인은 여가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5)해양스포츠 참가자의 재미요인의 운동효과, 자기만족, 가족의 지원 요인은 여가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6)해양스포츠 참가자의 몰입도의 인지 몰입 요인은 여가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An Analytical Study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actors of Online Video Usage: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Chinese and Korean Platforms

  • So-Hyun Park;Seung-Chul Kim;Tae-Won Lee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6권7호
    • /
    • pp.145-166
    • /
    • 2022
  • Purpose - The field of online videos has seen rapid chang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development. Despite active academic research on the use of online platforms, few studies have analyzed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factors determined. In this study,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found in previous studies was identified for users of online video platforms in China and Korea. Through this,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research on online video use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quality level of online video platforms currently used in China and Korea was measured and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can provide information for companies to enter Chinese and Korean markets and also be useful to platform providers aiming to increase usage. Design/methodology - Among the factors of Online Video Usage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13 factors to be studied were se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hierarchized into 2 layers. For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each factor was designed as a pairwise comparison questionnaire.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on the quality of online video platform currently in us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16 platforms in China and 11 platforms in Korea,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and user perspectives was compared and analyzed using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In the analytical process, platforms were divided into over-the-top (OTT) group and Creator group according to the weight of user-generated content, and data analysis focused on these groups. Findings - As a result of AHP, China and Korea showed both "Fun" and "Interests" factors at the top, while the importance of the Entertainment factor "Vicarious satisfaction" was very different for China and Korea. "Relationship with content creator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hina, but it ranked the lowest in Korea. The IPA showed that the factors with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fun, interests, and easy accessibility for both China and Korea. In contrast, the factors that showed low performance compared to high importance in China were relationship with content creators, relationship with acquaintances/friends, and trustworthiness. As for Korea, vicarious satisfaction was observed; thus, this study has raised the need for academic and industrial interest in vicarious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 that fun, interests, vicarious satisfaction, and easy accessibility of the platform are factors that must be included in further studies on online videos. Originality/value -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use of online platforms have derived factors or focused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nd performance. However, few studies have analyzed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determined factors. This paper explores factors to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by deriving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se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in China and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