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ffect of Internet shopping mall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for Apparel on Internet  

홍희숙 (제주대학교 자연대학 의류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0, no.4, 2002 , pp. 27-4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predictors of consumers′ apparel purchase on Internet shopping malls and 2) to determine reasons that respondents didn\`t have purchase intention of apparel on Internet shopping malls.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204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experienced shopping for apparel on Internet shopping malls, living in Cheju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paired t-test. Two predictors were found regarding purchase of apparel on the "big box" Internet shopping malls which sells various product categories; apparel quality and fun of order process. On the speciality Internet shopping malls which sells only fashion goods, diverse apparel assortment and easy handling and fun of information search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apparel purchase. Reasons that respondents didn′t have purchase intention of apparel on Internet shopping malls were summarized and labeled as: difficulty of decision making due to virtual shopping environment, insufficiency of diverse apparels, users′ unease handling, risk of incredible apparel quality, unfamiliarity of Internet shopping and risks of unsecurity. Difficulty of decision making due to virtual shopping environment was determin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reasons that respondents didn′t have purchase intention of apparels in website.
Keywords
internet shopping mall attributes; purchase intention for apparel on internet; reasons for non-purchase of apparel on interne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성진(1999). 소비자의 전자상거래 이용 실태 및 피해유형. 소비자보호원
2 김현정, 이은영, 박재옥(2000). 인터넷을 통한 패션상품 구매행동의 탐색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907-917   과학기술학회마을   ScienceOn
3 박현희(2001)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감성요소와 화면 구성요소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어패럴뉴스(2000a). 전자상거래업체 신규사업 다각화, PB 제품개발, 오프라인사업병행. 5월 18일자. [www.aparelnews.co.kr/index/intemet_news.html].
5 어패럴뉴스(2000b). 할인쇼핑몰 '아코스 닷컴' 오픈, 5월 19일자.[www.apparelnews.co.kr/index/internet_news.html].
6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1997). 소비자행동. 서울: 법문사
7 이형미 (1999). 인터넷 상거래에서 소비자 만족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인터파크(1999). [URL = http://www.interpark.com.]
9 조영주, 임숙자와 이승희 (2001).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위험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7), 1247-1257   과학기술학회마을   ScienceOn
10 입력오류
11 Kadison, L. M. (1998, April), On retail strategies: The look-to-buy imperative, The Forester Research Report, 1(10). [URL=http://www.forestor.com/cgi-bin/cgi.pl]
12 McConnell, J. D.(1968), Effect of pricing on perception of product qual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2, 331-334.   DOI
13 Steenkamp, J. E. M. & Wedel, M. (1991), Segmenting retail markets on store image' using a consumer-based methodology, Journal of retailing, 67, 300-320
14 패션인사이트(2000). 섬유패션인터넷 사이트 전쟁. 3월 13일자
15 Bloch, P. H., & Richins, M. L. (1983). Shopping without purchase: An investigation of consumer browsing behavio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0, 389-393
16 Chen, Q. & Wells, W. D. (1999, Sep/Oct), Attitude toward the site. Journal of Adveltising Research. 39, 27-37
17 패션인사이트(2000c). 정확한 화면 정보제공이 열쇠. 4월 10일자
18 임철훈(1998). 인터넷 쇼핑몰 선택시 결정변수와 만조도 및 애호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고려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한국경제신문(1999). 11월 4일자
20 한국전산원(1994). 정보화 역기능 현황 및 분석, 12
21 Hoffman, D. L. & Novak, T. P. (1996, July).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60, 50-68   DOI   ScienceOn
22 김태하(1997). PC 통신 서비스를 통한 가상소매업의 소비자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선숙, 이은영 (1999). 인터넷 의류제품 구매자의 유형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통연구, 4(2), 2-23
24 김재휘, 박유진, 김지호(2000). 사이트 구성요소에 대한 평가가 사이트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1(1), 83-102
25 구양숙, 이승민(2001). 온라인상의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점포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6), 1100-1111
26 Eighmey, J. & McCord, L. (1998). Adding value in the information age: Uses and gratifications of sites on the world wide web.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1, 187-194   DOI   ScienceOn
27 김상용, 박성용(1999). 전자상거래에서의 혜택요인과 위험요인에 따른 실제 및 잠재 소비자에 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소비자학회, 79-114
28 박 철(2000). 인터넷 탐색가치에 의해 분류한 온라인 소비자 집단별 특성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2(1),31-51
29 패션인사이트(2000b). 인터넷 전용 신사복 런칭. 5월 22일자
30 Howard, J. A. & Seath, J. N. (1969), The theory of buyer behavior,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31 한상린(1998, 12월). 전자상거래 환경에서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 마케팅[On-line]. [http://kmarketing.co.kr/mag].
32 양유영, 천종숙(2000). 카달로그 쇼핑. TV 홈쇼핑. 인터넷 쇼핑에서 제공하는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한국의류학회지, 24(8), 1137-1145
33 하오선, 신혜원(2001). 인터넷 의류구매자의 의류쇼핑행동, 태도 및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25(1), 71-82   과학기술학회마을   ScienceOn
34 Arons, L. (1961, Fall), Does television viewing influence store image and shopping frequency. Journal of Retailing, 37(3), 1
35 KNP 보고서(Korean Netizen Profile, 2000), [URL=http://knp,adic.co.kr]
36 이승민(2001). 인터넷 패션 쇼핑몰 이용 소비자의 행동의도 결정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7 이은진, 홍병숙 (1999). PC 통신 및 인터넷 이용자의 통신판매를 통한 의류제품 구매성향. 한국의류학회지. 23(7), 1007-1018   과학기술학회마을   ScienceOn
38 최은영 (2000, Aug.). 인터넷상의 의류상품 제시방법과 구매의사결정과의 관계 연구. 복식, 50, 103-115
39 이상호(2000). 전자상거래 의류 시험결과 소비자보호원
40 Gardner, D. (1971, May), Is there a generalized pricequality relationship?,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8, 241-243   DOI   ScienceOn
41 한경석, 노미현(1998). 전자상거래의 역기능 개선을 위한 주요 실패요인 분석. 경영정보학 연구. 8(1), 103-124
42 한국전산원(2001). 한국인터넷 백서. 서울: 한국전산원
43 패션인사이트(2000). 신유통경로-인터넷 . 5월 1일자
44 소비자보호원. [URL=http://www.cpb.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