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migation method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5초

실버 장수양생을 위한 精氣神論的인 건강기구 개발 (Development of Health Tools for Silver Longevity on the Theory of the Material Basis & Vital and Mental Activities)

  • 김경철;이용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93-897
    • /
    • 2003
  • We study the health tools for silver longevity on the theory of the material basis & vital and mental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avel herb-moxibustion tool strengthen material basis in the low elixir-field. The method is the fumigation of navel by the aroma of herb. The detailed micro-wave tool strengthen Ki(vital energy) in the middle elixir-field by the multi-method of the recognition-stimulation, micro-vibration, micro-current. The mystical pillow being composed of thirty two herbs strengthen mental activity in the upper elixir-field. The three methods are the synthetic, practical, familiar health tools for silver longevity.

Ortho-phenylphenol을 주성분을 하는 훈증소독제의 Pseudomonas aeruginosa와 Enterococcus hirae에 대한 살균효과 (Bactericidal Efficacy of a Fumigation Disinfectant with Ortho-phenylphenol as an Active Ingredient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and Enterococcus Hirae)

  • 차춘남;박은기;김용팔;유은아;유창열;홍일화;김석;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0-66
    • /
    • 2014
  • 본 연구는 P. aeruginosa와 E. hirae을 대상으로 ortho-phenylphenol 20%를 함유한 훈증소독제, Fumagari $OPP^{(R)}$의 살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예비 시험에서, P. aeruginosa와 E. hirae의 현탁액 균수는 각각 $2.8{\times}10^8$$3.6{\times}10^8CFU/mL$이었으며, 모든 훈증소독제에 노출시킨 담체의 균수는 모두 평판배지법과 여과법으로 배양한 시험균주 현탁액의 균수의 50%보다 많았다. 또한, 대조 담체로부터 회복된 P. aeruginosa와 E. hirae 균수는 각각 $2.9{\times}10^6$$2.7{\times}10^6CFU/mL$이었다. 훈증소독제의 살균효과 시험에서는, 훈증소독제를 처리한 담체의 P. aeruginosa와 E. hirae의 감소 균수는 각각 6.46와 5.19 logCFU/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훈증소독제, Fumagari $OPP^{(R)}$는 P. aeruginosa와 E. hirae에 대해 효과적인 살균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병원성 세균에 오염된 식품재료 및 주방용품의 소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위적 구속환경에서 솔수염하늘소의 쏠기와 탈출행동: 성충탈출 방지용 그물망의 생물검정법 제안 (Gnawing and Escaping Behaviors of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in a Confined Environment: Suggesting a Bioassay Method of Netting for Adult Escape Prevention)

  • 고경훈;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87-193
    • /
    • 2017
  • 솔수염하늘소는 소나무에 시들음 증상을 유발하여 괴사시키는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대표적 매개충이다.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 방제살충처리 방법으로 훈증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그물망을 이용한 방제법이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솔수염하늘소의 쏠기와 탈출 행동을 유발시키는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구속 공간 및 온도를 달리 처리하고 탈출여부를 조사하였다. 솔수염하늘소는 직경 30 mm 이하의 공간에 구속되었을 때 장애물을 뚫고 탈출이 가능하였다. 온도 $15^{\circ}C$에서는 탈출에 성공하지 못하였으며, $20{\sim}30^{\circ}C$ 범위에서 탈출 성공률이 높았다. 먹이를 이용한 솔수염하늘소의 유인은 탈출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좁은 공간에 구속되지 않는 경우는 갉는 부위가 집중되지 않아 탈출공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구속된 공간에서 솔수염하늘소는 가운데와 뒷다리 부절을 이용해 좁은 공간에서 몸을 이동시키며 큰턱으로 정면에 있는 장애물을 집중적으로 갉아서 탈출공을 만들고 앞다리를 뻗어 몸을 지탱하면서 빠져나오는 행동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훈증 대체기술로 제시되고 있는 구속 그물망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에틸포메이트의 비표적생물에 대한 급성독성 및 sodium silicate의 약해저감 효과 (Acute toxicity of ethyl formate to nontarget organisms and reduction effect of sodium silicate on ethyl formate-induced phytotoxicity)

  • 김경남;이유빈;김유림;김동현;김채은;조예린;박준영;유용하;이병호;이성은
    • 환경생물
    • /
    • 제41권3호
    • /
    • pp.193-203
    • /
    • 2023
  • 에틸포메이트(Ethyl formate)는 자연상에서 발생되는 천연살충제로서 훈증방식으로 검역단계에서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해충의 방제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메틸브로마이드의 대체제로서 주로 사용되며 인축에 독성이 약하고 식물에 대한 약해가 적다. 이러한 에틸포메이트를 농업해충방제를 훈증제로 사용하기 전에 유용생물체에 대한 독성과 수박, 애호박, 참외에 대한 식물독성 및 발생한 식물독성의 저감화 방안을 강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에틸포메이트 2시간 훈증처리 후 지렁이, 꿀벌, 누에에 대한 LC50 값은 각각 39.9, 7.09, 17.9 g m-3였다. EF에 대한 감수성 정도는 LC50 값 기준 지렁이, 누에, 꿀벌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에틸포메이트 훈증처리는 꿀벌에 대하여 강한 독성을 유발하였다. 식물독성은 7.5 g m-3 농도로 처리된 수박 잎에서 관찰되었으며 10.0 g m-3 농도로 처리 시 수박 잎의 가장자리는 까맣게 타들어 가는 산에 의한 약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다른 박과 식물인 애호박 및 참외에는 10 g m-3 농도처리 시 잎에 강한 약해를 보였고 이를 저감하기 위하여 사용된 sodium silicate는 10% 및 20% 처리 시 약해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에틸포메이트 훈증처리 시 비표적생물에 대한 급성독성연구와 대상작물의 약해발생을 저감하는 연구는 에틸포메이트의 효율적인 농업해충 방제를 위한 중요한 결과를 도출했다.

각종 전처리 및 건조 방법이 건조 채소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Pretreatments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Dried Vegetables)

  • 황금택;임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05-813
    • /
    • 1994
  • 호박 고지, 고구마 줄기, 토란대, 및 도라지를 citric acid 용액 침지, 아황산염 용액 침지, 또는 황 훈중 등의전처리를 하여 천일 건조하거나 서로 다른 온도(50, 70, 90, $150^{\circ}C$)에서 열풍 건조한 후에, 실온 저장 중에 곰팡이 발생, 건조 상태 및 수화 복원 상태에서의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호박 고지는 수분 함량이 15% 이하, 고구마 줄기는 20% 이하, 토란대는 25% 이하, 도라지는 15% 이하로 건조하여 PE film에 포장하여 실온에 저장했을때 3 개월여 동안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전처리. 방법으로는 채소를 건조 전에 아황산염에 침지하거나 황훈중 처리했을 때 곰팡이 발생이 저지되었다. 엽록소를 함유한 채소는 전반적으로 열풍 건조한 경우가 천일건조한 경우에 비하여 현저히 관능적 품질이 우수했으며, 아황산염 용액에 침지하여 oven에 건조할 경우에 다른 처리 제품보다 관능적 품질이 대체적으로 좋았다. 도라지의 경우는 황 훈증이나 아황산 용액 침지가 건조 후의 제품의 품질에 다소 좋은 영향을 보였으나 건조방법은 관능적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건조온도는 도라지를 제외하고는 대체척으로 건조 실험에 사용한 온도 중에서 가장 낮은 $50^{\circ}C$에서 가장 좋은 품질의 건조 채소 제품을 얻을 수 있었으며, 모든 품목에 대하여 $105^{\circ}C$에서 건한 제품은 관능적 품질이 매우 떨어졌다. 채소틀 낮은 온도에서 건조할 때 채소의 복원율이 높았으며 복원 후외 관능적 품질도 채소의 건조 온도가 낮을수륵 좋았다.

  • PDF

Ortho-phenylphenol을 주성분을 하는 훈증소독제의 Trichophyton mentagrophytes, Candida albicans 그리고 Aspergillus niger에 대한 살진균 효과 (Fungicidal Efficacy of a Fumigation Disinfectant with Ortho-phenylphenol as an Active Ingredient against Trichophyton mentagrophytes, Candida albicans and Aspergillus niger)

  • 박은기;이수응;조기융;김용팔;유창열;김석;이후장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5-263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fungicidal efficacy of a fumigant containing 20% ortho-phenylphenol against Trichophytone mentagrophytes (T. mentagrophytes), Candida albicans (C. albicans) and Aspergillus niger (A. niger). Methods: Five replicates of each carrier were contaminated by depositing 0.05 mL of each fungal suspension. After drying, two carriers without exposure to the fumigant and three carriers with exposure to the fumigant were left in a sealed room ($25m^3$) at $21{\pm}0.5^{\circ}C$ and $60{\pm}10%$ relative humidity for 15 hours. Immediately after removal from the test room, each carrier was transferred into recovery diluent and suspended, diluted and inoculated. After incubation, the numbers of each colony were counted, and the parameter values (N, T, d) were calculated. Results: The working culture suspension number (N value) of T. mentagrophytes, C. albicans and A. niger were $1.0{\times}10^8$, $1.2{\times}10^8$ and $5.7{\times}10^7CFU/mL$, respectively. All the colony numbers on the carriers exposed to the fumigant (n1, n2, n3) were higher than 0.5N1 (the number of fungal test suspensions by pour plate method), 0.5N2 (the number of fungal test suspensions by filter membrane method) and 0.5N1, respectively. In addition, all mean numbers of test strains recovered on the control-carriers (T value) were over $10^6CFU/mL$. For the fungicidal effect of the fumigant, all numbers of fungal reductions after exposure of the fumigant (d value) were 4 logCFU/mL.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fumigant containing 20% ortho-phenylphenol has effective fungicidal activity against T. mentagrophytes, C. albicans and A. niger.

지상형 원격탐사기술을 이용한 소나무 재선충 피해조사 (An Investigation of Pine Wilt Damage by Using Ground Remote Sensing Technique)

  • 김응남;김대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4-92
    • /
    • 2008
  • 소나무의 AIDS라 일컫는 소나무 재선충이 1988년 부산의 금정산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발견된 이후 2005년 12월까지 경상남도 전역 53개 시군구지역에 피해를 끼쳤다. 피해를 입은 삼림지역에 대한 최선의 대책은 초기 방재 작업 후에 훈증을 통해 처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관찰에 의해 초기에 방재를 하는 것은 피해 삼림지역이 매우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있기 때문에 어렵다. 또한 한국의 지형적 특성 상 관찰자의 접근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근적외선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소나무 재선충 피해지역의 초기 방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해인사의 흰개미 모니터링 및 방제 방안 (Monitoring of Termite in Haeinsa Temple and Control method)

  • 정소영;이규식;정용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3호
    • /
    • pp.77-93
    • /
    • 2002
  • There are several methods of pest control for the preven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from damages caused by insects, especially termites. Those are as follows; physical control, chemical control, biological control, and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Korea, we primarily use mvestigation of monitoring, fumigation, treatment of insecticidal and antiseptic chemicals, soil termiticide treatment, and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As damages by termites were detected at Eunghyanggak and Saundang of Haeinsa temple in June, 1998, we carried out monitoring with wooden device, in order to investigate damages of wooden building by termite and paths of termite inva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monitoring from1999 to 2002, we found that termites were inhabiting continually at forests around Haeinsa and that wooden buildings such as Saundang, Cheonghwadang were damaged by termites. So we thought that control methods such as soil termiticide treatment and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would be effective. Especially, to investigate efficacy of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we carried out efficacy test of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in Jongmyo during 17 months(2000.7.~2001.11.). The result of efficacy test showed that termite colony elimination system eliminated termite colonies gradually(over 12 months from installation of colony elimination system to elimination of termite colony).

  • PDF

방사선 조사식품에 대한 인식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he Irradiated Food)

  • 정봉재;박병규;박지군;강상식;노시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47-355
    • /
    • 2014
  • 식품의 살균법은 가열법, 저온살균법, 훈증법 그리고 방사선 조사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살균을 수행하고 있다. 방사선 조사식품은 다른 타 살균법에 비해 에너지 소요량이 적으면서 강력한 투과력으로 연속적인 처리 공정이 가능하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살균에만 국한하지 않고 살충 및 발아억제 그리고 숙도를 조절함으로써 안전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에선 연구된 보고 사례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조사식품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가정에서 식생활을 책임지고 있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조사식품에 대한 인식은 평균 2.73점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인식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비 환경변화의 감성콘텐츠 개발 - 베르누이원리와 분청사기를 이용한 아로마 Diffuser를 중심으로 - (A Development of Emotional Contents in The Changes of Consumes Environments - Centering on The Aroma Diffuser Using Bernoulli Theory and Buncheong Ceramic -)

  • 최현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3호
    • /
    • pp.23-30
    • /
    • 2015
  • 향을 이용한 아로마테라피는 고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종교적 또는 질병치유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피부관리, 염증치료 등 치유 목적이외에 정신건강을 위하여 아로마테라피를 사용하고 있다. 많은 아로마테라피 디퓨저들은 다양한 형태와 소재들이 활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제품은 자연적으로 공기 중에 향을 휘산시키거나 양초 등의 열을 이용한 훈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 분청사기는 전통적,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는 분청 사기의 디자인, 형태, 문양 등을 발전시키고 새로운 제품에 접목시켜 현대사회의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분청사기와 아로마 디퓨저를 결합하고 소비자가 제품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감성이미지를 추출하여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아로마 디퓨저를 개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전통의 긍정적 이미지와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고 전통 도자기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연계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