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ll blooming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초

약제별 및 살포시기별 자두 검은점무늬병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Different Types of Chemicals with Different Spraying Schedules on Plum Bacterial Black Spot)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49-353
    • /
    • 2012
  • 자두 검은점무늬병은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에 의한 세균성 병해로 과실표면에 검은 반점형태의 병징이 발생하여 과실 상품성을 저하시켜 자두 재배농가에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데 이러한 자두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효과적인 약제 방제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몇 종의 화학약제와 살포체계를 구성하여 휴면기중에는 동제 약제를 그리고 과실생육기중에는 항생제계열 약제를 살포하였는데 과실생육기중에서의 항생제계열 약제살포는 휴면기중의 동제 약제살포보다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자두의 개화만개 10일 후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의 항생제계열 약제살포는 93%의 높은 방제가를 얻을 수 있었는데 비해서 휴면기중의 동제 약제살포는 26-42%의 낮은 방제가를 얻는데 그쳤다. 또한 항생제계열 약제의 처음 살포시기가 개화만개 후 20일이나 30일 보다는 개화만개 후 10일에서 더 높은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산악 지역에서의 피나무(Tilia amurensis Rupr.) 개화시기와 성장온일도를 이용한 개화 진행 예측 (Blooming Time of Tilia amurensis Rupr. in Mountainous Area and Prediction of its Blooming Progress Using Growing Degree Day Model)

  • 김민중;손민웅;이주혁;정철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중요 밀원식물인 피나무가 주로 자생하는 산악 지역에서 개화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가리왕산 일대 해발 638m 지점 기준목에서 개화 진행을 모니터링 하고, 고도별 개화율을 관찰하였다. 또한 문헌자료, 웹자료, 개화 판별이 가능한 표본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이 자료들을 이용하여 고도와 위도에 따른 개화기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누적 GDD를 이용하여 누적 개화율 모델을 개발하였다. GDD 계산은 5 ℃의 기준온도와 일별 최고, 최저 온도를 이용하였다. 일일 온일도를 1월 1일부터 누적할 경우 피나무 개화기는 860~1198 DD로 추정되었다. 이 결과는 산림양봉이 이루어지는 산악지역에서 개화기 예측과 채밀 가능기간을 추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icrospor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Floral Budsize in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Kim, Young-Guk;Son, Seok-Yong;Park, Chung-Heon;Seong, Nak-Sul;Lee, Bong-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51-256
    • /
    • 2000
  • Astragalus membranaceus has flowers that are similar to that of the legume family, but shows poor bearing when self-pollination is induced.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observing the ripening procedure of pistils and stamens and development stages of pollen in the context of the birth and growth of the flower. As to the bearing of the flower of A. membranaceus, few pod setting and 13% pod setting were observed when self-pollination is induced by paper-bag covering or artificial pollination treated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s that A. membranaceus is a cross-pollination plant. A pistil grew faster than a stamen until just before blooming. The flower size was about 17.0mm$\times$4.0mm. Pistils and stamens had the same length after flowering. Pollen mother cells passed through meiosis and mitosis when its length reached around 3.5mm, thus creating the tetrade when 4 mm long. Pollen attained full growth when the bud was about 10mm long. An anther was found to tend to dehisce when the length of a bud reached around 12.0mm. As to the shape of pollen, about 70 % were normal. 1% and 30 % were small or empty pollen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s that pollen of A. membranaceus attains full growth just before anther dehiscence which occurs before blooming while pistils grow faster than stamens until before flowering.

  • PDF

파종기이동에 따른 두과작물의 생육특성 비교연구 제2보 콩, 팥, 녹두의 개화기 분포 및 결협율의 변이 (Comparative Studies on Growth Patterns of Pulse Crops at Different Growing Seasons II. Variation in Distribution of Flowering Dates and Pod Setting Ratio of Soybean, Azuki -bean and Mungbean)

  • 김기준;김광호;김영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3-250
    • /
    • 1981
  • 파종기이동에 따른 콩, 팥, 녹두의 개화기분포와 결협율의 변이를 알기 위하여 중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품종 하나씩을 공시, 5월 10일, 6월9일, 7월 9일 파종구 및 5월 10일 파종후 단일 처리한 구를 두어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각 처리별 개화까지의 일수, 개화기간 그리고 개화시에서 정엽출현까지의 일수를 비교한 결과 공시된 중 품종은 유한신육형에 그리고 팥과 녹두는 무한신육형에 속하는 것이었다. 2. 주당개화수 및 성숙협수는 3작물이 모두 7월9일 파종구 및 단일처리구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결협율은 파종기에 따라서 일정한 경향 없이 콩 38\sim48%, 팥 23\sim34%, 그리고 녹두 46\sim60%였는데 콩과 녹두는 낙화 그리고 팥은 낙협이 각각의 결협률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3. 콩은 어느 파종구에서든지 1회의 개화성기를 보인 반면 팥과 녹두는 극만파구민 7월9일 파종구를 제외하고는 2\sim3회의 개화성기를 보였고 개화최성기는 콩이 개화시로부터 10일 이내에 왔으나 팥과 녹두는 파종기에 따라서 개화시로부터 25\sim45일 사이에 왔다. 4. 개화기에 따른 성숙협수의 분포는 모든 처리구에서 개화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콩의 결협율은 개화최성기 직후에 핀 꽃들이 가장 낮았으며 그 이전 및 이후에 핀 꽃들이 점점 높은 값을 보였다. 팥과 녹두의 결협율은 각 개화성기 직전에 된 꽃들이 높았고 그 직후에 핀 꽃들이 낮은 값을 보였는데 7월 9일 파종구는 3작물에서 모두 시기적으로 늦게 핀 꽃일수록 결협률이 낮아졌다. 5. 중은 모든 파종구에서 정엽출현일을 전후로 한 5일 동안에 개화최성기를 보였으며 정엽전개 이전에 핀 꽃 및 여기서 생긴 성숙협수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 반면 팥과 녹두는 정엽출현기와 개화 또는 결협간에 아무런 관계도 없었고 정엽전관 이후에 더 많은 꽃을 피웠다.

  • PDF

솔잎혹파리 우화(羽化)와 아까시나무 개화시기(開花時期)의 관계(關係) (Relationships between the Flowering Time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and Emergence Period of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 et I.))

  • 고제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47
    • /
    • 1975
  • 이것은 서울, 광릉(光陵), 전주(全州), 경주지방(慶州地方)에서 솔잎혹파리성충(成虫)의 우화시기(羽化時期)와 이의 표현표식(表現標識)으로 아까시나무의 개화시기(開花時期)를 조사(調査)한 것이다. 1. 솔잎혹파리성충(成虫)의 우화(羽化)는 그 지방(地方)의 아까시나무꽃의 개화(開花)가 시작되는 시기(時期)에 시작된다. 2. 솔잎혹파리성충(成虫)의 우화(羽化)는 그 지방(地方)의 아까시나무꽃의 만개(滿開)하는 시기(時期)에 그 최성기(最盛期)에 드러가며 주락기(淍落期)까지 계속(繼續)된다. 3. 솔잎혹파리성충(成虫)의 우화최성기(羽化最盛期)에 꽃이 만개(滿開)하는 식물(植物)은 아까시나무이외(以外)에 백당나무, 찔레나무, 꽃창포 등(等)이 있다.

  • PDF

주간 절단시기 및 생장조절제를 이용한 '후지'/M9 사과나무 수관 상단부 생장조절 (Growth Control of Upper Part in 'Fuji'/M.9 Apple Tree Canopy by Cutting Time of Trunk and Plant Growth Regulators)

  • 사공동훈;이재왕;윤태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7-96
    • /
    • 2018
  • BACKGROUND: The vigorous shoot growth in upper part of apple tree canopy leads to poor fruit quality and flower bud formation in lower part of canopy.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proper control method about the shoot growth in upper part of apple tree canopy. METHODS AND RESULTS: Trunks of 'Fuji'/M9 apple trees were cut (back pruned) to 2.5 m in tree height on 11 February (dormant) or 12 April (full bloom). Naphthalene acetic acid (NAA) was applied at 2.0% to cut surface when trunk was pruned. Prohexadione-calcium (Pro-Ca) was sprayed at 250 mg/L above 2.0 m in tree height at 23 April (petal fall). The NAA or Pro-Ca application after trunk was pruned at dormant (TR-2 and TR-3) significantly reduced shoot growth in upper part of canopy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e was only pruned at dormant, TR-1), but the percent of shoots showing the secondary growth of TR-3 was higher over 2 times than that of TR-2. The reduction of shoot growth in upper part of canopy by TR-2 and TR-3 increased the fruit red color from the lower part in the treating year and blooming of the lower part in the following year. CONCLUSION: Applying 2.0% NAA to cut surface of pruned apple trunk at dormant was the most effective way for stabilization of the tree vigor in upper part of the canopy in a high density apple orchard.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주에서 개화정도별 괴화 EtOH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비교연구 (A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ophorae Flos EtOH Extracts at the Different Flowering Stages on LPS-induced Inflammation in RAW264.7 cells)

  • 고원민;이동성;장미;김경수;이희숙;백흠영;오현철;김윤철
    • 생약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91-297
    • /
    • 2013
  • Sophorae Flos (SF), a composite of flowers and flower-buds of Sophora japonica, has long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hemostasis and inflamm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four EtOH extracts at the difference in blooming stages of flowers on LPS-induced inflammation in RAW264.7 cells. We classified the flowers of Sophora japonica with SF-1 (length of flower is shorter than calyx), SF-2 (length of calyx is shorter than flower), SF-3 (full bloom), and SF-4 (not blooming at all). We examined HPLC analysis, whether quercetin and rutin are major component of these Sophorae Flos extracts or not. As a result, SF-1 contained quercetin, but the others did not. In addition, quercetin, SF-1, and SF-4 act on the sup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 (COX)-2,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2 ($PGE_2$) against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activation in RAW264.7 cells. Of these, SF-1 showed the best anti-inflammatory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phorae Flos with the highest content of quercetin would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inflammation diseases.

확장형 컴퓨팅 구조를 위한 범용 컴파일러 설계 (Designing a Generic Compiler for Scalable Computing Fabric)

  • 타로파 에마뉴엘;이원종;바슨 스리니;한탁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B)
    • /
    • pp.394-396
    • /
    • 2006
  • A blooming area of processor design is represented by scalable computing fabric. As the structure of the processors developed using seal-able computing fabric evolved from simple programmable units to processors supporting change of flow instructions and function calls, an increasing interest is in developing the compiling technology that will allow us to harness not only the full power of their hardware but also to target multiple architecture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front-end of a generic compiler, able to accept a various source languages and transform them in a common intermediate representation.

  • PDF

지난 12년간의 전국 30개 지점의 아까시나무 개화 데이터와 순차휴면모델을 활용한 아까시나무의 만개일 예측 (Prediction of Full Blooming Dates of Robinia pseudoacacia using Chill Days Model and Flowering Data from 30 Sites in South Korea over 12 Years)

  • 김수경;김태경;임혜민;윤석희;장근창;원명수;임종환;김현석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9년도 하계 학술발표초록집
    • /
    • pp.270-271
    • /
    • 2019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