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drop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2초

감귤원에서 썩덩나무노린재 감귤과실 흡즙이 낙과 및 부패에 미치는 영향 (Feeding Effects of Halyomopha halys (Hemiptera: Pentatomidae) on Fruit Drop and Decay Rate in Mandarin Citrus Orchards)

  • 김수빈;장용석;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1-125
    • /
    • 2015
  • 본 연구는 만다린 감귤에 대한 썩덩나무노린재 흡즙이 낙과 및 저장 중 부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과실 착색 전 흡즙은 심한 낙과를 유발하였으나 착색 후 흡즙은 낙과율이 낮았다. 하지만, 부패유발 측면에서는 수확과실 및 착색전후 과실에 대한 썩덩나무노린재 흡즙이 저장 중에 부패를 유발하지 않았다. 많은 감귤농가에서는 썩덩나무노린재로 인한 낙과와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생육후기 살충제를 자주 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본 결과는 생육후기 이 해충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minoethoxyvinylglycine과 몇몇 전착제의 혼용처리에 의한 '쓰가루' 사과의 수확전 낙과방지 (Preharvest Drop Control of 'Tsugaru' Apple with Combined Use of Aminoethoxyvinylglycine and Several Adhesive Agents)

  • 강충길;채윤석;김수정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6호
    • /
    • pp.750-752
    • /
    • 1999
  • Aminoethoxyvinylglycine과 몇몇 전착제의 처리가 '쓰가루' 사과의 후기낙과 방지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한 바 AVG+Silwet L-77을 $75+1000mg{\cdot}L^{-1}$ 로 희석하여 수확 5~3주 전에 처리하는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처리시기에 따라서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무처리에 비하여 이 약제처리시 과중, 종경, 횡경 및 과실경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과중이 증가되고, 아울러 경도도 증가됨으로써 저장력이 향상되어 시장성이 높아질 것으로 추론된다.

  • PDF

GA 도포제 처리가 '포모사' 자두의 생리적 낙과 및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 Paste on Physiological Fruit Drop and Fruit Characteristics in 'Formosa' Plums (Prunus salicina Lindl.))

  • 윤석규;배해진;윤익구;남은영;권정현;전지혜;정경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9-31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GA 2.5% 도포제 처리가 자두 과실의 생리적 낙과 억제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 하였다. '포모사' 과실에 대한 GA 도포제 처리는 과실의 생리적 낙과를 경감시켰으며 수정 후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생리적 낙과방지 효과가 높았다. '포모사' 품종에 GA 도포제를 처리하고 착과율을 조사한 결과, 착과율은 만개 후 3일 처리에서 61%, 만개 후 13일 처리에서 15%로 무처리 5%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GA 도포제 처리구에서 착과율 증가는 '하니레드', '추희' 품종에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또한, GA 도포제 처리는 과실의 비대 및 과실 성숙에 영향을 주었다. GA 도포제 처리구에서 '포모사' 과실의 비대 양상을 조사한 결과, 만개 후 80일까지는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나, 만개 후 80일 이후에 대조구에 비해 과실 무게가 높게 나타났다. GA 처리된 '포모사' 과실은 과중이 약간 높고, 당도, 산 함량 및 경도는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포모사' 과실에서는 수확기 직전 즉 만개 후 85일경에 sucrose 함량이 증가하는데 GA 처리는 sucrose 함량 증가시기를 앞당겼다. 이를 종합하면, GA 도포제 처리는 자두에서 과실 생리적 낙과를 경감시켰으며 또한 과실의 성숙을 촉진하고 성숙기에 과실 비대를 촉진하였다.

충격시험에 따른 배의 허용낙하높이 추정 (Estimation of Allowable Drop Height for Oriental Pears by Impact Tests)

  • 김만수;정현모;서륜;박일규;황용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5호
    • /
    • pp.461-468
    • /
    • 2001
  • Impact between fruits and other materials is a major cause of product damage in harvesting and handling systems. The oriental pears are more susceptible to bruising than other fruits such as European pears and apples, and are required more careful handling. The interest in the handling of the pears for the processing systems has raised the question of the allowable drop height to which pears can be dropped without causing objectionable damage. Drop tests on pears were conducted using an impact device developed by authors to estimate the allowable drop height without bruising. The impact device was constructed to hold in a selected orientation and to release a fruit by vacuum for dropping on to a force transducer. The drop height was adjustable for zero to 60 cm to achieve the desired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fruits and the top of the impact force transducer. The transducer was secured to 150 kg$\sub$f/ concrete block. The transducer signal was sampled every 0.17 ms with a strain gage measurement board in the micro computer where it was digitaly stored for later analysis. The selected sample fruit was Niitaka cultivar of pears which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fruit for export in Korea. The pears were harvested during the 1998 harvest season from an orchard in Daejeon. The sample fruit was selected from two groups which were stored for 3 months and 5 months respectively by the method of current commercial practice. The pears were allowed to stabilize at environmental condition(18$^{\circ}C$, 65% rh) of the experimental room. One hundred fifty six pears were tested from the heights of 5, 7.5. 10 and 12.5 cm while measurement were made of impact peak force, contact time, time to peak force, dwell time, pear diameter and mass. The bioyield strength and modulus of elasticity were measured using UTM immediately after each drop test. The allowable drop height was estimated on the base of bioyield strength of the pears in two ways. One was assumed the peak force during impact test increasing linearly with time, and the other was based on the actual drop test results. The computer program wa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impact characteristics of the pears and analyzing the data obtained in the study. The peak force increased while contact times decreased with increasing drop height and contact times of the sample from the hard tissue group. The allowable drop height increased with increasing bioyield strength and contact times, and also varied with Poisson\`s ratio, mass and equilibrium radius of the pears. The allowable drop height calculated by a theoretical method was in the range from 1 to 4 cm, meanwhile, the estimated drop height considering the result of the impact test was in the range from 1 to 6 cm. Since the physical properties of fruits affected significantly the allowable drop heigh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ruits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imating the allowable drop height.

  • PDF

환상박피와 적심이 '세계일' 사과의 조기낙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rdling and Pinching on the June Drop of 'Sekaiichi' Apple)

  • 최석원;김규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91-394
    • /
    • 2000
  • 사과 '세계일' 품종에 대한 조기낙과 방제를 목적으로 환상박피, 환상박피+적심 및 적심처리를 실시한 결과 환상박피와 환상박피+적심 처리구가 조기낙과를 현저히 억제하고 과실 비대생장을 촉진하였다. 환상박피+적심 및 적심 처리구는 과대지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다음해의 화아 분화율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환상박피의 적기는 만개 전 5일경부터 만개기 사이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식물자원 활용 증진을 위한 새로운 종간교잡 플럼코트 '하모니'의 Y자 수형 재배 가능성 검토 (Possibility of Y-shaped Cultivation of New Interspecific Hybrid Plumcot (Prunus salicina × Prunus armeniaca cv. Harmony) for Plant Resources Utilization)

  • 김수진;윤익구;남은영;권정현;김성종;정경호;전지혜;윤석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65-570
    • /
    • 2017
  • 자두와 살구의 종간 교잡 과종인 플럼코트 'Harmony' 품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재식거리 $6{\times}3m$ 조건에서 덕이 없는 Y자 수형, Y자 팔메트 수형으로 재배하고 수체 생장, 과실 특성, 과실 수확량을 비교하였다. 재식 5년차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덕이 없는 Y자 수형, Y자 팔메트 수형에서 수체 생장량은 유사하였으나 수관 점유율은 Y자 팔메트 수형에서 높았고, 주당 수확 과실수 및 수확량도 Y자 팔메트 수형에서 높았다. 과실의 과중과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수형간에 차이가 미미하였으며 덕이 있는 Y자 수형에서 과실 낙과율이 낮은 경향이었다. 재식 4~5년차의 결과로 보아 Y자 팔메트 수형은 덕이 없는 Y자 수형에 비해 수관점유율 확대가 빠르며, 과실 착과량이 증가하고, 과실 낙과율을 경감하여 수확량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과물 퇴적층에서의 공기유동 정압강하 (Static Pressure Drop of Airflow in Packed-bed of Fruits and Vegetables)

  • 김의웅;김병삼;남궁배;정진웅;김동철;금동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1권1호
    • /
    • pp.44-51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design of pressure cooling system. Static pressure drop, as a function of superficial velocity, was measured for different stacking methods and stacking heights of some fruits and vegetables. At given superficial velocity, sphericity and void fraction had a much greater influence on static pressure drop than average diameter of spherical fruits such as apple, peach, tomato and kiwi fruit. Among cylindrical vegetables such as cucumber, carrot, radish and chinese cabbage, cucumber showed different pattern of static pressure drop because of its bended shape, radish showed less static pressure drop than other vegetables because its large sizes of voids. When cucumber and spinach were stack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air flow, a much greater static pressure drop was shown in vertical than in horizontal type, therefore static pressure drop was affected not only by void fraction but also by void shape. Also, in packed-beds of fruits and vegetables, static pressure drop could be estimated very well by Ramsins equation.

  • PDF

참다래 착과 과실의 호흡과 증산속도의 일변화 (Change of Diurnal Respiration and Transpiration Rate of Fruits in Kiwifruit during Fruit Growth)

  • 한상헌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2-15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1995년의 과실과 1996년 참다래 과실에 있어 착과과실의 호흡과 증산속도의 일변화를 조사했다. 그 속도를 과실의 생육에 따라 약 2주마다 3시간 간격으로 조사했다. 1995년에 과실성숙기의 기온은 9월 19일${\sim}$24일과 10월 14일에 갑자기 $7{\sim}13^{\circ}C$로 떨어졌지만 1996년에는 이러한 이상저온은 없었다. 착과상태의 과실의 증산과 호흡속도는 과실의 생장에 따라 낮은 경향을 나타냈지만 과실의 수확기에 1995년 과실은 1996년 과실보다 높은 증산 및 호흡속도를 나타냈다. 1995년 과실의 수확기의 호흡상승은 그해 9월 중하순과 10월 중순경의 3차례의 초가을 저온 상태의 지속과 일교차 의한 저온 stress의 가중으로 호흡이 상승되었다고 생각이 되었다.

여름철 참외 재배시 저압포그 및 외부살수가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Pressure Fog and External Watering on the Fruit Quality of Korean Melon Grown in Sumer)

  • 신용습;이지은;김민기;도한우;박종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4-29
    • /
    • 2016
  • 본 연구는 여름철 참외 시설재배시 저압포그 처리에 의한 온도하강 및 과실 품질 향상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15년 7월 26일 10시부터 18시까지의 하우스 내부의 평균 온도는 무처리구 $43.0^{\circ}C$에 비해 저압포그 처리구에서 $35.4^{\circ}C$로 무처리구에 비해 $7.6^{\circ}C$ 정도 낮았다. 8월 13일 과실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과중은 무처리구의 432g에 비해 96g 더 가볍고. 과육부 당도 $11.0^{\circ}Brix$에 비해 $1.3^{\circ}Brix$ 더 높았으며 색도(a값)도 5.1에 비해 1.5 더 높아 우수하였다. 6월 23일부터 50일간 참외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기형과율은 무처리구의 42.6%에 비하여 저압포그 처리구에서는 27.3%로 15.3%p 감소하였고, 상품과율은 무처리구의 57.4%에 비하여 저압포그 처리구에서 72.7%로 15.3%p 증가하였다. 10a당 수량은 무처리구의 2,234kg에 비하여 저압포그 처리구에서 26%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여름철 고온기 참외 시설 재배시 저압포그 처리로 온도하강 효과가 우수하여 품질이 향상되고 수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RESISTANCE TO AIR FLOW OF FRUITS IN BULK AND IN A CARTON

  • Yun, Hong-Sun;Cho, Young-Kil;Park, Kyung-Kyu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6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Proceedings
    • /
    • pp.896-905
    • /
    • 1996
  • Pressure drop, as a function of air flow, was measured for tomatoes and mandarins in bulk with different sizes, stacking arrangements and bed porosities. Pressure drop was also measured on carton vent holes and on a carton of packed fruits . and the cumulative effects of air flow resistance of vent holes and packed fruits in bulk on the air flow resistance of a carton of fruits were evaluated . Equation were presented to describe pressure drop bulk fruits, of an empty carton and of a carton of packed fruits as related to the air velocity , the bed porosity, the fruit diameter and the opening ratio of the vent ho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