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and seed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9초

Embryo, Seed coat and Pericarp Development in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Oleaceae): A Rare and Endemic Plant of Korea

  • Ghimire, Balkrishna;Jeong, Mi Jin;Choi, Go Eun;Lee, Hayan;Lee, Kyung Mee;Lee, Cheul Ho;Suh, Gang U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50-356
    • /
    • 2015
  • Abeliophyllum distichum is a monotypic taxon of Oleaceae and endemic to Korea. A comprehensive study on embryogeny and fruit and seed coat ontogeny in Abeliophyllum was carried out via microtome and light microscopy. The fertilization occurs during mid– to late April and embryo matures by early July. The embryo development follows the general fashion from globular embryo – transition embryo – heart shaped embryo – torpedo embryo – walking-stick embryo to mature embryo. The pericarp clearly differentiates into three histological zones: exocarp, mesocarp, and endocarp. The young seed comprises 10-12 cells thick seed coat and the mature seed coat comprises an exotesta, 6-8 mesotesta and an endotesta. Any crystals, phenolic-like compounds, idioblasts, and the sclereids are not found in pericarp as well as seed coat. An overall development confirms Solanade type of embryogenesis in Abeliophyllum. The endocarp becomes more prominent in mature fruit and all the layers of endocarp are highly lignified. On the basis of mechanical layer the seed coat is of exotestal type.

한국 서울 식생의 번성자로서 팥배나무의 형질 변화 양상 (Changes in Leaf and Reproductive Traits of Mountain Ash (Sorbus alnifolia) as Urban Flourisher in the Seoul Metropolitan, South Korea)

  • 정성희;조용찬;이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44-658
    • /
    • 2021
  • 도시 생태계에서 우점 수종의 형질 특성은 분획화 및 고립된 식생, 그리고 생물상호작용 감소 등 환경 변화에 대한 종의 형질 적응과 생태계 기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우리는 한국의 서울 중심에서 남쪽 방향의 4개 산지에서 환경 요인 (지리, 기상 및 토양 속성)을 포함하여 모두 40개체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에서 측정한 4개 유형의 잎 형질 (Leaf area, Specific leaf area, Leaf dry mass content, Leaf shape index)과 7개 유형의 번식 형질 (Fruit width, Fruit length, Fruit shape, Fruit dry weight, Fruit dry matter content, Seed weight 및 Seed ratio)의 평균과 분산 양상, 그리고 형질 조합에 대한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환경 요인은 조사 장소의 개별성을 나타내었지만, 도심 식생이 더 건조하고 생장도일이 길었다. 도심에서 팥배나무의 잎은 작고 무거워지며, 열매는 길쭉하고 가벼운 종자를 생산하여, 오랜 도시화 영향에 따른 형질 반응들이 관찰되었다. 우리의 연구는 식생 파편화 및 고립화에 따른 생물 상호작용 감소를 나타내는 도심 환경에서 팥배나무 집단의 성장 및 번식 기제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우리는 축소된 생물 상호작용 규모, 그리고 대기 오염 같은 부정적 환경 요인이 많은 도시에서 핵심 수종의 기능과 지속성에 관해 제한적이지만 뚜렷한 생태 정보를 제공한다.

한국산 미나리아재비과의 열매 및 종자 형태 (Fruit and seed morphology of Korean Ranunculaceae)

  • 정우철;허권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7-153
    • /
    • 2017
  • 한국산 미나리아재비과 20속 36종에 대하여 열매 및 종자 형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먼저 열매는 수과(achene)와 장과(berry) 및 골돌과(follicle)로 분류되었고, 수과를 갖는 분류군에서는 과피 표면에 모용(trichome)의 발달유무, 기공(stoma)의 존재여부, 그리고 과피 해부형태에서는 내과피가 한 층의 후벽세포로 뚜렷하게 발달하는 특징이 식별 유용형질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골돌과를 갖는 분류군은 종피의 구성(양주피 vs. 단주피), 종피 표면의 형태, 모용의 발달 유무, 종피 type 등이 분류형질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된 열매 및 종자 형질에 기초하여, 복수초속(Adonis)은 양주피성 배주를 가지므로 단주피성 배주 유집군인 미나리아재비아과(Ranunculoideae)에서 Helleboroideae아과로 분류되어야 할 것 같다. 또한 나도바람꽃속(Enemion)의 나도바람꽃은 단주피성 배주와 종피구조(non-sclereid exotesta) 형질에서 만주바람꽃이나 매발톱꽃, 개구리발톱과는 다른 너도바람꽃속(Eranthis)과 유사하여 Helleboroideae아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결과, 매화바람꽃속(Callianthemum)과 유일한 장과 속인 노루삼속(Actaea)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좀 더 정확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Geranium (Geraniaceae)의 종자산포형태에 따른 형태학적 연구 (A morphological study of Geranium (Geraniaceae) on the fruit-discharge type)

  • 박선주;김주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0호
    • /
    • pp.1011-1021
    • /
    • 2002
  • 쥐손이풀속(Genus Geranium) 40분류군에 대하여 종자산포형태에 따른 생식형질을 조사하고, 이들의 분류체계 및 진화경향성을 논의하였다. 종자산포시 분과와 까락이 탄력적으로, 위로 감겨 올라가면서 종자가 산포되는 Geranium아속과 종자산포시 분과와 까락이 완전히 분리되어 종자가 산포되는 Robertium아속으로 구분된다. Geranium아속은 다시 종자를 일시적으로 유지해 주는 분과의 부속체기저부에 강모가 있는 Geranium절, 포크형태와 같은 갈고리 모양의 Dissect절. 강모나 갈고리형의 부속 체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분과가 비틀어지면서 종자를 유지해 주는 Tuberosa절로 분류되어진다. Robertium아속은 종자산포시 종자가 까락과 중심주로부터 모두 분리되면서 분과의 표벽이 심하게 주름이 지는 Ruberta절과 분과의 표벽에 주름이 없는 Batrachioides절과 Triloph절로 나어진다. 종자산포방식에 따르면 Geranium아속이 Robertium 아속보다 더 진화한 분류균으로 생각된다.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Various Organ Extracts from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 박미진;강영화
    • 생약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27-332
    • /
    • 2016
  • In this study,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 of different organs such as seed, fruit and root from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TKM) were investigated in vitro. Among organs of TKM, the methanol extract of seed showed weak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ith $10.4{\pm}0.1%$ and $25.5{\pm}1.1%$ at $50{\mu}g/mL$ and $100{\mu}g/mL$, respectively, and strong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ith $72.4{\pm}6.3%$ and $96.4{\pm}2.3%$ at $50{\mu}g/mL$ and $100{\mu}g/mL$, respectively.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mRNA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in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 cells. The methanol extracts of seed and fruit at $50{\mu}g/mL$ potently suppressed LPS-stimulated production of NO and reduced the expression of iNOS mRNA. The methanol extracts of seed and fruit also reduced the expression of COX-2 mRNA remarkably. Therefore, seed and fruit of TKM may be utilized for a wide range of health benefits associated wit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이면교잡(二面交雜)에 의(依)한 고추과중(果重)의 구성요소(構成要素)에 대(對)한 유전분석(遺傳分析) (Diallel Analysis of Anatomical Components of the Fruit in Red Pepper)

  • 김양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11-18
    • /
    • 1983
  • 건과육중(乾果肉重)(또는 건과육율(乾果肉率)이 상대적(相對的)으로 많은 건과용(乾果用) 고추를 육성(育成)하는데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8개친(個親)과 이면교배(二面交配)한 $F_1$ 28조합(組合)을 공시(供試)하여 1건과중(乾果重)에 대(對)한 구성요소(構成要素)의 비율(此率)을 조사(調査)하고 과경중(果梗重), 태좌중(胎座重), 종자중(種子重) 및 과육중(果肉重)의 잡종강세(雜種强勢), 조합능력(組合能力) 및 유전(遺傳) 분석(分析)을 한바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친(親)과 $F_1$에 있어서 1건과중(乾果重)과 구성요소(構成要素)들은 초기과(初期果)가 중기과(中期果)에서 보다 모두 무거웠다. 그리고 초(初), 중기과(中期果)에 있어서 이들은 모두 친간(親間), $F_1$간(間)에 1%의 유의(有意)를 나타내었고, $F_1$이 친(親)보다 무거웠으나 초기과(初期果)의 친(親)은 중기과(中期果)의 $F_1$보다 무거웠다. 1건과중(乾果重)에 대(對)한 구성요소(構成要素)들의 비율(比率)은 과육(果肉)이 가장 높고 다음은 종자(種子)였다. 과육율(果肉率)은 초기과(初期果)보다 중기과(中期果)에서 다소(多少) 증가(增加)되었고 종자율(種子率)은 상대적(相對的)으로 감소(減少)되었으며 과경(果梗)과 태좌(胎座)는 수확시기(收穫時期)에 따른 차이(差異)가 없었다. 무거운 친(親)을 초월(超越)하는 $F_1$조합(組合)이 상당(相當)히 있었으며 평균(平均)heterosis(%)는 모두 정(正)의 값을 나타내었고 평균(平均)heterosis(%)는 종자(種子)와 1건과중(乾果重) 외(外)는 모두 부식(負植)를 나타내었다. GCA는 SCA는 모두 1%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내었으며 GCA가 SCA보다 컸다. 무거운 쪽이 모두 우성(優性)을 나타내었고 과경(果梗)은 부분우성(部分優性), 태좌(胎座), 과육(果肉) 및 1건과중(乾果重)은 완전우성(完全優性), 종자(種子)는 초우성(超優性)을 타나내었다. 유효유전자수(有效遺傳子數)는 과경(果梗)과 태좌(胎座)는 1개(個), 종자과육(種子果肉) 1건과중(乾果重)은 2개(個)로 추정(推定)되었으며 유전력(遺傳力)은 모두 높았다.

  • PDF

Pre-dispersal Seed Predation by a Granivorous Bird, the Masked Grosbeak (Eophona personata), in Two Bird-dispersed Ulmaceae Species

  • Yoshikawa, Tetsuro;Kikuzawa, Kihachir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3호
    • /
    • pp.137-143
    • /
    • 2009
  • Pre-dispersal seed predation by a granivorous bird, the masked grosbeak (Eophona personata, Fringillidae), was investigated in two bird-dispersed trees, Celtis sinensis and Aphananthe aspera (Ulmacea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1) measure direct damage of predation by grosbeaks on plant crops, 2) reveal the temporal pattern of predation within each tree species and its causal factors, and 3) test whether foraging grosbeaks hinder foraging of frugivorous birds, thereby indirectly impacting the reproduction of both tree species. A substantial amount of fruit and seed crop was consumed by grosbeaks (24.3% in Celtis; 55.5% in Aphananthe), and only 17.7% (Celtis) and 16.7% (Aphananthe) were removed by frugivorous birds. At the study site, the grosbeak population size fluctuated greatly during the fruiting seasons of both plant species. As for Celtis, predated seed density also fluctuated temporally, and the local population size of grosbeaks was responsible for predated seed density. In Aphananthe, predation was not fully explained by grosbeak populations or plant phenology, but its peak coincided with that of grosbeak pop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dispersal seed predation by granivorous birds can have large negative impacts on the bird-dispersed plants. Changes in local population size of granivorous birds can influence predatation and can affect reproductive success of the bird-dispersed plants available to the birds.

박과 작물에 과일썩음병을 일으키는 Acidovorax citrulli 검출을 위한 nested-PCR 검사법 개발 (Development of Nested-PCR Assay to Detect Acidovorax citrulli, a Causal Agent of Bacterial Fruit Blotch at Cucurbitaceae)

  • 김영탁;박경수;김혜성;이혁인;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21권2호
    • /
    • pp.74-81
    • /
    • 2015
  • 박과 작물에서 과일썩음병(bacterial fruit blotch)을 일으키는 Acidovorax citrulli를 종자로부터 검출하기 위한 특이적이고 민감한 nested-PCR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이용하여 draft genome sequencing을 얻은 후 이를 분석하여 PCR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였고, 이들 프라이머의 A. citrulli에 대한 특이성을 확인하여 Ac-ORF 21F/Ac-ORF 21R의 nested PCR 프라이머를 최종 선발하였다. Ac-ORF 21F/Ac-ORF 21R는 오직 A. citrulli에서만 특이적으로 140bp 크기의 DNA를 증폭하였으며, 그 검출민감도는 1차 PCR 검출한계(10 ng genomic DNA/PCR)보다 검출한계를 10,000배 증가시켰다. 개발된 nested-PCR 방법을 통해 병원균을 인공접종한 수박 종자의 외부검사에서 $10^1cfu/ml$까지 인공 접종 한 모든 종자 시료에서 병원균을 검출하였고, 병원균을 인공접종 한 수박 종자의 내부검사에서는 병원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자연 감염 수박 종자의 외부검사에서는 10개의 반복 시료 중 2개에서, 그리고 종자 내부검사에서는 10개의 반복 시료 중 5개에서 A. citrulli를 검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nested-PCR은 특이성과 민감도가 높고 인공접종과 자연감염 수박 종자에서도 병원균의 검출이 가능하여 박과 작물의 종자로부터 A. citrulli를 검출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Endogenous IAA in Peach (Prunus persica L.) Fruit during Development

  • Zhang, Wei;Li, Yang;Shi, Mengya;Hu, Hao;Hua, Baoguang;Yang, Aizhen;Liu, Yuepi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317-325
    • /
    • 2015
  • Peach (Prunus persica L.) is a model species for stone fruit studies within the Rosaceae family. Aux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each fruit. To reveal the distribution of auxin in the tissues of peach fruit,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IAA was carried out in the seed, mesocarp, and endocarp in developing peach fruit using an anti-indole-3-acetic acid (anti-IAA) monoclonal antibody. A strong IAA signal was observed throughout the outer and inner integument during peach fruit development, and the distribution was zonal. The IAA signal was mainly focused in mucilage layers in the outer integument. The outer integument may function to produce or store IAA in the seed; a strong IAA signal was detected in the cells around the vascular tissue, whereas a weak IAA signal was located in the vascular tissues. In the mesocarp, the cells around the vascular bundle tissue gave rise to an IAA signal that increased in the late phase of fruit growth, which coincided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fruit growth. The distribution of IAA, however, was changed when fruit was treated with auxin transport inhibitors NPA (1-N-naphthylphthalamic acid) or TIBA (2, 3, 5-triiodobenzoic acid); in mesocarp tissues, an IAA signal was detected mainly in vessels of the treated fruit. During the critical period of endocarp lignification, the vessel lignification proc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AA signal. The present result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of IAA was different in various tissues of peach frui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This research provides cytological data for further study of the regulatory mechanism of auxin in peach fruit.

백합의 자가 및 품종간 종자형성에서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 (Effect of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on Selfed and Intraspecific Seed Set in Lilium spp.)

  • 이지용;임용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347-352
    • /
    • 2003
  •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법으로 나팔백합 (L. longiflorum)과 신나팔백합 (1. ${\times}$ ormolongi)을 자방친으로 한 자가 및 품종간 수분을 통하여 교배 조합간 종자 형성율 등을 구명하고 교잡종 육성범위 확대를 위한 기본자료를 얻고자 수행했다. 나팔백합인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의 자가수분에서 주두수분의 경우 각각 10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189개, 70개인 반면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각각 87%, 40%였다.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53개, 20개로 화주절단 수분법보다 주두 수분에 의한 종자 형성률이 훨씬 높았다. L.${\times}$formolongi의 자가수분에서도 주두수분은 8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597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47%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81개였는데 형성된 종자도 주두수분보다 충실하지 못했다 품종간 수분에서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을 자방친으로 한 전체에서 주두수분의 종자형성 삭과율은 6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8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2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7개로 주두수분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신나팔백합의 품종간 교잡인 (L.${\times}$formolongi 'Raizan'${\times}$L. formolongi 'Nobia')에서도 주두수분시 종자형성 삭과율이 75%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79개인 반면 화 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5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63개로 주두수분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주두수분이 화주절단수분보다 결실률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