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iction connecti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5초

SC구조 벽-바닥 접합부의 내력 및 거동 특성 (Behavior and Strength of Wall-Slab Connection in SC Structure)

  • 김형국;김우범;김원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347-354
    • /
    • 2008
  • SC 구조는 시공 및 제작성이 우수하여 최근 국내외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적용되고 있는 구조이다. SC 구조의 벽 -바닥 접합부가 갖는 전단력 전달기구를 확인하기 위하여 4개의 실험체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접합부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접합부의 전단내력 평가를 위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 결과와 해석결과 간의 근접성을 확인하였고, 접합부의 내력 및 파괴모드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전단플레이트의 두께와 벽면 마찰력의 변화가 접합부 전단내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제안한 접합부 내력식이 보수적인 값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장력볼트 마찰이음의 합리적 설계 및 시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ation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High-Tension-Bolt Friction Joints)

  • 이승용;경갑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3A호
    • /
    • pp.513-521
    • /
    • 2006
  • 최근에는 고장력볼트 마찰이음의 다양화에 대해서 실무적 관점에서부터 각종 실험적 연구가 실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가 시방기준의 개정에 반영된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강교량에 있어서는 최근 합리화의 추진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강교의 설계 및 시공상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인 고장력볼트 이음부의 합리화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장력볼트 이음부의 설계 및 시공의 합리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설계기준으로의 반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고장력볼트 이음부에 관한 국내외의 설계기준을 비교, 검토하여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인 미끄러짐 계수, 그리고 볼트 구멍의 크기에 대한 규정을 분석하였다. 한편 과대공 및 축력감소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장력볼트 연결부에 대한 미끄러짐 시험을 실시하여 미끄러짐 거동을 평가하였다. 또한 최근에 수행된 고장력볼트 마찰이음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접촉면의 상태에 따른 미끄러짐 계수의 차이, 과대공의 영향, 채움판의 적용, 모재 틈새간격의 영향, 방청볼트의 사용성 등을 평가하였다. 이로부터 미끄러짐 계수의 경우 국내의 시방기준에서는 접촉면의 처리상태에 따라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있는데 비하여 외국의 시방기준에서는 접촉면의 처리상태에 따라 세분화하여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시방기준에도 접촉면의 처리상태에 따라 미끄러짐 계수를 세분하여 규정하여 설계의 합리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외국의 시방기준에서 적용하는 정도의 과대공을 설계에 반영하면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lutter Characteristics ofAircraft Wing Considering Control Surface and Actuator Dynamics with Friction Nonlinearity

  • Lee, Seung-Jun;Lee, In;Shin, Wo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8권1호
    • /
    • pp.140-147
    • /
    • 2007
  • Whenever the hinge axis of aircraft wing rotates, its stiffness varies. Also, there are nonlinearities in the connection of the actuator and the hinge axis, and it is necessary to inspect the coupled effects between the actuator dynamics and the hinge nonlinearity. Nonlinear aeroelastic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by using the iterative V-g method. Time domain analyses are also performed by using Karpel's minimum state approximation technique. The doublet hybrid method(DHM) is used to calculate the unsteady aerodynamic forces in subsonic regions. Structural nonlinearity located in the load links of the actuator is assumed to be friction. The friction nonlinearity of an actuator is identified by using the describing function technique. The nonlinear flutter analyses have shown that the flutter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depends on the structural nonlinearity as well as the dynamic stiffness of an actuator. Therefore, the dynamic stiffness of an actuator as well as the nonlinear effect of hinge axis are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the flutter stability.

지르콘 입도 크기에 따른 디스크 공격성과 브레이크 져드 특성 (Characteristics of Aggression and Brake Judder by Different ZrSiO4 Particle Size)

  • 이길형;강국현;이동규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7호
    • /
    • pp.144-151
    • /
    • 2014
  • Recently, according to the advances of vehicl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the fuel-efficient vehicles,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has been reduced and quietness of the vehicle has been increased. So that, as the emotional qualities of cars, such as NVH, are emphasized in recent years. Also required to be established of the effective measure for brake Judder. The Judder was caused by the increase in DTV by the uneven thermo metamorphosis of brake disc and the partial abrasion of disc. In this study, the disc aggression by friction materials was confirmed and the improving methods of friction materials in connection with the abrasive characteristics reviewed of $ZrSiO_4$ each particle size(under $3{\mu}m$, $5{\sim}10{\mu}m$ and over $15{\mu}m$). In addition, the study is institute make use of limit for $ZrSiO_4$ raw-material particle size and vol% in friction materials. At the result, the optimum size of $ZrSiO_4$ particles was confirmed about 5 to $10{\mu}m$.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 new steel friction device with link element for seismic strengthening of structures

  • Papadopoulos, Panikos K.;Salonikios, Thomas N.;Dimitrakis, Stergios A.;Papadopoulos, Alkis P.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6권4호
    • /
    • pp.487-504
    • /
    • 2013
  • In the present work a new friction device, with a set of single or double rotational friction flanges and a link element, is described and tested. The mechanism may be applied for the strengthening of existing r/c or steel buildings as well as in new constructed buildings. The device has selectable variable behavior in different levels of displacement and an interlock mechanism that is provided by the link element. The link element may be designed to lock at preselected level of displacement, offering in this way an extra safety reserve against strong earthquakes. A summary of the existing literature about other similar mechanisms is initially present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mechanism is presented and described in details. Laboratory experiments are presented in detail and the resulted response that proves the efficiency of the mechanism at selectable levels of strength capacity is discussed. Drawings of the mechanism attached to a r/c frame with connection details are also included. Finally a dynamic analysis of two r/c frames, with and without the proposed mechanism attached, is performed and the resulted response is given. The main conclusion is that the proposed mechanism is a cheap and efficient devise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new or existing framed buildings to seismic loads.

Friction welding of multi-shape ABS based components with Nano Zno and Nano Sio2 as welding reinforcement

  • Afzali, Mohammad;Rostamiyan, Yasser
    • Coupled systems mechanics
    • /
    • 제11권3호
    • /
    • pp.267-284
    • /
    • 2022
  • Due to the high usage of ABS in industries, such as aerospace, auto, recreational devices, boat, submarines, etc.,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find a way to weld this material, which gives advantages, such as affordable, high speed, and good connection quality. In this experimental project, the friction welding method was applied with parameters such as numerical control (NC) machine with two different speeds and three cross-sections, including a flat surface, cone, and step. After the end of the welding process, samples were then applied for both tensile and bending tests of material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with increasing the machining velocity Considering of samples, the friction of the surface increased and then caused to increase in the surface temperature. Considering mentioned contents, the melting temperature of composite materials increased. This can give a chance to have a better combination of Nanomaterial to base melted materials. Thus, the result showed that, with increasing the weight percentage (wt %) of Nanomaterials contents, and machining velocity, the mechanical behavior of welded area for all three types of samples were just increased. This enhancement is due to the better melting process on the welded area of different Nano contents;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hape of the welding area could play a significant role, and by changing the shape, the results also changed drastically.A better shape for the welding process was dedicated to the step surface.

전단링을 사용한 고장력볼트 이음부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High Tension Bolted Joint Connections using Shear Ring)

  • 이승용;박영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A호
    • /
    • pp.327-338
    • /
    • 2006
  • 강구조물의 대표적인 현장이음방식인 고장력볼트 마찰이음은 볼트 축력의 관리가 엄격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며, 미끄러짐 하중을 기준으로 설계가 이루어져 볼트의 높은 전단강도를 유효하게 이용하지 못하고, 그 결과 소요 볼트수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장력볼트 마찰이음의 단점을 보완하고, 지압이음의 장점을 살린 전단링을 사용한 새로운 이음방식을 개발하여 기존의 고장력볼트 마찰이음과 비교실험을 실시하고 해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단링을 이용한 새로운 이음방식은 전단링의 높은 전단강도로 저항하기 때문에 기존의 마찰이음보다 이음부의 내력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전단이음의 응력집중을 최소화하면서 최대의 연결강도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전단링의 깊이 등의 설계 변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리브 보강된 SC구조 벽-바닥 접합부의 거동 및 내력 평가 (Behavior and Strength of Rib Stiffened SC Wall-slab Connection)

  • 박정학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349-359
    • /
    • 2014
  • 강판콘크리트(SC)구조 벽-바닥접합부는 표면 강판에 의해 콘크리트가 나뉘게 되며 이 때문에 바닥 단부의 응력 전달기구가 RC구조의 것과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브가 부착된 SC구조 벽-바닥 실험체의 거동 및 내력평가를 수행하였다. 리브가 부착된 SC벽바닥 접합부의 접합성능을 확인하기위하여 7가지의 접합부 모형을 제작하고 단조 가력실험을 수행하여 구조내력 및 거동특성을 실험결과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제안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위해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체 변수로는 가력지점, 마찰계수이며 이들의 영향에 대해 검토되었다. 실험체 파괴모드 분석을 통해 접합부 내력을 확인하였다. 제안식은 대부분 보수적인 값으로 확인되었다.

Experimental Study on Shear Connector for Precast Concrete Decks

  • Chung, Chul-Hun;Shim, Chang-Su;Jeong, Un-Yong
    • KCI Concrete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61-67
    • /
    • 2001
  • For the design of shear connection for the composite precast concrete slab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its strength, stiffness, slip capacity and fatigue endurance. For theme purposes, push-out tests were performed with variations of the stud shank diameter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mortar. From the experimental studies,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 deformation of the shear studs in a full-depth precast concrete slabs were greater than those in a cast-in-place slabs. The static strength of the shear connections obtained agree approximately with those evaluated from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tud shear connectors owing to the effect of the bedding layer between the slabs and the beams. An empirical equation for the initial shear stiffness of a shear connection was also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push-out tests, a full-scale composite beams with 8.0m span was designed and fatigue tests were carried out to study the behaviour of the stud shear connection and its effects on the flexural behaviour of the beam. The bonding arid friction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the steel beam considerably increased the fatigue endurance of the shear connection.

  • PDF

표면상태에 따른 고장력볼트 마찰이음부의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igh-Tension Bolted Joints' Behavior due to Surface Condition)

  • 조선규;홍성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통권32호
    • /
    • pp.421-43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숏브라스트한 후 무기징크 페인트로 도장한 무기징크면, 연마면, 흑피면에 대하여 정적 및 피로시험을 수행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평가함으로써 마찰면의 표면상태에 따른 고장력볼트 마찰이음부의 정적 및 피로거동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련의 정적 및 피로시험을 실시하고 토크관리법의 타당성 평가, 미끄러짐계수의 도출, 도입축력의 감소률 규명, 피로강도의 평가, 마찰면의 압축력 분포 조사 등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결과와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볼트의 설계축력 도입을 위한 토크관리법은 타당하며, 시간경과 및 반복하중의 작용에 따른 축력감소율을 고려할 때 설계축력의 110%로 초기축력을 도입하도록 규정한 시방서 기준은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간경과에 따른 도입축력의 초기감소율은 경과시간의 상용로그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입직후 약 20시간이 경과하면 일정한 값으로 수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들은 마찰면의 표면조도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미끄러짐계수는 연마면, 무기징크프라이머 도포면, 흑피면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미끄러짐하중은 도입축력에 크게 좌우되나 도입축력이 크면 마찰면의 표면조도의 손상으로 인하여 미끄러짐계수가 작아져 도입축력과 미끄러짐하중 사이에는 선형적 비례관계가 성립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마찰면의 압축력 분포를 조사한 결과 내측볼트 주변의 마찰면적이 외측볼트 주변보다 응력방향에 있어서 더 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외측볼트로부터 마찰접합에서 지압접합으로 천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