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water trout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초

담수산 백점충(Ichthyophthirius multifiliis)에 관한 연구 II. 백점충의 인위 감염 및 어체내 충체 발달상 (Studies on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Fouquet, 1876 in Freshwater Fishes II. Experimental Infection and Development of I. multifiliis)

  • 지보영;김기홍;박수일;김이청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60
    • /
    • 1998
  • 본 연구는 내수면 양식 어류에 백점충, Ichthyophthirius multifiliis를 인위 감염시켜 감염 특성 및 어체내 충체 발달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어종별(무지개 송어, 메기, 이스라엘 잉어), 수온별($15^{\circ}C$, $18^{\circ}C$, $21^{\circ}C$) 및 충체 발달 단계별(trophont, protomont, theront) 인위 감염 시험 결과, 어종별로는 무지개 송어 시험구에서, 수온별로는 $18^{\circ}C$ 시험구에서 그리고 충체 발달 단계별로는 theront 시험구에서 양성적인 인위 감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theront 농도별에 있어서는 어체당 1000개체의 theront가 감염을 양성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어체당 1500개체 이상의 theront는 무지개 송어치어에 100%의 감염을 유도하였다. 수온 $18^{\circ}C$의 인위 감염된 무지개 송어에서 7일 동안 어체내 충체의 발달 과정을 조사한 결과, 충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연속적인 발달을 행하여 크기가 증대되었으며 감염 3일째부터는 성숙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총체의 형태학적 변화는 감염 2일째에는 구부장치가 기능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것을 볼 수 있었고, 감염 4일째부터는 수축포가 현저히 발달되기 시작하였으며 감염 6일째는 이들의 수가 현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감염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충체는 숙주의 아가미 일차 새변의 입새 동맥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국내에서 양식되는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금붕어(Carassius auratus), 은어(Plecoglossus altivelis) 로부터 분리된 Cytophaga columnaris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ytophaga columnaris isolated from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goldfish(Carassius auratus), and ayu(Plecoglossus altivels) in Korea)

  • 박세창;허강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71-378
    • /
    • 1998
  • 국내의 무지개송어, 금붕어, 은어양식장에서 아가미와 지느러미의 부식과 괴사를 나타내는 물고기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항원적시험 그리고 전기영동을 통하여 분리주와 미국과 일본에서 분리된 표준주(NCMB $2248^T$, EK 28)의 성상을 비교하였다. 즉, 형태학적으로 cytophaga agar에서 강한 점착성, rhizoid 그리고 노랗고 편평한 집락을 나타내었으며 flexirubin type pigment를 산생하고 동종과 이종에 대한 항원적 시험에서도 응집역가는 1024, 512를 나타냈다. 비록 분리주는 각기 다른 어종에서 분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형태학적, 생화학적 그리고 혈청학적인 특성에 있어서 미국과 일본에서 분리된 표준주와 유사하였다. SDS-PAGE에 의한 세포외막단백질(outer membrane proteins, OMPs)의 분석에서도 표준주와 gel pattern이 일치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볼 때 국내 무지개송어, 금붕어 및 은어양식장에서 분리된 균주들은 Cytophaga columnaris로 분리 동정할 수 있었다.

  • PDF

담수 사육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수온 상승에 따른 HSP90, HSP70 mRNA의 발현 및 혈장 cortisol과 glucose 변화 (Expression of HSP90, HSP70 mRNA and Change of Plasma Cortisol and Glucose During Water Temperature Rising in Freshwater Adapted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최철영;민병화;김나나;조성환;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5-32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담수사육 감성돔을 대상으로 수온을 상승시켰을 때, 세포적 스트레스 측면에서 HSP90 및 HSP70 mRNA의 발현 정도를, 신경-내분비적 스트레스 측면에서 혈장 cortisol 및 glucose 농도를 조사하였다. RT-PCR법을 이용하여 생식소로부터 HSP90 (891 bp) 및 HSP70 (465 bp) cDNA 단편을 클로닝 하여, 타 종과 그 상동성을 비교해 본 결과, 감성돔 HSP90은 참돔 HSP90과 99%, 무지개송어 HSP90과 95%, 대서양 연어HSP90과 94%, zebrafish HSP90과 94%로 나타났으며, 감성돔 HSP70은 무지개송어 HSP70과 96%, silver seabream HSP70과 95%, zebrafish HSP70과 95%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감성돔의 사육수온을 $30\;^{\circ}C$로 상승시켰을 때, HSP90 mRNA는 모든 조직에서 그 발현 정도가 $20\;^{\circ}C$ 실험구에 비하여 $7{\sim}9$배 정도 높았으나, HSP70 mRNA는 생식소에서만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 cortisol 및 glucose 농도는 $20\;^{\circ}C$ 실험구에 비하여 $30\;^{\circ}C$ 실험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n Overview of Kenyan Aquaculture: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Future Development

  • Munguti, Jonathan Mbonge;Kim, Jeong-Dae;Ogello, Erick Ochie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14
  • The Kenyan aquaculture sector is broadly categorized into freshwater aquaculture and mariculture. Whereas freshwater aquaculture has recorded significant progress over the last decade, the mariculture sector has yet to be fully exploited. The Kenyan aquaculture industry has seen slow growth for decades until recently, when the government-funded Economic Stimulus Program increased fish farming nationwide. Thus far, the program has facilitated the alleviation of poverty, spurred regional development, and led to increased commercial thinking among Kenyan fish farmers. Indeed, national aquaculture production grew from 1,000 MT/y in 2000 (equivalent to 1% of national fish production) to 12,000 MT/y, representing 7% of the national harvest, in 2010. The production is projected to hit 20,000 MT/y, representing 10% of total production and valued at USD 22.5 million over the next 5 years. The dominant aquaculture systems in Kenya include earthen and lined ponds, dams, and tanks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The most commonly farmed fish species ar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which accounts for about 75% of production, followed by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which contributes about 21% of aquaculture production. Other species include common carp Cyprinus carpio,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koi carp Cyprinus carpio carpio, and goldfish Carassius auratus. Recently, Kenyan researchers have begun culturing native fish species such as Labeo victorianus and Labeo cylindricus at the National Aquaculture Research Development and Training Centre in Sagana. Apart from limited knowledge of modern aquaculture technology, the Kenyan aquaculture sector still suffers from an inadequate supply of certified quality seed fish and feed, incomprehensive aquaculture policy, and low funding for research. Glaring opportunities in the Kenyan aquaculture industry include the production of live fish food, e.g., Artemia, daphnia and rotifers, marine fish and shellfish larviculture; seaweed farming; cage culture; integrated fish farming; culture of indigenous fish species; and investment in the fish feed industry.

담수산 양식어류의 혈액검사에 사용된 건식 자동생화학 분석기 (FUJI DRI-CHEM 3000) 의 활용 가능성 (Application of automatic dry chemistry analyzer (FUJI DRI-CHEM 3000) used to hematological analysis of cultured freshwater fish in low temperature season)

  • 정승희;서정수;김진도;최혜승;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7-254
    • /
    • 2011
  • 이 연구는 FUJI DRI-CHEM 3000의 건식 자동생화학 분석기를 이용하여 조사한 어류 혈액검사 항목 가운데, 적용할 수 있는 분석항목의 활용도를 평가함과 동시에 어류 혈액학적 건강진단에 필요한 분석항목의 참고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국립수산과학원 내 수면양식연구센터에서 사육 중인 육안적으로 보아 건강한 무지개송어 (Onchorhynchus mykiss), 이스라엘잉어 (Cyprinus carpio),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 및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총 200마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Hemoglobin (Hb), 총단백 (TP), 알부민 (ALB), 알칼리성포스파타제 (ALP), 요소질소 (BUN), 젖산탈수소효소 (LDH), 중성지방 (TG), 총콜레스테롤 (TCHO), 크레아티닌 (CR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포도당 (GLU) 은 FUJI DRI-CHEM 3000 기종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이 장비의 검출범위 (detectable range)에서 최고값 (maximum) 과 최저값 (minimum) 을 벗어난 분석항목들 (ALT, TG, LDH, ALB, TCHO, AST, ALP) 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검출범위를 초과한 평균비율을 살펴보면, ALT 및 TG가 67%~61.5%, LDH, ALB 및 TCHO는 36%~17%, AST 및 ALP는 5.5%~0.5%로 나타났다. 반면에, BUN, CRE, GLU, Hb 및 TP의 분석값은 모두 검출범위의 영역 안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Saprolegnia parasitica Isolated from Rainbow Trout in Korea: Characterization, Anti-Saprolegnia Activity and Host Pathogen Interaction in Zebrafish Disease Model

  • Shin, Sangyeop;Kulatunga, D.C.M.;Dananjaya, S.H.S.;Nikapitiya, Chamilani;Lee, Jehee;De Zoysa, Mahanama
    • Mycobiology
    • /
    • 제45권4호
    • /
    • pp.297-311
    • /
    • 2017
  • Saprolegniasis is one of the most devastating oomycete diseases in freshwater fish which is caused by species in the genus Saprolegnia including Saprolegnia parasitica. In this study, we isolated the strain of S. parasitica from diseased rainbow trout in Korea. Morphological and molecular based identification confirmed that isolated oomycete belongs to the member of S. parasitica, supported by its typical features including cotton-like mycelium, zoospores and phylogenetic analysis with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Pathogenicity of isolated S. parasitica was developed in embryo, juvenile, and adult zebrafish as a disease model. Host-pathogen interaction in adult zebrafish was investigated at transcriptional level. Upon infection with S. parasitica, pathogen/antigen recognition and signaling (TLR2, TLR4b, TLR5b, NOD1, and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I), pro/anti-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beta}$,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L-6, IL-8, interferon ${\gamma}$, IL-12, and IL-10),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and MMP13), cell surface molecules ($CD8^+$ and $CD4^+$) and antioxidant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related genes were differentially modulated at 3- and 12-hr post infection. As an anti-Saprolegnia agent, plant based lawsone was applied to investigate on the susceptibility of S. parasitica showing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percentage inhibition of radial growth as $200{\mu}g/mL$ and 31.8%, respectively. Moreover, natural lawsone changed the membrane permeability of S. parasitica mycelium and caused irreversible damage and disintegration to the cellular membranes of S. parasitica. Transcriptional responses of the genes of S. parasitica mycelium exposed to lawsone were altered, indicating that lawsone could be a potential anti-S. parasitica agent for controlling S. parasitica infection.

강원 지역 농촌 주부들의 전통 식생활 관리 현황에 관한 실태 조사(I) -식생활에 대한 태도와 일반적 현황을 중심으로- (A study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Kang Won Do (I))

  • 김은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42-350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nd hand down traditional dining habit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ural house wives in Kangwon-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30.8% of the respondents was 40 to 49 years old. 35.2% of their education was primary school. 49.5% of them had husbands and children. 44.2% of them had 3 to 4 family members. 26.9% of them earned 8 to 11 millon won yearly. 2. Their housing environment showed that 52.5% of housing was a Korean traditional house or Hanok. 72.1% of kitchen was a stand-up one. 66% of fuel was oil. 3. 99.3% of the respondents had refrigerators. 66.3% electronic range, 95.9% electronic rice cooker, 97.2% gas range, 59.6% mixer, 62% electronic fry pan respectively. 4. 73.5% of the respondents got informa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 from seniors or friends. 36.6% of them learned new recipe from TV, newspapers and magazines. 43.3% of them thought their concern about meals was average. 48.4% of them paid much attention to prepare meals for themselves. 52.7% of them spent a half to one hour for preparing dinner. 48.3% of them ate processed foodstaffs often. 31.5% of them dined out once every two or three months. 5. 79.5% of them had rice for breakfast, 74.5% for lunch, and 98.4% for dinner respectively. 96.2% of the respondents made Kimchi and 55% among them had two kinds of Kimchi. 91.1% of them had two to three kinds of dishes except Kimchi for breakfast. 68% of them used a synthetic flavoring. 6. 16.2% of the respondents ate beef once a week, 40% pork, 23% chicken, 3% dog meat respectively. 37% of them ate mackerel pike, 25.5% mackerel once a week, 11.6% hairtail, 25.5% mackerel pike, 25.6% yeemunshu, 13.7% tuna respectively. Freshwater fishes such as mudfish, trout and Israel carp were their favorite onces.

  • PDF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바이러스에 대한 식물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효능 탐색 (Antiviral effects of various plant extracts against viral haemorrhagic septicaemia virus (VHSV))

  • 박지윤;김형준;최혜승;권세련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1-46
    • /
    • 2022
  • Since viral haemorrhagic septicaemia virus (VHSV) was first reported in Europea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in the 1930s, it has caused high prices in freshwater and saltwater fish around the world, causing enormous economic damage to the aquaculture industry. We have been seeking required countermeasures against viruses because of economic damage to the aquaculture industry. However, commercial vaccines have the limitations of being costly to use in farms and being effective to only one pathogen. The aquaculture industry these days is taking on new alternatives to vaccines, antibiotics and chemicals. In this study, the suitability of antiviral effects against VHSV was evaluated in vitro for various plant extracts to judge their effectiveness. Atriplex gmelinii, Ixeris repens, Arctium lappa, and Sargassum coreanum were tested to know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virus and the concentration of extract investigates if these extracts have antiviral effects. Virus and extracts at various concentrations were inoculated simultaneously as 1:1 ratio into EPC cell lines. There are no antiviral effects with Atriplex gmelinii, Ixeris repens and Arctium lappa. Extract of Sargassum coreanum only has the antiviral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how that extract of Sargassum coreanum can be used in aquaculture industry as an antiviral materials.

담수산 백점충(Ichthyophthirius multifiliis Fouquet, 1876)에 관한 연구 : I. 백점충의 생물학적 성상 (Studies on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Fouquet, 1876 in freshwater fishes: I.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 Multifiliis)

  • 지보영;김기홍;박수일;김이청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3-123
    • /
    • 1997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내수면 양식 어류중 특히, 백점충으로 많은 피해를 입고 있는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와 한국산메기(Silurus asotus)에 기생한 백점충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시험관내에서 수온, pH, 염분 및 포르말린이 Tomite 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충체 감염기예 관한 실험을 실시하여 본 충의 생물학적 성상을 조사하였다. 실험 수온 $9\sim28^{\circ}C$의 범위에서 수온이 높을수록 Tomite 생성률이 높아져 Tomite 생성은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온 $26^{\circ}C$ 때 최고의 생성률을 나타내어 이 수온이 본충의 번식에 최적 수온인 것을 확인하였다. 수온별 pH, 염분 및 포르말린 Tomite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실험 PH 6.0~8.1의 변화는 Tomite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수온 $10\sim28^{\circ}C$의 조건에서 pH 6.9는 각각의 수온 시험구에서 최고의 Tomite 생성률을 보여주어 최적 pH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온 $10\sim28^{\circ}C$의 조건에서 염분 농도 9‰ 이상과 포르말린 농도 15ppm 이상의 실험구에서 Tomite가 생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염분 및 포르말린은 Tomite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충체는 염분 및 포르말린의 저수온 시험구에서 폐사 시간이 연장된 결과를 보여 주어 고수온에서 보다는 저수온에서 충체가 염분 및 포르말린에 대하여 내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연 감염된 무지개송어 유래의 Trophont, Protomont 및 Theront를 무지개송어 치어에 노출시켜 백점충 감염 여부를 확인한 결과, Theront 단계가 감염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강원도 양식 연어과 어류에서 분리된 에로모나스 종의 유전학적 동정 (Genetic identification of Aeromonas species using a housekeeping gene, rpoD, in cultured salmonid fishes in Gangwon-Do)

  • 임종원;구본형;김광일;정현도;홍수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9-88
    • /
    • 2017
  • 현재 양식장에서는 Aeromonad를 비롯한 다양한 병원균에 의한 전염병으로 인해 많은 경제적 손실을 겪고 있다. 연어과 어류뿐만 아니라 담수 및 해수어류에도 치명적인 감염을 야기하는 Aeromonas 종은 적어도 26종 이상이 보고되어왔으며, 전염병을 유발하는 유비쿼터스 세균이다. Aeromonas 종을 확인하기 위해 16S rDNA 및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핵산 서열을 기반으로 한 분자생물학적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Aeromonas 종은 강원도 16개 양식장의 연어과 어류로부터 분리되었으며 Aeromonad의 16S rDNA와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서열, 즉 RNA polymerase sigma factor ${\sigma}^{70}$ (rpoD) 또는 DNA gyrase subunit B (gyrB)를 기반으로 계통 발생 학적으로 동정했다. 그 결과 대서양 연어 (Salmo salar), 은연어 (Oncorhynchus keta), 산천어 (Oncorhynchus masou masou),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에서 96 개의 균주가 수집되었으며, 36개의 균주가 16S rDNA 분석에 의해 Aeromonas 속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Aeromonas 속 균주는 rpoD 또는 gyrB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추가 분석되어 Aeromonas salmonicida (24 균주), A. sobria (10 균주), A. media (1 균주) 및 A. popoffii (1 균주)로 검출되었으며, 이 것은 Aeromonas salmonicida가 강원도의 연어과 어류에서 주요 감염균임을 나타낸다. 또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서열에 기초한 Aeromonas 종의 계통발생학적 동정은 16S rDNA 서열보다 더 정확하다는 것이 또한 증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