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water

검색결과 2,119건 처리시간 0.03초

전북 부안군과 경남 사천군 해안지역에서 발견한 이형흡충류 및 기타 장흡충류의 유행지 (Two endemic foci of heterophyids and other intestinal fluke infections in southern and western coastal areas in Korea)

  • 채종일;송태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3호
    • /
    • pp.155-162
    • /
    • 1998
  • 우리 나라 일부 해안 지역의 장내 기생충 감염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북 부안군 주민 153명 및 경남 사천군 주민 138명의 대변을 수집하여 셀로판 후층 도말법 및 포르말린-에테르 침전법을 실 시하였다. 전북 부안군의 기생충 감염률은 21.5% (33/153명)이었으며, 감염 기생충별 양성률은 이형흡충류 17.6%, 간흡충 2.6%, 회충 0.7%, 람블편모충 2.6%, 대장아메바 0.7% 및 작은와 포자충 0.75이었다. 경남 사천군의 기생충 감염률은 39.1% (54/138명)로서 이형흡충류 18.8%, 간흡충 12.3%, 편충 2.2%, 람블편모충 2.2%, 대장아메바 5.0%, 이질아메바 0.7%, 왜소아메바 3.6% 및 작은와포자충 4.3%의 양성률을 보였다. 부안군에서 이형흡충란 양성자 22 명으로부터 회수한 충체는 유해이형흡충이 총 3,284마리 (평균 149.3마리)였으며 표주박이형흡 충, 수세미이형홉충, 요코가와흡충, 미야타흡충, 자루이형흡충, 참굴큰입흡충, 긴이형흡충 및 Aconthopowphium kurogamo등이 중복 감염되어 있었다. 사천군에서 이형흡충란 양성자 중 6명으로부터 회수한 충체는 요코가와흡충이 총 3,007마리 (평균 501.2마리)였으며 유해이형흡충, 수 세미이형흡충, 긴이형흡충, 갈매기이형흡충 등의 이형흡충류가 중복감염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우리 나라 남해 및 서해안 지역 주민들에서 담수어 또는 반염수어의 생식 습관으로 장내 흡충, 특히 이형흡충류의 유행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선박 구조물의 저진동 설계를 위한 새로운 조합 유전 알고리듬 개발 (Development of the New Hybrid Evolutionary Algorithm for Low Vibration of Ship Structures)

  • 공영모;최수현;송진대;양보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665-673
    • /
    • 2006
  • 이 연구는 유전 알고리듬, 타부탐색법 그리고 반응표면법등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의 장점들을 결합한 새로운 조합 유전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듬은 반응표면법 및 심플렉스법을 사용하여 유전알고리듬의 약점으로 여겨지는 수렴속도를 항상 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유전 알고리듬에서 램덤 한 다양성을 제공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타부리스트를 이용하여 체계적인 다양성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통적인 시함함수에 본 알고리듬을 적용함으로써 이 방법의 효율성을 입증하였고 그 결과를 유전 알고리듬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새롭게 제안된 알고리듬을 선미부에 위치한 청수탱크의 중량최적화에 적용한 결과 전역 최적해를 효율적으로 찾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반응표면법을 사용한 새로운 유전알고리듬의 경우 실제 추가적인 목적함수를 평가하기 위한 계산이 필요 없으므로 수렴속도가 일반 유전 알고리듬보다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조합 유전 알고리듬은 전역탐색능력과 수렴속도 측면에서 매우 강력한 전역 최적화 알고리듬임을 알 수 있었다.

롯데로제 장미의 재배방법, 수확시기 및 보존제 종류가 절화 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tion Method, Harvest Season and Preservative Solution on the Quality and Vase Life of Cut Rose 'Rote Rose')

  • 조미숙;황승재;정병룡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71-77
    • /
    • 2001
  • 절화장미의 수명연장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양액재배와 토경재배된 장미의 절화수명에 관한 비교연구는 거의 없다. 본 실험은 몇가지 보존제와 채화시기가 양액 및 토양재배 장미의 절화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Rote Rose'를 1998년 5월 27일과 6월 14일 2회에 걸쳐 김해시의 농가에서 수확하여 실험실로 옮겨 45cm로 수중 재절단한 후 몇 가지 보존용액에 꽂아 $18^{\circ}C$(봄) 또는 $25^{\circ}C$(여름)로 유지되는 환경조절실에서 일일 16시간의 조명하에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사용된 보존제는 0.5% Chrysal RVB, BS(2% sucrose+200ppm 8HQS+0.3% Chrysal RVB) 및 Sonk1(BS+0.1mM ethionine)이며 대조구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생체중, 꽃직경, 꽃잎수, 개화정도는 재배방식의 영향을 받았다. 대조구나 Chrysal RVB에 비해 BS나 Sonk1에서 생체중, 꽃직경, 꽃잎수 그리고 개화정도 및 보존 용액소비량이 증가되었다. 대조구에 비해 절화수명은 Chrysal RVB, BS 및 Sonk1에서 $18^{\circ}C$에서는 2일, 그리고 $25^{\circ}C$에서는 1일 정도 연장되었다. $18^{\circ}C$처리에서 $25^{\circ}C$ 처리에 비해 절화수명은 3일 정도 더 유지되었다.

  • PDF

수출입 원예작물의 검역을 위한 살균제 Fluazinam의 공정 잔류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 Official Method for Measurement of Fluazinam Residues for Quarantine of Imported and Exported Horticultural Products)

  • 김경하;안경근;김기쁨;황영선;장문익;강인규;이영득;정명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183-194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및 수출입 원예작물의 일상적 잔류농약 검사에 활용 가능한 dinitroaniline계 광범위 살균제 fluazinam의 GC-ECD/MS 잔류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원예작물 중 채소류에서는 청양고추와 결구배추를, 과일류에서는 감귤과 사과를 대표 시료로 선정하였고, 아세톤으로 추출된 fluazinam은 식염수로 희석하고, 수용액층을 n-hexane 액-액 분배법으로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추출액으로부터 fluazinam의 최종적 정제를 위하여 florisil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추가 정제하여 GC-ECD/MS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Fluazinam의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DB-17 capillary column을 적용한 GC-ECD 분석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각 작물별 4수준의 농도로 fluazinam을 인위 첨가하여 회수율을 분석하였다. 각 대표 원예작물에 대해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10, 50, 및 100배 수준에서 회수율을 검토한 결과 모든 처리농도에서 82.5-99.9%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정량한계(LOQ)는 $0.004mg{\cdot}kg^{-1}$이었다. 반복 간 변이계수(CV)는 최대 6.6%를 나타내어 국제적 잔류분석 기준인 회수율 70-120% 및 분석오차 10% 이내를 충족시키는 만족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GC/MS SIM을 이용하여 실제 각 작물 시료에 적용하여 재확인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신규 fluazinam의 GC-ECD/MS 분석법은 검출한계, 회수율 및 분석오차 면에서 국제적 분석기준을 만족하는 신뢰성이 확보된 정량 분석법으로서 국내 및 수출입 검역을 위한 원예작물의 공정 잔류분석법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의 간독성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Lycium chinense Mill Fruit Extracts and Fresh Fruit Juice)

  • 강경일;정진영;고경희;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9-103
    • /
    • 2006
  • 국내에서 선별 육종된 불로 구기자의 처리방법에 따른 간기능 보호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CCl_4)$ 투여로 급성 간독성을 유발시킨 흰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건조구기자 추출물(DFE), 볶은 구기자 추출물 (RFE), 그리고 생과즙(FFE)을 경구 투여한 결과 군간의 체중증가량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체중 100 g 당 간 무게는 처리조건에 관계없이 구기자 추출물 및 생과즙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간 무게를 나타내었다(p<0.01). 이것은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 섭취가 $CCl_4$ 투여에 의한 지방간 형성 또는 간 독성에 의한 간 무게증가를 다소 완화하여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염화탄소$(CCl_4)$ 투여에 의하여 흰쥐의 혈청 GPT 및 GOT 활성과 LDH 활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볶은 구기자 추출물 투여군(RFEC)과 생과즙 투여군(FFJC) 모두 GPT, GOT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 투여군 모두 대조군(CON)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고 중성 지방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간 조직의 MDA 함량과 GST, cytochrome P-450 활성 결과로 보아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을 섭취 시 사염화탄소에 의한 독성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구기자 추출물과 생과즙은 $CCl_4$ 투여로 인한 지질 과산화, 지방변성, 간 세포 괴사 등을 억제 시키는 간 독성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온 열수 처리가 사과의 표면 미생물, 호흡특성 및 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d Heat Treatment on Microorganisms, Respiratory Characteristics and Firmness of Fuji Apple)

  • 서자영;김은정;홍석인;유승헌;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7-51
    • /
    • 2006
  • 사과의 부패에 관여하는 주요 미생물을 조사하였던 바 7종의 병원균을 분리하였다. 사과의 부패는 Penicillium spp.에 의한 피해가 65-75%에 달하였으며, 특히 Penicillium expansum의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40-65^{\circ}C$ 범위에서 중온 열수처리에 의한 미생물 제어효과와 저장 중 호흡 및 경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수 처리 전 사과 꼭지의 총균수와 곰팡이수는 각각 4.75 log CFU, 4.66 log CFU이었고, 꽃받침의 총균수와 곰팡이 수는 각각 5.35 log CFU, 4.32 log CFU 이었으며, 열수 처리 시 총균과 곰팡이는 $40^{\circ}C$에서 180분간 처리 시 감소율이 가장 높았다. 사과의 호흡률은 열수 처리 직후 다소 높았지만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에틸렌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유지되었다. 한편 사과 과육의 경도는 $40^{\circ}C$에서 처리한 경우 대조구 및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저장기간 중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HPLC를 이용한 지역 농산물의 비타민 B6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Vitamin B6 Content using HPLC in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ed in Local Areas in Korea)

  • 최소라;송은주;송영은;최민경;한현아;이인석;신소희;이기권;최용민;김행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10-718
    • /
    • 2017
  • Contents of water soluble vitamin $B_6$ in a total of 62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ed in local areas in Korea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To verify the method of vitamin $B_6$ analysis, a quality control chart was formulated with in-house control using a mixture of broccoli and shiitake mushrooms. Among cereals, high content of vitamin $B_6$ measured $234.3{\sim}260.3{\mu}g/100g$ in dried mung bean and soybean. Vitamin $B_6$ content of non-glutinous and glutinous black rice measured $105.0{\mu}g/100g$ and $129.7{\mu}g/100g$, respectively. In vegetables, high content of vitamin $B_6$ were measured in passion fruit ($104.3{\mu}g/100g$), gat ($55.7{\sim}84.3{\mu}g/100g$), gomchwi ($31.3{\sim}88.0{\mu}g/100g$) and garlic ($72.7{\sim}98.3{\mu}g/100g$). Among fruits, gold kiwi 'Zespri' and green kiwi 'Hayward' revealed high vitamin $B_6$ content of $116.3{\mu}g/100g$ and $78.7{\mu}g/100g$, respectively. In persimmons, daebongsi had high vitamin $B_6$ content ($36.0{\sim}72.7{\mu}g/100g$) than bansi and sweet persimmon. Vitamin $B_6$ content in dried jujube and persimmon increased more than $86.7{\mu}g/100g$ compared to fresh materials. Among specialty crops, green tea powder ($64.7{\sim}251.0{\mu}g/100g$) and sansuyu ($172.3{\mu}g/100g$) revealed high content. Of mushrooms, vitamin $B_6$ content of Sparassis crispa ($139.3{\mu}g/100g$) was the highest. Vitamin $B_6$ content inform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 local areas in Korea collected from this experiment will be used as valuable preliminary data for grasp national nutritional status.

Cellular Glass Foam과 Peatmoss를 함유한 혼합배지에서 관수빈도가 토마토 플러그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rigation Frequency on Growth of Tomato Plug Seedlings in Media Containing Cellular Glass Foam and Peatmoss)

  • 박정호;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1
    • /
    • 2003
  • 본 실험은 폐기된 유리물질을 재가공하여 입자화한 CGF(cellular glass foam)를 펄라이트 대체 혼합상토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CGF의 입자크기를2.0∼4.0 mm로 조절한 후 피트모스와 혼합하여 배지를 조제하였고 관수빈도에 따른 Lycopersicum esculentum 'Segye' 플러그묘의 생육을 비교히였다. CGF와 피트모스의 혼합비율은 25:75와 33:67(%, v/v)이였으며 관수빈도는 2일에 1회, 2회, 또는 3회로 하였고, 상업용 플러그 배지(토실이 배지)에 1일 I회 관수한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파종 후 33일에 플러그묘의 초장, 경경, 줄기와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 엽수, 엽면적, 엽록소 함량, 그리고 배지의 pH와 EC를 조사하였다. 배지 혼합비율에 따른 플러그묘의 전체 생육은 유의성이 낮았다. 관수빈도에 따른 경경, 엽수, 엽면적, 줄기와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 T/R 그리고 배지의 EC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CGF와 피트모스를 25:75(%, v/v)로 혼합한 배지에 관수빈도를 높인 처리에서 묘의 생육이 가장 좋았다.

호도나무 대목촉성재(臺木促成材) Plastic원통(圓筒)을 이용(利用)한 유경녹기(幼莖綠技) 접목(接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Juvenile Grafts with Plastic Tubes for Forcing Stock Growth in Juglans sinensis)

  • 윤기식;구관효;조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89-197
    • /
    • 1989
  • 호두나무(Julans sinensis)의 접목묘(接木苗) 생산(生産)을 위(寫)하여 생장(生長)이 왕성(旺盛)한 유조직(幼組織)을 접합(接合)시키는 방법(方法)으로 종자(種子)에서 발아(發芽)된 유경(幼莖)을 태목(台木)으로 하고 접수(接穗)는 신초녹지(新稍綠枝)로 하여 영지(露地)에서 유경녹지접목(幼莖綠枝接木)을 실시(實施)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띤 다음과 같다. 1. 태목(台木)의 유경(幼莖)을 비대(肥大)하게 육성(育成)코자 plastic 원통(圓筒)을 설치(設置)하고 파종복토량(播種覆土量)은 6cm높이로 하는 것이 유경(幼莖)굵기를 10.0mm까지 키우는데 효과(効果)가 있었다. 2. 접수(接穗)는 경화이전(硬化以前)의 유지(柔枝)로 정아(頂芽)가 달린 결과지(結果枝) 및 도장지(徒長枝) 8-12cm 깊이로 사용(使用)할 때 90%의 높은 활착율(活着率)을 얻었다. 3. 유경녹지접목(幼莖綠枝接木) 시기(時期)는 5월(月)20일(日)이 적기(適期)이고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은 평균(平均) 86.0% 높게 나타났다. 4. 접목묘(接木苗)의 초기발순(初期發荀)은 접목일(接木日)로부터 25일(日) 후(後) 6월(月)15일(日)에 전체(全體) 72% 활착(活着)하였다. 5. 접목묘고생장(接木苗高生長)은 7월말(月末)로 완료(完了)하고 비대생장(肥大生長)은 10월말(月末)까지 계속(繼續)하였다. 6. 묘고(苗高)와 근원직경간(根元直徑間)의 정(正)의 상관(相關)(r=0.276**)이 있었다. 7. 휴안지접목(休眼枝接木)은 2년간(年間)에 걸쳐 생산(生産)하나 유경녹지접목묘(幼莖綠枝接木苗)는 작업방법(作業方法)이 쉽고 당년(當年)에 생산(生産)되므로 경제적(經濟的)인 효과(効果)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탐라십경도에 표현된 제주도의 지형경관 (Geomorphic Landscapes of Jeju Island Depicted in Ten Sceneries of Tamra)

  • 김태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49-164
    • /
    • 2014
  • 영주십경으로 불리는 제주도의 대표경관은 17세기 말 제주목사 이익태가 처음으로 집경한 탐라십경에서 유래한다. 이익태는 조천관, 별방소, 서귀소, 명월소 등 관방 네 곳과 성산, 백록담, 영곡, 천지연, 산방, 취병담 등 명승 여섯 곳으로 십경을 구성하고 탐라십경도를 제작하였다. 명승뿐 아니라 관방 장면에도 다양한 지형이 경관요소로 등장하므로 탐라십경도는 제주도의 대표지형 모음집으로 평가할 수 있다. 탐라십경도에 표현된 지형경관은 화산체, 화구, 하천, 폭포, 소, 습지, 동굴, 암괴지형, 암석해안이다. 한라산과 오름에 대한 지역정서가 반영되어 화산체가 가장 많이 등장하는 반면 또 다른 화산지형인 용암동굴은 높게 평가되지 못했다. 수려한 지형인데다가 친수공간이 부족한 제주도의 지역성까지 가세하여 세 폭포가 십경에 포함되었다. 탐라십경은 당시 소재발굴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처음부터 거의 완전한 조합으로 구성되었다. 집단표상으로 주민에게 공유되고 있던 제주도의 경관이미지는 이익태의 탐라십경도를 통해 처음으로 외재화되고 후대로 계승되면서 전형성을 갖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