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zing dry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5초

PVA 시멘트 혼합토의 공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PVA (Polyvinyl Alcohol) Fiber-Cement-Soil Mixtures)

  • 김영익;연규석;김기성;유경완;김용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2호
    • /
    • pp.35-43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PVA fiber-cement-soil mixture used to prevent or reduce brittle failure of cement-soil mixtures due to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 from the addition of a synthetic fiber.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PVA fiber-cement-soil mixtures composed of PVA fiber, soil, and a small amount of cement was analysed on the basis of the compaction test, the unconfined compression test, the tensile strength test, the freezing and thawing test, and the wetting and drying test. The specimens were manufactured with soil, cement and PVA fiber. The cement contents was 2, 4, 6, 8, and 10%, and the fiber contents was 0.4, 0.6, 0.8, and 1.0% by the weight of total dry soil. To investigate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age, each specimen was manufactured after curing at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room for 3, 7 and 28 days, after which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PVA fiber-cement-soil mixtur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unconfined compression test, the tensile strength test, the freezing and thawing test, and the wetting and drying test. The basic data were presented for the application of PVA fiber-cement-soil mixtures as construction materials.

전통주택 흙벽을 대신할 수 있는 건식벽체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ry-Wall Performance Evaluation - An Alternative to Korean Traditional Mud Walling -)

  • 황용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61-69
    • /
    • 2011
  • Korea's traditional house type, the Hanok, has been the essence of Korean domestic culture for hundreds of years. However, Hanok, have begun to disappear as result of urbanization. Because mud walls are crude and weak in water walls are also easily broken by impact. There are further problems in that construction cost is expensive and takes more time than modern house construction, and that the maintenance of Hanok is more difficult than people sometimes predict. Despite much interest in Hanok construction, there is a lack of in younger generation. Thus seeking new ways of maintaining Korea's traditional housing culture and extending Korean traditional houses is important. This study proposes directions for creating new residential environments for the future generation of Korea. A Dry-wall alternative to the Korean traditional mud wall is particularly needed. Dry-walling, made by sustainable materials such as mud board and wood, can strengthen the advantages and make up for the weaknesses of the Korea traditional mud wall. In this study, both wall types underwent various evaluations in terms of their performance in insulation testing, freezing and thawing testing, impacting testing and weight measuring (the size of material in this experiment was $69cm{\times}105cm$). On all of these tests, findings revealed that the dry-wall alternative performed better than traditional mud wall.

차밭에 설치된 차광망의 동해경감 효과 (Effect of Shade Net on Reduction of Freezing Damage at a Tea Garden)

  • 황정규;김용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6-154
    • /
    • 2014
  • 월동기간 동안의 차나무에 대한 차광망 색상과 차광율에 따른 동해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차광율 변화에 대한 효과는 차광율이 높아질수록 차나무생육이 불량하고 동해 피해율이 높았으며, 무처리구 대비 55% 차광율에서 신초 및 생엽수확량이 좋게 나타났다. 차광망 색상별로 보면, 투명망(차광망 55% 수준) 처리구와 녹색 차광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와 검정 차광망 처리구에 비해 생엽수확량과 피해면적이 감소하였다. 투명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동해 피해율이 50%이상 감소하고, 생엽수확량은 무처리구보다 투명망 처리구에서 단위면적당(10a) 68kg 더 많았다. 차광망의 색상별 동해경감은 검정<녹색<투명 색상 순으로 동해 경감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처리구간의 미기상변화를 보면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평균기온은 $0.7^{\circ}C$ 낮았으며, 평균상대습도는 14.9% 높게 관측되었고, 지중온도는 $0.6^{\circ}C$ 낮은 반면에 토양수분은 4.6% 높게 관측 되었다. 또한 차광망 피복물 설치에 의한 평균풍속은 무처리구 대비 0.7m/s 감소하여, 바람에 의한 과잉 증발산과 토양의 건조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었으며, 동해경감의 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중 급속 동결 융해 시험 방법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성능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RC Beam according to the Rapid Freezing and Thawing Test Method in the Air)

  • 김상우;이동주;김경민;김진섭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46-55
    • /
    • 2021
  • 콘크리트 구조물은 외부 극한기후환경에 노출 될 경우 공용년수가 증가할수록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 중 최근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폭우, 폭설과 같은 극한 기후요소의 작용으로 동결융해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경우, 동결융해가 발생하는 기간 동안에 매우 건조한 날씨를 나타내기 때문에 KS F 2456 를 참고하여 콘크리트의 기중 급속 동결 융해 시험법을 제시하였다. 콘크리트 공시체 및 철근콘크리트 휨 부재를 제작하여 0, 100, 200, 300 사이클의 기중 급속 동결 융해를 수행하였으며 성능 평가를 통해 각 실험체의 재료 및 부재 단위에서의 성능 저하를 확인하였다. 300사이클까지 기중 급속 동결 융해를 수행한 설계 강도 24 MPa의 콘크리트 압축 강도는 5.24 MPa(21%) 만큼 감소하며, 기중 급속 동결 융해가 진행될수록 콘크리트의 재료적 강도 감소에 의해 철근콘크리트 휨 부재의 철근의 응력 부담이 증가되어 지진과 같은 외력 발생에 따른 구조물의 에너지 흡수(소산) 능력이 감소한다.

동결된 흙의 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Strength of Frozen Soil)

  • 주마서
    • 물과 미래
    • /
    • 제6권1호
    • /
    • pp.13-18
    • /
    • 1973
  • If the temperature of free water drops below the freezing point the water turns into ice and its volume increases. Analyzing of the results in test, it is hoped that these is broadly used in engineering pla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frozen soils and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ice. The creep strength depends on factors including creep ratio, time, strain and temperature. For a linear decreases in temperature, strength predicts an exponential increa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dry unit weight and compressive strength, water content and freezing with compacted soil samples, have been analyzed to understand the strength of frozen soil. Therefore, it is thankful that the results of analsis shall find useful application as a framework for generalizing experimental information as well as a basis for solving various frozen soil mechanics problems.

  • PDF

극지 암석의 역학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동향 (Review of the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 Under the Polar Climate Condition)

  • 류성훈;송재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4호
    • /
    • pp.241-251
    • /
    • 2010
  • 극지는 학문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무한한 자원의 공급처로서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극지와 극지 암석의 암석역학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남극대륙의 암석을 포함하여 극지 환경 조건에서 진행된 암석의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남극대륙은 바람이 매우 강하고 지구상에서 가장 기온이 낮으며 건조한 지역이다. 남극 현지 암석의 심도별 온도분포를 조사한 연구에서는 지표면과 가까운 얕은 심도에서는 동결-융해 과정이 반복되는 한편, 특정 깊이 이하에서는 항상 $0^{\circ}C$ 미만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하였다. 현지 암석의 온도분포와 대기 온도를 비교해 보았을 경우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남극 사면의 기후에 의한 풍화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슈미트 반발경도와 taffoni의 분포를 조사한 연구가 있다. 그리고 실내 실험을 통해 암석 시료를 동결-융해 과정을 반복하여 풍화시킨 후 쇼어경도, 일축압축강도 등을 측정한 결과 동결-융해 횟수가 증가할수록 암석의 강도가 저하됨을 보고한 사례가 있다. 향후 극지암석에 대한 보다 상세한 암석역학적 물성 시험과 풍화에 관한 실내시험결과를 현장 암석의 물성변화에 적용시키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온성 표고버섯의 빙점하 저장 잠재력 (Storage potential of low temperature adapted shiitake mushroom under freezing temperature)

  • 황용수;서건식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3호
    • /
    • pp.197-202
    • /
    • 2013
  •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the storage potential of low temperature adapted shiitake mushroom under freezing temperature ($-3^{\circ}C$). Fresh shiitake mushroom was harvested at late Feb. and cooled to target temperature, $-3^{\circ}C$ in the cooling room for 24 hr. Cooled mushroom were then placed in plastic boxes, wrapped with plastic film ($30{\mu}m$), and stored at $-3^{\circ}C$ for 2 months. Weight loss of mushroom was ranged from 2.1 to 3.2%. Dry weight per unit fresh weight, however, was slightly increased because of moisture loss. Firmness of fruit body increased from $0.95kg/cm^{-2}$ (before storage) to $1.13kg/cm^{-2}$ (after 2 month storage). About half amount of starch was lost during 2 month storage. The amount of total and reducing sugars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After storage, freshness of mushroom was recovered by thawing treatment. When recovered mushroom were packaged with styrofoam tray and PVC wrapping, and exposed to ambient and $10^{\circ}C$, respectively, brown spot on the gill of fruit body was found and slight decay symptom was also found at ambient temperature only but not at $10^{\circ}C$. Results indicated that low temperature adapted shiitake mushroom has a storage potential under freezing temperature ($-3^{\circ}C$). Freezing storage technology of fresh shiitake mushroom will contribute the increase of storability up to 2 months.

콘크리트 보수재료의 동결융해저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eezing-Thawing Resistance for Repair Material of Concrete Structure)

  • 이봉춘;채성태;정상화;우영제;문재흠;김태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621-624
    • /
    • 2008
  •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보수재료는 적용되는 환경요인에 따라 품질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국내의 보수재료에 대한 내구성 평가는 다양한 환경요인에 따른 시험법의 미비로 내구성에 대한 품질성능이 확보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보수재료에 대하여 적용환경에 따른 동결융해저항성능을 BS EN 13687에 준하여 시험하였고, 국내시험규격(KS F 4716)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습반복과 염수침지동결융해 시험 후의 부착강도 값은 보수재료의 종류 및 시편의 크기에 따라 다소 큰 차이가 나타났다. 보다 양호한 보수재료의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적용환경에 따른 다양한 동결융해저항시험방법에 대한 규격제정이 요구된다.

  • PDF

마늘의 성분조성(成分組成)과 내한성(耐寒性) 연구(硏究)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and Their Effects on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Garlic Bulbs)

  • 박무현;김준평;권동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5-212
    • /
    • 1988
  • 마늘의 영하온도에서 저장시 나타나는 내한성(耐寒性)의 원인규명을 위하여 인편의 성분조성이 빙점 강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생체(生體)마늘의 성분조성의 특징은 가용성고형분이 $40^{\circ}$ Brix(건물기준액 90%)로 일반과채류의 $10^{\circ}$ Brix에 비(比)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그 구성은 총 90%중 당류가 70% 단백질이 20%였다 그리고 불용성 고형분 10%의 조성은 회분 3% 조섬유 3%였고 그외 지방, 탄수화물 및 단백질을 합(合)하여 4%정도로 되어 있었다. 마늘 성분중 당류는 fructosan이 주종(主種)이었으며 이들은 $1{\sim}29$ 중합도(Polymerization degree)의 것이 혼재되어 있으며 특히 $4{\sim}5$중합도의 것이 전체 50%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마늘의 내한성 지표인 빙점은 수용성고형분 농도가 높을수록 낮았고 동일농도일 경우에는 저중합도(低重合度)의 fructosan일수록 낮았다.

  • PDF

진공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반건조 오디를 제조하는 방법 (A making the method of semi-dried mulberry fruit by vacuum freezing dryer)

  • 김현복;김성국;석영식;서상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0-54
    • /
    • 2015
  • 가공 중 파괴되기 쉬운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과 오디 고유의 맛, 향 및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말랑말랑한 반건조 오디를 제조함으로써 오디 자체를 식용 또는 식품(빵, 떡, 한과 등) 재료로서의 이용성, 실온 보관 및 유통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영하 $40^{\circ}C$ 이하에서 보관한 오디를 내부 온도를 $30{\sim}35^{\circ}C$ 사이로 맞춰 놓은 동결건조기에 넣고 23 ~ 24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오디는 열매끼리 뭉치지 않고 한 알씩 분리되며, 만졌을 때 손에 검은 색이 묻어나지 않는다. 특히 안토시아닌 색소인 C3G을 비롯해 루틴(rutin), 가바(GABA),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등의 다양한 기능성 성분과 오디 고유의 맛, 향,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반건조 오디의 경우 수확 후 냉동보관에 필요한 시설유지비(전기료 등)가 들지 않으며, 건조 후 1년 정도 실온 보관이 가능하므로 수송유통이 편리함은 물론 연중 상시 구매가 가능하다. 또한 반건조 오디 생산에 걸리는 시간은 약 23 ~ 24시간으로 완전 건조 오디 생산 시 걸리는 시간(48시간)보다 절반가량 짧아 농가의 가공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단순 가공제품과 더불어 반건조 오디를 직접 식용 또는 다양한 식재료에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오디의 영양성분과 기능성 성분의 섭취를 통해 국민건강증진은 물론 소비확산을 통한 농가소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