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보수재료의 동결융해저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eezing-Thawing Resistance for Repair Material of Concrete Structure

  • 이봉춘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건설기반기술센터) ;
  • 채성태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건설기반기술센터) ;
  • 정상화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건설기반기술센터) ;
  • 우영제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건설기반기술센터) ;
  • 문재흠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건설기반기술센터) ;
  • 김태상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건설기반기술센터)
  • 발행 : 2008.04.24

초록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보수재료는 적용되는 환경요인에 따라 품질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국내의 보수재료에 대한 내구성 평가는 다양한 환경요인에 따른 시험법의 미비로 내구성에 대한 품질성능이 확보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보수재료에 대하여 적용환경에 따른 동결융해저항성능을 BS EN 13687에 준하여 시험하였고, 국내시험규격(KS F 4716)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습반복과 염수침지동결융해 시험 후의 부착강도 값은 보수재료의 종류 및 시편의 크기에 따라 다소 큰 차이가 나타났다. 보다 양호한 보수재료의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적용환경에 따른 다양한 동결융해저항시험방법에 대한 규격제정이 요구된다.

Repair materials which applied to the concrete structures may have different quality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Evaluation on durability of domestic repair materials have not yet secured enough quality performance on durability, mainly due to the lack of test methods resulted from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tests on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of domestic repair materials with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s applied under BS EN 13687, and analyzed the results by comparing with Korea's national test standards(KS F 4716). The results indicate that after the repetition of dry and wet conditions and the test on freezing and thawing with salt immersion resistance bond strength might show grea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repair materials and the size of sample. For securing better quality performance of repair material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various standards on the test methods of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with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s appli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