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arc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56초

전기로슬래그 골재의 잔류팽창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esidual Expansibility of Electric Arc Furnace Slag Aggregate)

  • 유정훈;최재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28-135
    • /
    • 2006
  • 제강슬래그 중 콘크리트용 골재로 활용 가능성이 있는 전기로슬래그 골재에 대하여 촉진에이징 종류별 전기로슬래그 골재의 팽창성 감소 정도를 파악하고, 콘크리트용 최적 에이징 처리 방법 및 처리 기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에이징 처리 후에도 전기로슬래그 골재 내부에 잔류되어 있는 팽창성이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및 콘크리트의 품질을 비교, 고찰하였다. 전기로슬래그 골재의 수침팽창 측면에서 온수중 에이징 방법이 증기중 에이징 방법보다 다소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전기로슬래그 골재의 잔류팽창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비교한 결과 콘크리트용으로 전기로슬래그 골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에이징 처리에 의해 잔류팽창을 0.06% 이하로 충분히 낮춘 후 사용해야 한다. 또한 현재 도로용으로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는 전기로슬래그를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골재의 품질개선 뿐만 아니라 감수제 및 AE제 등 적절한 혼화재료의 사용이 필요하겠다.

  • PDF

에틸렌 글리콜법을 이용한 전기로 환원슬래그의 Free CaO 정량 평가에 관한 연구 (Quantitative Evaluation of Free CaO in Electric Arc Furnace Reduction Slag using the Ethylene Glycol Method)

  • 권성준;임희섭;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1-327
    • /
    • 2018
  • 본 논문은 한국 철강 생산업체에서 발생되고 있는 ERS의 free CaO를Ethylene glycol법을 이용하여 정량 평가하였다. ERS 생산업체 2곳을 선정하여 ERS의 물리적 특성 및 화학성분 분석을 비교하였으며, Ethylene glycol법을 이용하여 생산업체별, 입경 차이(size), 야적 위치(IN, OUT), 에이징 기간(1day, 7days, 14days, 21days, 28days)에 따른 분류로 free CaO 정량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 ERS의 생산업체별 화학 성분이 일부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야적 위치별, 입경, 에이징 기간에 따른 free CaO의 함량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free CaO가 비정질 물질로서 에이징 기간이 증가하여도 결정화 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Elastica형 아치의 자유진동 (Free Vibrations of Elastica Shaped Arches)

  • 이병구;오상진;이태은;김권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6A호
    • /
    • pp.827-833
    • /
    • 2008
  • 이 논문은 elastica형 아치의 자유진동에 관한 연구이다. Elastica형 아치의 선형은 항상 일정한 곡선길이를 갖는 후좌굴 기둥의 정확탄성곡선을 이용하였다. 이 Elastica형 아치의 곡률항을 일반아치의 자유진동을 지배하는 미분방정식에 적용하여 고유진동수 및 진동형을 산출하였다. 수치해석 예에서는 회전-회전, 회전-고정 및 고정-고정의 지점조건을 고려하였다. 회전관성이 고유진동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아치의 높이비 및 세장비와 고유진동수와의 관계를 그림에 나타내었다. Elastica형 아치와 포물선형 아치의 고유진동수를 비교한 결과, elastica형 아치의 고유진동수가 포물선 아치의 고유진동수보다 매우 크게 나타나는 동적 특성을 보였다. 진동형의 전형적인 예를 그림에 나타내었다.

수정 Sonic Arc 익형의 공력성능 (Aerodynamic performance of Modified Sonic Arc Airfoil)

  • 이장창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581-585
    • /
    • 2007
  • TSD 이론으로 구해진 sonic arc 익형의 형상을 새로운 익형 형상으로 수정하고 천음속 유동에서의 공력 성능을 조사하였다. Euler solver를 이용하여 수정 sonic arc 익형에 대한 수치계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NACA0012 익형의 공력 성능과 초임계 익형의 공력 성능 그리고 NACA64A210 익형의 공력성능과 비교하였다. 천음속 유동의 같은 자유 유동 마하수에서 수정 sonic arc 익형의 압력 항력은 NACA0012 익형의 압력 항력보다 더 작게 나타났으며 수정 sonic arc 익형의 양항비는 NACA0012 익형의 양항비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다. 천음속 유동에서의 항력 발산 마하수 비교에서는 수정 sonic arc 익형의 항력 발산 마하수가 NACA64A210 익형의 항력 발산 마하수보다는 크게 나타났지만 초임계 익형의 항력 발산 마하수 보다는 작게 나타났다.

마제형 대칭 타원 아치의 자유진동: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 이용 재고(再考) (Free Vibrations of Horseshoe Symmetric Elliptic Arch: Using Boundary Conditions of Stress Resultants at Mid-Arc Revisited)

  • 이병구;이태은;김권식;오상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3호
    • /
    • pp.191-200
    • /
    • 2021
  • 이 논문은 아치의 자유진동 해석에서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 이용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 아치는 마제형 타원 대칭 아치이다. 마제형 타원 아치의 자유진동을 다룬 연구는 이미 문헌에 발표된 바 있다. 이 재고 논문은 기존 문헌에서 사용한 아치 양단의 경계조건을 대신할 수 있는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의 적용성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 문헌의 이론을 이용하여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아치의 고유진동수와 진동형을 산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존 문헌 및 유한요소해 ADINA의 결과와 잘 일치하여,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을 아치의 자유진동 해석에 적용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체적안정성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valuation on Volume Stability of the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

  • 임희섭;이한승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78-86
    • /
    • 2017
  • 본 논문은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체적안정성 평가를 위해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체적안정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체적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고안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물리적 방법으로는 오토클레이브의 고온 고압을 이용하여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체가름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과 모르타르바를 제작하여 길이변화율에 따른 체적팽창성을 확인하였다. 화학적 방법으로는 Ethylene glycol 시험법을 이용하여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free CaO 함량을 정량 평가하였다. 전기로 산화슬래그 골재의 free CaO 정량 평가 결과 0.5% 이하의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화학 분석 결과 KS F 4571의 CaO 40%이하로 확인 되었다. 전기로 산화슬래그의 free CaO가 소량 함유됨에 따라 건설재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양극으로의 에너지 플럭스 유입을 고려한 대기압 아르곤 자유연소아크 해석

  • 이원호;이종철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498-498
    • /
    • 2012
  • 직류 아크 토치를 이용하여 열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전극의 구성에 따라 크게 비이송식(non-transferred)과 이송식(transferred)의 2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1950년대 H. Maecker 등에 의해 이론적 기초가 형성되기 시작한 이송식 아크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처리 대상물질을 전극으로 사용하여 양극에서의 에너지 전달을 직접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열효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고출력 토치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압 아르곤 자유연소아크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열플라즈마의 열유동 특성을 수치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아크 기둥의 온도, 압력 및 속도 특성을 Navier-Stokes 방정식과 Maxwell 방정식을 연계 계산하였다. 또한 아크-전극 상호작용(arc-electrode interaction) 모델링을 통한 양극(anode)인 처리 대상물질로의 에너지 플럭스 유입을 고려하여 전극 내부의 온도분포를 계산하였다. 해석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음극과 양극 사이 플라즈마 기둥(column)의 중심축 온도는 Haddad & Farmer(1984)의 실험데이터와 비교하였고, 양극으로의 에너지 플럭스 및 온도분포 데이터는 Bini 등(2006)의 실험 및 해석데이터와 비교하여 만족스런 일치를 확인하였다.

  • PDF

6축 아크 용접 로보트의 의사 역기구학적 동작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seudoinverse Kinematic Motion Control of 6-Axis Arc Welding Robot)

  • 최진섭;김동원;양성모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0-177
    • /
    • 1993
  • In robotic arc welding, the roll (rotation) of the torch about its direction vector does not have any effect on the welding operation. Thus we could use this redundant degree of greedom for the motion control of the robot manipulator.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for the pseudo- inverse kinematic motion control of the 6-axis robot, which utilizes the above mentioned redunancy. The prototype welding operation and the tool path are also graphically simulated. Since the proposed algorithm requires only the position and normal vector of the weldine as an input data, it is useful for the CAD-based off-line programming of the arc welding robot. In addition, it also has the advantages of the redundant manipulator motion control, like singularity avoidance and collision free motion planning,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motion control method based on the direct inverse kinematics.

  • PDF

플라스마 아크 紛體肉盛法에 의한 Al 合金의 硬化厚膜 合金化層의 形成 (Formation of Thicker hard Alloy Layer on Aluminum Alloy by PTA Overlaying with Metal Powders)

  • 박성두;이영호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1권2호
    • /
    • pp.74-85
    • /
    • 1993
  • Effect of Si metal powders addition with the plasma transferred arc(PTA) overlaying process on characteristics of the alloyed layer in aluminum alloy(A5083) has been investigated. The overlaying conditions were 175-250A in plasma arc current, 500mm/min in travel speed, the 5-20g/min in powder feeding rate. Main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Sufficient size of molten pool on surface of base metal was required for forming an alloyed layer; in a fixed travel, the formation of alloyed layer with clear and beautiful surface depend upon the plasma arc current and powder feeding rate; the greater plasma arc current and the smaller powder feeding rate were, the better bead was formed. Optimum alloyed conditions by which an excellent alloyed bead obtained was 225A in plasma arc current. PTA process made it possible to form an alloyed layer with up to 67wt% Si. 2)Microstructure in the alloyed layer was in accord with prediction from the Al-Si phase diagram 3)The hardness of the alloyed layer increased in proportion to Si content. 4)As volume fraction of primary Si increased, the specific wearness of the alloyed layer was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no further improvement was found when the volume fraction was greater than about 30%. 5)Utilizing the PTA process, a crack free alloyed layer with maximum hardness of about Hv 310 could be obtained.

  • PDF

Connection between a Small-Scale Emerging Island and Double Arc Loops Producing a M6.5 Flare in Active Region 12371

  • Kang, Jihye;Inoue, Satoshi;Moon, Yong-Jae;Magara, Tetsuya;Kusano, Kanya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81.3-81.3
    • /
    • 2017
  • In this paper, we report a small-scale emerging island and double arc loops, which are associated with a M6.5 flare, in Active Region 12371. We investigate the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of both photospheric magnetic fields using SDO/HMI data and coronal magnetic structures obtained from nonliner force-free field (NLFFF) extrapolation. From the vector magnetograms, we find a small-scale emerging island near the main polarityy inversion line about three hours before the flare. The island has a strong shear angle, which is determined by difference between transverse component of observed field and potential field, of around 90 degrees. Furthermore, the NLFFF well reproduces a sigmoidal structure seen in SDO/AIA 94,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double arc loops configuration suggested by Ishiguro and Kusano (2017) who introduced a magnetic configuration showing the double arc instability. The observed emerging island is located among the double arc loops, which is also supproted by their model. Finally, there was an eruption (M6.5 flare) associated with the loops. We discuss a possible role of the double arc instability for the erup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