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ree amino acid concentrations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8초

밀기울의 유산균 발효: 향기성분 및 유리아미노산 변화를 통한 제빵 소재로서의 가능성 (Fermentation of wheat bran through lactic acid bacteria: Changes in flavor components and free amino acids and potential applications in baking)

  • 나예림;박성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24-528
    • /
    • 2020
  • 밀기울을 유산균 종류에 따라 각각 발효물을 제조하고 그에 따른 향기성분을 SPME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총 19종류의 향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알콜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컸으며 그 중에서도 1-hexanol이 21.05-29.06 ng/g으로 가장 다량으로 검출되었다. 이 중 유산균의 아미노산 대사에 의해 형성되는 알코올류인 3-methyl-1-butanol, phenethyl alcohol은 발효 후 증가하고, 아미노산 leucine, phenylalanine는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케톤류 또한 발효에 의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주로 유제품 유산균 발효에 의한 것으로 2,3-butanedione를 비롯한 buttery 풍미를 내는 케톤류들이 검출되었다. 이는 밀기울 유산균 발효 산물의 풍미를 증대시켜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상승시킬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알데하이드류는 감소하였는데, 알데하이드류는 주로 밀기울이 가지고 있는 이취 물질들으므로 유산균 발효를 통해 밀기울 소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료나 폐기되는 제분 부산물을 유산균 발효를 통해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제과 및 제빵에 발효 밀기울을 응용, 적용함으로써 고 식이섬유 제품 및 풍미가 강화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장수버섯 배양법에 의해 urushiol이 제거된 발효옻 추출물이 된장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rushiol-Free Extracts from Fermented-Rhus verniciflua Stem Bark with Fomitella fraxinea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Doenjang (Soybean Paste))

  • 최한석;정석태;최지호;강지은;김유진;노종민;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4-253
    • /
    • 2012
  • 된장제조공정에 발효옻 추출물을 첨가하고 염수발효기간 동안의 미생물, 효소활성,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일반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염수발효 42일 경과 후 추출물 첨가군(0.7%, 2.0%, 5.0%, 10.0%, w/v)의 염수 중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188.3, 4634.7, 2982.7, 5070.6 mg/100 mL로 대조군 보다 각각 1.3, 2.8, 1.8, 3.1배 높게 나타났다. 염수를 걸러낸 된장의 미생물 분포는 일반세균 $0.3-12.0{\times}10^8$, 곰팡이 $3.0-21.0{\times}10^4$, 효모 $1.0-2.0{\times}10^4$, 대장균 불검출, B. cereus $3.0-25.0{\times}10^2$ cfu/g으로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일반세균과 곰팡이의 생균수가 1 log cycle 범위 내에서 변하였을 뿐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발효옻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skim milk 분해활성은 13.8-26.0%, starch 분해활성은 16.1-35.1%, acidic protease의 활성은 1.8-2.5배, 1.9, a-amylase의 효소활성은 6.4-7.0배 증가되었다. 발효옻 추출물이 첨가된 된장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855.97, 1899.01, 1675.03, 1733.07 mg%로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1.4-3.0배 상승하였으며,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citrulline, glutamic acid, glycine,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proline, serine, threonine, tyrosine, valine 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이었다. 유기산은 lactic, acetic, pyroglutamic acid가 주요 유기산이었다. 일반성분은 pH, 수분, 회분, 염도,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이 증가하였다.

새조개 가공부산물을 이용한 액상 조미료 소재 개발 (Development of Liquefied Seasoning Material from Cockle Shell By-Product)

  • 배태진;강훈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21-527
    • /
    • 1997
  • 주로 남해안의 천수만에서 많이 어획되는 새조개의 이용으로는 여체부의 긴발을 약간 데친 후동결하여 주로 수출하고 있으나, 그외 나머지 부분은 폐기되거나 사료로 이용되는 것으로 식량자원으로서 이용율이 매우 낮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조개 연체부의 긴발을 제외한 나머지인 가공부산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효소를 이용한 액상조미료 제품의 속성 제조와 품질개선에 관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새조개 전체 육중량에 대하여 연체부의 긴발을 제외한 부산물의 중량비는 32.7%였으며, 수분 함량은 83.1%, 조단백질 함량은 10.7%였다. 새조개 부산물의 가수분해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첨가한 효소인 Alcalase 및 Protease N.P. 모두가 가수분해 초기에 급격한 분해를 보여 가수분해 8시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고, 그 이후 20시간까지는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적정 첨가농도는 4.0%였다. 새조개 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액상 조미료의 풍미개선을 위하여 glucose를 첨가하여 가열에 의한 Maillard 반응을 이용하였을 때 냄새의 개선에 상당히 효과적이었으며, 기호성 증진을 위하여 가수분해물의 여액에 0.5% 첨가가 관능적으로 적당하였다. 최종제품의 품질로서 전질소량이 1,607mg%, 아미노질소량은 1,264mg%으로 원료에서의 질소이행율은 93.9%로 매우 높았으며, 제품의 총질소량에 대하여 아미노질소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78.6%였다. 그리고 우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1,027.5mg%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ysine, leucine, valine 및 aspartic acid 순으로 함량이 높았고, tryptophan, cystine, histidine 및 serine 순으로 함량이 적었다.

  • PDF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일반성분 및 맛 성분의 계절별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Seasonal Change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Taste Components in the Conger Eels (Conger myriaster))

  • 류근영;심성례;김원;정민석;황인민;김준형;홍철희;정찬희;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69-1075
    • /
    • 2009
  • 외식산업에서의 붕장어 이용성 증대에 기여하고자 계절에 따른 일반성분, 지방산, 핵산관련성분 및 아미노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여름철 붕장어의 조지방 함량이 3.2%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붕장어의 산란기에 따른 영향으로 생각된다. 지방산 조성 중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stearic acid,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 palmitoleic acid 그리고 다가불포화지방산인 DHA, EPA가 주요 지방산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지방산 중 oleic acid가 36.76$\sim$45.11%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봄에서 겨울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지방산 조성비의 계절적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핵산관련성분 중 맛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IMP(3.617$\sim$5.524 $\mu$ mol/g)와 Hx(0.913$\sim$2.238 $\mu$ mol/g) 그리고 무미의 HxR(0.625$\sim$1.652 $\mu$mol/g)이 ATP(0.058$\sim$0.083 $\mu$mol/g), ADP(0.145$\sim$0.161 $\mu$mol/g), AMP(0.166$\sim$0.179 $\mu$mol/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어류의 지미성분인 IMP와 Hx의 함량이 7.219 $\mu$mol/g으로 겨울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14,178.7$\sim$7,802.6 mg%), aspartic acid(4,669.2$\sim$8,259.0 mg%), lysine(4,198.3$\sim$7,540.8mg%), leucine(3,843.6$\sim$6,782.1 mg%) 등이 주요 구성아미노산으로, histidine(199.6$\sim$644.4 mg%), glycine(94.8$\sim$152.2 mg%), alanine(35.3$\sim$71.2 mg%), glutamic acid (44.1$\sim$70.6 mg%) 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 확인되었으며, 정미물질 중 맛과 관련 있는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여름철과 겨울철에 각각 1,179.2과 1,605.2 mg%로 높게 나타났다. 어류의 주요 정미성분의 함량으로 확인한 결과 핵산관련성분은 겨울철이, 유리아미노산은 여름철이 가장 많았으나 이들 정미성분의 함량이 특정 계절에만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따라서 붕장어의 맛은 정미관련성분들과 관련이 크지만 단순히 정미성분만이 아닌 다른 여러 성분과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재래식 간장 및 된장 제조가 대두 단백질의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 제1보 재래식 메주 제조의 성분변화 (The Effect of Korean Soysauce and Soypaste Making on Soybean Protein Quality Part I. Chemical Changes During Meju Making)

  • 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18
    • /
    • 1976
  • 대두를 이용하여 재래식 메주를 실험실에서 제조하고 발효과정중에 일어나는 경시적 화학조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메주중의 수분은 발효기간중 점차적으로 증발되어 발효 2개월 후에는 원료대두의 수분함량과 같은 수준으로 되었다. 대두의 건물중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수침, 삶음과 메주발효중 크게 변화하지 않으나 탄수화물 함량은 수침과 발효중 상당히 감소하였다. 메주제조과정 중 대두 영양분 회수율은 탄수화물이 58%, 단백과 조지방이 각각 93%이었다. 대두의 총 질소중 수용성 질소율은 대두를 삶는 과정중 79% 에서 21% 로 감소하였으나 메주발효 1주일동안 30% 로 증가되었으며, 이후 3개월동안 거의 같은수준을 유지하였다. 총 질소중 유리 아미노태질소 농도는 원료대두에서 7% 였고 삶음 과정에서 3% 로 감소하였으나 메주발효과정중 다시 원료대두에서와 같은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총 질소 중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는 삶음과 발효과정에서 계속 증가하여 발효 종료 후 2%에 도달하였다. 대두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수침, 삶음 및 3개월간의 메주발효과정 중 크게 변화되지 않았으나, serine과 염기성 아미노산 즉, lysine arginine 및 histidine이 메주발효 1개월 동안 원료대두의 $81{\sim}87%$로 감소되었으며 계속되는 발효 3개월동안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100 g 조단백질중 아미노산 함량은 원료대두에서 99 g 이었으나 메주 발효 1개월후 93 g 으로 감소되어 메주발효과정중 6%의 아미노산 감소를 나타나내었다.

  • PDF

Effect of L- or DL-methionine Supplementation on Nitrogen Retention, Serum Amino Acid Concentrations and Blood Metabolites Profile in Starter Pigs

  • Tian, Q.Y.;Zeng, Z.K.;Zhang, Y.X.;Long, S.F.;Piao, X.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5호
    • /
    • pp.689-694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either L-methionine (L-Met) or DL-methionine (DL-Met) to diets of starter pigs on nitrogen (N) balance, metabolism, and serum amino acid profile. Eighteen crossbred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barrows weighing $15.45{\pm}0.88kg$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3 diets with 6 pigs per treatment. The diets included a basal diet (Met-deficient diet) containing 0.24%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Met with all other essential nutrients meeting the pig's requirements. The other two diets were produced by supplementing the basal diet with 0.12% DL-Met or L-Met. The experiment lasted for 18 days, consisting of a 13-day adaptation period to the diets followed by a 5-day experimental period. Pigs were fed ad libitum and free access to water throughout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either L-Met or DL-Met improved N retention, and serum methionine concentration, and decreased N excretion compared with basal diet (p<0.01). The N retention of pig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the same inclusion levels of DL-Met or L-Met were not different (p>0.05). In conclusion, on equimolar basis DL-Met and L-Met are equally bioavailable as Met sources for starter pigs.

진주담치(Mytilus edulis) 추출물의 제조 및 품질특성 (Evaluating Cultured Sea Mussels Mytilus edulis Extractions Methods and Extract Quality Characteristics)

  • 김선근;조준현;황영숙;이인석;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50-655
    • /
    • 2017
  • Extraction methods for cultured sea mussels Mytilus eduli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ulting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crude protein, carbohydrate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of raw sea mussels was 15.2%, 1.9%, and 11.2 mg/100 g, respectively.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hot-water extract (WE), scrap enzymatic hydrolysate extraction (SE), and complex extraction (CE). The respective extracts contained 5.5%, 8.6%, and 6.6% crude protein; 281.7, 366.0, and 343.0 mg/100 g amino nitrogen,: and 2.0%, 1.1% and 1.8% salinity. Their extraction yields were 689, 323, and 1,012 mL/kg. The CE method was superior to the traditional WE method in terms of extraction yield, amino-nitrogen content, and organoleptic qualities, but not odor. Active taste components were evaluated and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of the WE and CE methods was 5,667.0 and 7,006.3 mg/100 g,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major components (for WE and CE methods, respectively) were as follows: glutamic acid (1,244.0 and 955.4 mg/100 g), taurine (987.9 and 746.8 mg/100 g), glycine (721.2 and 847.0 mg/100 g), alanine (341.9 and 423.8 mg/100 g), arginine (265.5 and 376.5 mg/100 g), lysine (199.8 and 270.4 mg/100 g), and proline (253.9 and 220.3 mg/100 g). I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is potential for using the CE method to expand the commercial utilization of sea mussels as a flavoring substance resource.

Effects of sodium diacetate on the fermentation profile, chemical composi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alfalfa silage

  • Yuan, XianJun;Wen, AiYou;Desta, Seare T.;Wang, Jian;Shao, Ta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6호
    • /
    • pp.804-810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odium diacetate (SDA) on fermentation profile, chemical composi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silage. Methods: Fresh alfalfa was ensil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DA (0, 3, 5, 7, and 9 g/kg of fresh forage). After 60 days of the ensiling, the samples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 fermentative quality, chemical composition and aerobic stability. Results: The application of SDA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silage pH with the lowest value in silage with 7 g/kg of SDA. The proliferations of enterobacteria, yeasts, molds and clostridia were inhibited by SDA, resulted in lower ethanol, propionic an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and dry matter loss in SDA treated silages than control. The increasing SDA linearly decreased free amino acid N (p<0.001), ammonia N (p = 0.018) and non-protein N (p<0.001), while linearly increased water soluble carbohydrate (p<0.001) and peptide N (p<0.001). It is speculated that SDA accelerated the shift from homofermentative to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the silage fermentation, indicated by lower lactic acid production in SDA-9 than SDA-7 silages after 60 days of ensiling. Alfalfa silages treated with SDA at 7 g/kg had highest Flieg's point and remained stable more than 9 d during aerobic exposure under humid and hot conditions in southern China. Conclusion: SDA may be used as an additive for alfalfa silages at a level of 7 g/kg.

임신말 태반을 통한 아미노산 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fer of Amino Acids across the Human Placenta at Term of Pregnancy)

  • 안홍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3호
    • /
    • pp.209-216
    • /
    • 1985
  • 임신말 여성의 태반을 중심으로 모체와 태아사이의 아미노산 이동 현상을 이해하고저 모체쪽의 antecubital vein, uterine vein과 iliac artery에서 태아쪽의 umbilical vein과 artery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23개의 혈장 유리아미노산 농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lutamate를 제외하고는 모체의 antecubital vein과 태아의 umbilical vein의 아미노산 농도의 비는 1.21에서 3.21의 범위를 보여주고 있어 태아의 혈장 유리아미노산 농도가 모체에서 보다 훨씬 높았다. 둘째, 모체쪽의 iliac artery의 아미노산 농도와 태아의 umbilical vein의 아미노산 농도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의 아미노산들은 직선의 관계를 보였다. 이와같은 결과는 직선의 기울기가 1에 가까운 중성 아미노산은 단순확산, 직선의 기울기가 1과 상이한 염기성 및 산성아미노산은 단순확산과 능동적 이동과의 동적평형으로 해석되었으며, 따라서 태반은 아미노산에 대하여 단순한 장벽만의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하고 있다.

  • PDF

흑미 미강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Bran Cookies)

  • 주신윤;최해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2-19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흑미 미강 분말을 첨가(0, 1, 3, 5, 7, 9%)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흑미 미강 분말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11.81{\pm}0.03$ mg GAE/g이며, 이를 쿠키에 첨가한 경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제조된 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흑미 미강 분말과 쿠키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의 결과 흑미 미강에는 섬유소와 지방의 성분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방산의 분석에서 흑미 미강은 약 80%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성분은 주로 oleic acid와 linoleic acid로 나타났다. 또한 아미노산의 분석에서 대조군에 비해 7% 첨가 쿠키가 높은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죽의 밀도는 흑미 미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감소하였다. 쿠키의 수분함량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퍼짐성 지수는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손실율과 팽창률은 감소하였다. 쿠키의 색도는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쿠키의 기호도 검사(전반적인 기호도, 외관, 향, 맛, 조직감)에서 5%와 7% 흑미 미강 쿠키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성 강도 검사(흑미 미강 향, 고소한 맛, 부드러운 정도, 삼킨 후의 느낌)에서는 흑미 미강을 첨가한 쿠키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강도를 보였으며, 느끼한 향은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강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쿠키에 흑미 미강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쿠키의 기호도를 증가시켜주고 동시에 총 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쿠키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쿠키 제조시 기호도가 가장 높고 항산화능이 좋았던 7% 흑미 미강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