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transition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3초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산지면적 변화 추정에 관한 연구 (Change Prediction of Forestland Area in South Korea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 곽두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2-51
    • /
    • 2020
  • 본 연구는 산림기본법 10조에 명시되어 있는 산림자원 및 임산물 수급의 장기전망을 통한 제6차 산림기본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산지의 정의는 산지관리법에서 명시하고 있으며 산림 조성, 생산, 관리를 위해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서 미래 산림자원의 변화를 예측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기 때문에 미래의 산지면적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향후 계획수립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대극대화 이론에 근거한 임업부가가치, 농업소득, 인구밀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항로지스틱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미래의 산지면적, 농지면적, 도시 및 기타지의 면적 변화를 예측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산지면적은 2026년까지 약 6,300천ha로 줄어들어 현재 대비 약 34천ha의 감소분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이후 2027년부터는 반등을 시작하여 6,470천ha로 늘어나 약 172천ha의 증가분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산지면적의 증가는 임업부가가치의 증가와 관련이 있고, 농지면적의 증가는 농업소득의 증가, 그리고 도시 및 기타지의 증가는 인구밀도의 증가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산지면적의 주된 증가원인은 한계효과와 탄성치가 큰 인구밀도의 감소로 밝혀졌는데, 이는 저출산으로 인해 절대인구가 2032년부터 감소함에 따라 산지면적의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지면적의 증가분은 도시 및 기타지에서 산지로 전환되는 면적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인구감소에 따른 도시 주변 지역의 인구 공동화 현상과 지방 소도시의 소멸 등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산지의 증가를 산지관리 차원에서 살펴보면, 증가되는 산지면적은 지목상 임야 이외의 토지로부터 편입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사후 산지관리법상의 산지로서 관리되기 위해서는 산림 관련 법령의 정비는 물론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산지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부산 태종대 식생관리를 위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Plants Social Network for Vegetation Management on Taejongdae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이상철;강현미;박석곤;백재봉;유찬열;황인천;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51-661
    • /
    • 2022
  • 식물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식물사회와 사회 연결망 분석을 결합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 태종대를 대상으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종간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 구축의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난온대림에 위치한 태종대는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해안림으로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이 폭넓게 분포하고 있다. 태종대를 대상으로 100m2 크기의 방형구 100개소를 설치하여 출현수종을 조사하였고, 주요 종을 중심으로 종간결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Gephi 0.9.2를 활용하여 소시오그램을 작성하였으며, 네트워크 중심성 및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곰솔, 사스레피나무, 졸참나무, 팥배나무, 광나무, 때죽나무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았으며, 대상지의 환경적 특성상 상록활엽수가 다수 출현하였다. 태종대 식물 사회네트워크는 노드수가 50개, 연결정도가 172개의 소규모 네트워크로 구축되었으며, 모듈화를 통해 4개그룹으로 나누어졌다. 구축된 소시오그램을 통해 천이계열을 살펴보면, 현재 곰솔, 사스레피나무가 포함된 그룹은 벚나무, 개옻나무를 매개자로 하여 졸참나무,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낙엽활엽수군락으로, 후박나무를 매개자로 하여 후박나무, 참식나무가 우점하는 상록활엽수군락으로 천이될 가능성이 높았고, 일부지역에서는 생강나무, 팽나무를 매개자로 하여 팽나무, 굴참나무, 느티나무가 우점하는 낙엽활엽수군락으로 천이가 예상된다.

수병(銹病)에 감염(感染)된 슬래쉬소나무 조림지(造林地)에 대한 임분단위(林分單位)의 생존 (生存) 예측모형(豫測模型) (Whole Stand Survival Prediction Model in Slash Pine Plantations Infected with Fusiform Rust)

  • 이영진;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480-487
    • /
    • 2000
  • 미국(美國) 남부(南部) 지방(地方)의 경우, 슬래쉬소나무 (Pinus elliottii Engelm.) 조림지(造林地)에서는 수병(銹病) (Cronartium quercuum [Berk.] Miyabe ex Shirai f. sp. fusiforme)의 감염(感染)으로 인해 산림(山林) 소유자(所有者)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장기적(長期的)으로 매년(每年) 측정(測定)된 영구실험(永久實驗) plots의 자료(資料)에 의하면 평균(平均) 약 40% 정도의 슬래쉬소나무 조림지(造林地)가 수병(銹病)에 감염(感染)되어 줄기 부분에 흑 (canker)이 생성되어 결국 고사(枯死)하거나 2차적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수병(銹病)에 감염(感染)된 슬래쉬소나무 임분(林分)에 대한 생존(生存) 예측모형(豫測模型)을 개발(開發)하였으며, 이 모형(模型)은 수병(銹病)의 발생율(發生率)을 모형(模型)에 포함하였으며, 수병(銹病)에 감염(感染)되지 않은 단계(段階)의 임목(林木)들이 감염(感染)되는 단계(段階)로의 전이(轉移)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존(生存) 본수(本數)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특징(特徵)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임지(林地)의 생산력(生産力)과 관엽수(關葉樹)의 밀도(密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조림(造林)된 슬래쉬소나무 임분(林分)의 미래(未來) 생존(生存) 본수(生存)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본(本) 연구(硏究)의 결과(結果)로 제시(提示)된 모형(模型)은 산림(山林) 경영자(經營者)들에게 특히 수병(銹病)에 감염(感染)된 슬래쉬소나무 조림지(造林地) 임목(林木)의 미래목(未來木) 생존(生存) 본수(本數) 예측(豫測)에 중요한 정보(情報)를 제시(提示)해 줄 수 있다.

  • PDF

초임계수에 의한 현사시나무의 당화 특성 (Thermo-chemical Conversion of Poplar Wood (Populus alba × glandulosa) to Monomeric Sugars by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 최준원;임현진;한규성;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44-50
    • /
    • 2006
  • 아임계 및 초임계수 특성에 따른 목질 바이오매스의 당화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물의 초임계 압력인 23 MPa로 고정하고 아임계 온도($325^{\circ}C$, $350^{\circ}C$)와 초임계 온도($380^{\circ}C$, $400^{\circ}C$, $425^{\circ}C$)에서 현사시나무 목분을 각각 60초 동안 처리하였다. 생성된 현사시 목분의 분해산물에는 액상과 고형분의 분해산물이 섞여 있었다. 각 처리조건에 따른 목분의 분해율은 처리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초임계 온도인 $425^{\circ}C$에서 최고 83.1%의 분해율을 나타냈다. 아임계 및 초임계수 분해에 의해서 생성된 단당류는 액상의 분해산물을 대상으로 고성능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프(HPAE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목질바이오매스의 초임계수 분해과정에서 처리온도가 높아지면서 단당류 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25^{\circ}C$에서 가장 높은 7.3%의 단당류 수율을 나타내었다. 아임계 온도 범위에서는 현사시나무의 섬유소 성분 중에서 자일란이 우선적으로 분해되어 자일로스의 생성비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처리온도가 높아지면서 셀룰로오스의 분해에 의한 글루코오스 생성율이 급격히 상승하였다.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를 위한 생태계 유형분류 방안 검토 - 국내 토지피복분류 적용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ategorizing Ecosystem Groups for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 Focused on Applicability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

  • 여인애;배해진;홍승범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6호
    • /
    • pp.385-403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생태분야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의 공간적 기준이 될 수 있는 생태계 유형분류방안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분야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와 적응대책의 특징, 국내외 리스크 평가에서 적용하는 생태계/서식지 유형분류 현황 및 관련 데이터를 조사하였다. 영국을 비롯하여 유럽 등지에서 일반적으로 생물종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공간정보DB로 토지피복분류가 널리 활용되고 있음에 착안하여, 국내 토지피복분류의 적용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생태계 유형분류 시 현재 국내 대분류 토지피복 체계만으로는 분류군별 서식 경향성을 거의 알 수 없기에 대분류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국토 피복 전반을 차지하는 산림 생태계(62.3%) 및 농경지 생태계(25.0%) 유형의 세분화와 함께, 국토대비 면적은 작지만 다양한 분류군이 서식하는 습지생태계(2.9%), 특수 분류군이 서식하는 연안(0.4%) 및 해양생태계(0.6%), 도시생태계(6.1%)에 대한 분류가 고려되어야 한다. 추후 산림, 농경지 피복분류에 있어 중분류 체계 이하의 세분화가 필요하며, 국토 대비 면적에 비해 분류군의 서식지 선호비율이 높은 내륙습지, 해양/해안 서식지, 도시와 자연생태계의 전이지역 등에 대한 반영 역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세틸화 케나프 섬유와 폴리락트산으로 구성된 바이오복합재료의 물성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Bio-Composites Composed of Acetylated Kenaf Fibers and Poly(lactic acid) (PLA))

  • 정택준;이병호;이현지;권혁진;장원범;김현중;엄영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3호
    • /
    • pp.195-203
    • /
    • 2011
  • 친환경 소재인 바이오복합재료(bio-composites)의 제조를 위하여 기질 고분자로는 poly(lactic acid) (PLA)를 그리고 충전제(filler)로는 케나프 섬유(kenaf fiber)를 사용하였다. 또한 섬유와 고분자 사이의 계면결합 향상을 위해 아세틸화 케나프 섬유(acetylated kenaf fiber)와 상용화제(compatibilizer)를 첨가해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처리와 상용화제가 기계적-점탄성과 형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섬유가 소수성이 될수록 기질 고분자와 높은 계면결합을 가지며 물성과 형태학적 성질 또한 향상된다는 결과를 보여줬다. 그러나 점탄성과 유리전이온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지리산 피아골의 식생형과 그 구조 (Vegetation Types and Their Structures of the Piagol, Mt. Chiri)

  • 장윤석;임양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165-175
    • /
    • 1985
  • 지리산 피아골의 식생은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개서나무군낙, 서나무군낙, 신갈나무군낙, 졸참나무군낙, 들메나무군낙, 철쭉-진달래 관목림으로 분류되며, DBH-class 분포에 의하면 개서나무군낙, 서나무군낙, 신갈나무군낙은 모두 안정된 극상림인 것으로 보인다. 신갈나무군낙의 종다양도는 제일 낮고 우점도는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조건은 서나무군낙이 신간나무군낙에 비해 습하고 비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나무군낙과 신갈나무군낙의 점이대는 DBH-class 분포로 보아 현재의 900∼1,000m 에서 1,000∼l,100까지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Polar Ordination에 의한 식생형의 분류는 식물사회학적 방법의 결과와 일치했다. 고도구배를 따라 개서나무는 500∼700m, 서나무는 700∼900m, 신갈나무는 900m이상에서 최고의 중요치를 나타낸다. Raunkiaer의 life-form spectrum을 남한의 것과 비교하면, 반지중식물은 5.3%, 지중식물은 5.2% 높게 나타났으며, 착생식물과 수중식물은 극히 적게 나타났다.

  • PDF

청주 소로리 유적의 제4기 퇴적층과 볍씨 출토의 의미 재고찰 (Rethinking of Quaternary deposits and implication of rice seeds in Cheongju Sorori Site, Korea)

  • 김주용;양동윤;이상헌;남욱현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22
    • /
    • 2017
  • 금강 중류의 소로리 고기 하성퇴적층의 형성시기는 해면변동성 하안단구를 적용시켜 최종 간빙기(MIS 5)로 추정되며, 신기 하성퇴적층은 최종빙기최성기(MIS 2) 이후의 뵐링-알러뢰드 간빙기(12,700~14,700 cal-yrBP)를 포함하며, 이후 영드라이아스기(11,700~12,900 cal-yrBP)에 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소로리 유적의 신기 하성퇴적층 중에서 Oryza rufipogon 등 같은 야생벼가 출토되는 중부 토탄층 상부는 보정연대로 약 15,000년전 이후에 형성되었다. 소로리 유적에서는 화분대 OC-2 상부구간에서는 화분조성상 아고산성 침엽수림보다는 낙엽활엽수로의 천이가 뚜렷한 편이다. 특히 중부 토탄층의 상부에 해당하는 OC-2 화분대는 B/A아간빙기에 형성되었다. 이 기간은 청주소로리 볍씨가 온난기의 화분 및 배후습지성 곤충들과 공반 출토되었던 만빙기(Lastest Glacial) 기간 중으로 간주되며 상대적으로 현재와 유사한 온난한 기후가 나타났던 시기로 볼 수 있다.

Livestock grazing and trampling effects on plant functional composition at three wells in the desert steppe of Mongolia

  • Narantsetseg, Amartuvshin;Kang, Sinkyu;Ko, Dongw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3호
    • /
    • pp.103-110
    • /
    • 2018
  • Backgrounds: In arid grasslands, wells are subject to heavy trampling and grazing pressure, which can increase vulnerability to local land degradation. To investigate trampling and grazing, we surveyed plant communities at three well sites in the desert steppe of Mongolia, using 1600-m line transects from the wells. The sites (Bshrub, Sshrub, and shrubL) differed by concomitant shrub type (big shrub, small shrub, and shrub-limited) and livestock pressure (light, medium, and heavy). A plant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edibility and morphology (rosette or creeping type) was used to separate grazing and trampling effects on plant communities. Results: Edible plants were dominant at all sites but a fraction of grazing- and trampling-tolerant plants increased in the order Bshrub, Sshrub, and shrubL, following livestock pressure. Clear transition zones from inedible to edible plant groups were recognized but at different locations and ranges among the sites. Trampling-tolerant plants explained 90% of inedible plants at Sshrub with camels and horses, but grazing-tolerant plants prevailed (60%) at shrubL with the largest livestock number. Plant coverage increased significantly along the transects at Bshrub and Sshrub but showed no meaningful change at shrubL. Herbaceous plant biomas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trends at Bshrub and shrubL, respectively. Conclusions: Both grazing and trampling can produce larger fractions of inedible plants; in this, camel and horses can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desert-steppe plant communities through trampling.

우리나라 습지 유형별 분류특성에 관한 연구 -내륙 습지를 대상으로- (Classifying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Wetlands in Korea -Cases on the Inland Wetlands-)

  • 구본학;김귀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25
    • /
    • 2001
  • A wetland is an ecosystem which is the most useful and highly-energetic transition area.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classify and identify the various types of wetlands in Korea.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are 1) defining and classifying of wetlands, and 2) identifying the wetlands characteristics, and 3) studying cases on the natural wetlands such as Han river, DMZ(Demillitarized Zone), Upo wetland and Yong(Dragon) wetland. The results as follows: 1) Development of the indices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wetlands in encompassing in such as Ramsar Conference, US NWI(National Wetlands Inventory), Hydrogeomorphic system. 2) Development on the classifying method on the wetlands in the level of supersystem, system, subsystem, class and subclass. The systems include Palustrine and Riverine, and the subsystems are Seasonal, Permanent(Palustrine) and Impersistent, Lower perennial, Impersistent (Riverine). 3) Finally, we find out Young wetland is Palustrine/Permanent/Slope/Persistent, and Upo wetland consists of various types of wetlands, those are, Palustrine/Permanent/Depression/Forest Deciduous, Palustrine/Permanent/Depression/Shrub Deciduous, Palustrine/Permanent/Depression/Persistent, Palustrine /Permanent/Depression/Hydrophytes, and Lacustrine/Permanent/Openwater/Hydrophytes. The taxonomy of this study stems from identifying and classifying wetlands with indices mainly based on hydrologic features and substrates. So, it is needed that consequent studies are to be performed with various viewpoints. And the studying cases were limited because of the restricted entrance into the DMZ, And, we selected only 10 crucial sites in Han river as the subject for wetlands regulation and creation. And, for advanced studies, drawing up inventory and mapping are necessa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