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products

검색결과 1,456건 처리시간 0.036초

폐향나무를 이용한 수용액에서 납 이온 제거 (Removal of Lead Ions from Aqueous Solution Using Juniperus chinenensis Waste)

  • 최석순
    • 공업화학
    • /
    • 제24권4호
    • /
    • pp.428-432
    • /
    • 2013
  • 충북의 산림지역에서는 목재의 가지치기에 의하여 다량의 폐목재가 발생되고 있으나, 이러한 폐목재들은 부산물로서 특정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폐목재(참나무, 향나무, 낙엽송, 소나무) 중에서 납 이온의 제거능력이 효과적인 생물흡착제로서 향나무를 도출하였다. 또한, 폐향나무를 사용하여 수중에 함유된 납의 제거 효율을 고찰하였다. 20 mg/L 납 이온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최적의 초기 pH가 4임을 알 수 있었으며, 50 mg/L 납이온 제거를 향상을 위한 최적의 생물흡착제 주입농도가 0.6 g/100 mL임을 구하였다. 또한, 100 mg/L 이상의 고농도 납 이온의 흡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향나무의 황산 처리에 의한 화학적 개질 반응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6 M 황산으로 개질된 향나무를 이용하여 200, 400, 500 mg/L의 납을 처리하였을 때, 납의 흡착량은 각각 180, 340, 425 mg/g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수중에 함유된 납 이온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실질적인 생물흡착제기술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라이너지의 산화전분 코팅이 골판지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ner Component Coatings by Oxidized Starch on Properties of Corrugated Board)

  • 안병국;안원영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11
    • /
    • 1998
  • 산화전분을 골판지 구성원지인 표면라이너지와 이면라이너지에 각각 코팅하였으며 산화전분 코팅에 따른 골판지의 물성변화를 조사, 산화전분 코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산화전분의 코팅에 의해 골판지의 수직압축강도 뿐만아니라 파열강도도 동시에 개선될 수 있었다. 골판지의 파열강도는 구성 라이너지의 처리면에 관계없이 일정수준의 도공량에 도달할 때까지 크게 증가하다가 그 이상에서는 더 이상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표면라이너지에 처리한 골판지의 경우 도공하지 않은 골판지의 파열강도에 비해 도공량이 $2.32g/m^2$일 때 30.3%가 증가하였고 이면라이너지에 처리한 경우 도공량이 $4.84g/m^2$일 때 36.8%가 증가하였으며 표면라이너지와 이면라이너지 모두 처리한 경우 도공량이 $7.16g/m^2$일 때 39.9%가 증가하였다. 산화전분의 코팅은 골판지 원지의 섬유간 결합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고 강직성을 개선시켜 골판지 수직압축강도의 개선을 가져왔다. 구성 라이너지의 처리면에 관계없이 골판지의 수직압축강도는 산화전분 도공에 의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면 라이너지에 처리한 경우 도공량이 $1.58g/m^2$일 때 11.3%가 증가하였고, 표면라이너지와 이면라이너지 모두 처리한 경우 도공량이 $2.99g/m^2$일 때 11.9%가 증가되어 소량의 산화전분 도공에 의해서도 수직압축강도가 크게 개선되었다.

  • PDF

팝핑 전처리를 이용한 폐목재의 효소당화 (Popping Pretreatment for Enzymatic Hydrolysis of Waste Wood)

  • 김현주;조은진;이광호;김수배;배현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95-103
    • /
    • 2011
  • 본 연구는 새로운 전처리 방법인 팝핑법을 이용하여 폐목재에 처리하였고, 전처리 된 시료에 효소를 처리하여 당화 수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폐목재의 팝핑 전처리 전후의 화학적 조성 분석 결과 홀로셀룰로오스의 경우 각각 65.9%, 58.8%였으며, 리그닌과 알코올-벤젠을 이용한 유기용매 추출물, 회분의 함량은 전처리 전보다 각각 3.1%, 3.9%, 0.7% 정도 증가하였다. 그리고 폐목재의 팝핑 전처리 전과 후의 시료에 각각 효소 처리 후 환원당을 측정한 결과 팝핑 전처리를 한 경우 전처리 전보다 1.0~1.5 mg/$m{\ell}$ 증가하였다. 시료 50 mg (1%, w/v)에 대한 효소 가수분해율은 셀룰레이즈와 자일란네이즈를 50 U씩 1 : 1로 섞어 처리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팝핑 된 시료에 효소를 처리하여 가수분해되어 나온 상등액을 HPLC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팝핑 전처리 후 셀룰레이즈와 자일란네이즈를 처리하였을 때 피크가 증가하였으며, 주된 피크는 글루코스와 자일로스였다. 또한 GC 분석법을 이용하여 팝핑 후 효소가수분해 한 잔여물의 중성당 분석 결과 잔류 글루코스와 자일로스가 각각 팝핑 전보다 57.5%, 64.2% 감소하였다. 글루코스와 자일로스 당전환율은 각각 약 45.9%, 38.7%였다.

약용버섯의 계통분류 및 국내유통 Inonotus속내 종간 구별을 위한 신속동정법 개발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edicinal mushroom and taxonomical positions of their commercial products)

  • 김성윤;정민정;김기영;박재민;김문옥;문동오;이태호;이재동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2-59
    • /
    • 2005
  • 국내유통약용버섯의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이들 속 및 종간의 유연관계확립을 위하여 계통학적 정보를 지니고 있는 ITS부위의 염기서열을 밝히고 ITS1과 ITS2부위의 다양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확립하였고, 시판 I. obliquus 종의 진위여부와 계통분류학적인 유연관계 확립 및 종 특이적인 유전자 탐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약용버섯으로 주로 시판되고 있는 국내유통균주는 총 6개의 속(Phellinus, Inonotus, Sparassis, Fomes, Ganoderma, Hericium)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서 기존에 잘 알려진 상황버섯과 최근 들어 수입양이 급증하고 있는 차가버섯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일명 차가버섯으로 유통 중인 15개 제품 중 중국에서 수입되어진 59번 균주가 P. pini로 확인되었으며 일본에서 수입되어진 51, 52번 균주가 P. baumii와 P. linteus와 유사종 혹은 동일종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I. rheades(AY237731)와 I. radiatus(AY354217) 및 F. fomentarius(AY354213)는 NCBI 등록 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본 실험에서 조사되어진 30번 균주 F. fomentarius가 정확한 말굽버섯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서천 추동리 문화유적에서 채취된 숯의 수종식별과 물리적 특성 (Identific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Charcoals Excavated from Chudong-ri Site, Korea)

  • 김명진;이종신;박순발
    • 보존과학회지
    • /
    • 제24권
    • /
    • pp.13-22
    • /
    • 2008
  • 서천 추동리 문화유적내 토과목관묘에서 출토된 숯과 인근의 기와가마에서 연료로 사용되었던 나무의 숯을 채취하여 수종을 식별하고 각각의 흡습성과 가스 흡착성을 비교하였다. 총 23점의 숯 시료에 대해서 수종을 식별한 결과 토광목관묘에서 출토된 12점의 숯은 모두 활엽수 숯으로 9점이 참나무속의 상수리나무아속 계통, 3점이 팽나무속 숯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기와가마에서 출토된 11점의 숯은 모두 침엽수로 경송류의 소나무류인 것으로 식별되었다. 출토 숯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토광목관묘의 활엽수 숯이 기와가마의 소나무류 숯보다 높은 흡습성을 나타냈으며 에틸렌 가스 흡착 시험에서도 상수리나무아속 숯이 소나무류 숯보다 높은 가스 흡착성을 보였다. 토광목관묘 유구에 활엽수 숯을 사용한 이유는 침엽수 숯에 비하여 활엽수 숯이 미세 세공이 많고 비표면적이 넓어 수분과 가스 흡착력이 우수하여 묘광 내에 보다 양질의 매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기와가마에서 소나무류를 연료로 사용한 이유는 비중이 작아 재질이 연하여 연소가 잘되고 특히 재내에 다량의 수지(송진)를 함유하고 있어 발열량이 높고 비교적 화력 조절이 용이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약용작물 종자 생산 및 보급체계 개선 (See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Improvement of Medicinal Crop Seeds)

  • 장우환;박재상;마리아 로스나 울트라 루베네시아;박충범;안영섭;이상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286-294
    • /
    • 2013
  • 국민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소득 증가로 한약재 소비를 비롯한 식품과 화장품 원료로서의 산업적 가치가 커지면서 약용작물의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한, 중 FTA 체결로 인해 약용작물 시장개방의 수입증가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약용작물을 포함한 농식품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종자품종육성과 생산유통기반의 정비와 확충, 산지이용규제 완화 등의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약용산업 육성 중장기 전략과 종자관리체계의 구축에 필요한 약용작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향후 개발해야 할 중점기술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우수한 약용작물 품종 개발 및 보급으로 농업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약용작물 종자생산 및 보급에 필요한 제도정비가 필요하다. 넷째, 우량종자의 표준화 및 규격화로 약용작물의 생산유통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현재 약용작물의 소비행태는 직접적인 섭취보다 화장품, 의약품, 식품의 형태로 소비되는 패턴으로 바뀌고 있으며 규모가 점점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므로 향후 약용작물의 생산에서는 이러한 산업화 추세와 변화에 대응한 정책개발과 제도적인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스트랜드/파티클 복합체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I) - 단면구성이 기초물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Strand/Particle Composites(I) - Effect of Layer Constructions -)

  • 김유정;시부사와 타츠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1-8
    • /
    • 2000
  • 본 연구는 미이용 자원인 소경목(小經木) 조생수(早生樹) 등의 저질원료로부터 고성능을 지니는 구조용 보드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할렬 스트랜드 (S)/파티클(P) 복합체의 층구조와 S와 P의 혼합비율을 바꾼 단면구성에 따른 기초적 물성을 검토했다. 그 결과 스트랜드층을 포함하고 있는 SP 복합체의 경우, 전체적으로 휨성능(MOR, MOE)이 매우 높았다. 또 S단층 보드는 현저한 이방성을 나타내었지만 층구조가 PB에 가까워질수록 이방성은 감소하여, 7층 구조의 복합체는 이방성이 적었으며 특히 SP7은 직교방향도 휨강도가 높았다. 습윤시 휨강도 성능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박리강도(IB)는 PB가 가장 높았고, 스트랜드층을 가진 복합체는 거의 같은 값을 나타내었다. 두께팽창율(TS) 은 PB가 가장 적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표층이 P층인 구조가 S표층구조보다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복합체의 표면특성은 표층 엘리먼트의 영향을 받아, 적고 미세한 엘리먼트인 P표층의 복합체가 크고 두꺼운 S표층 복합체보다 양호하였다. S와 P의 혼합비율의 영향은, SP비(比)를 증가시켜도 강도물성(MOR, MOE, IB)은 향상되지 않으며, 오히려 저하되는 것도 있었다. 두께팽창율(TS)은 SP 비(比) 1:1 이상의 복합체에서는 S만으로 제조한 보드와 같은 정도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Print Mottle : Causes and Solutions from Paper Coating Industry Perspective

  • Lee, Hak-Lae
    • 펄프종이기술
    • /
    • 제40권5호
    • /
    • pp.60-69
    • /
    • 2008
  • The principal reasons for applying a pigment coating to paper are to improve appearance and printability. The pigment coating provides a surface that is more uniform and more receptive to printing ink than are the uncoated fibers and, in turn, both facilitates the printing process and enhances the graphic reproduction. The improvement in print quality is readily apparent, especially in image areas or when multiple colors are involved. Although pigment coating of paper is to improve the printability, coated paper is not completely free from printing defects. Actually there are a number printing defects that are observed only with the coated papers. Among the printing defects that are commonly observed for coated papers, print mottle during multi-color offset printing is one of the most concerned defects, and it appears not only on solid tone area but also half dot print area. There are four main causes of print mottle ranging from printing inks, dampening solution, paper, and printing press or its operation. These indicates that almost every factors associated with lithographic printing can cause print mottle. Among these variation of paper quality influences most significantly on print mottle problems in multicolor offset printing, and this indicates that paper is most often to be blamed for its product deficiency as far as print mottle problems are concerned. Furthermore, most of the print mottle problems associated with paper is observed when coated papers are printed. Uncoated papers rarely show mottling problems. This indicates that print mottle is the most serious quality problems of coated paper products. Overcoming the print mottle is becoming more difficult because the operating speeds of coating and printing machines are increasing, coating weights are decreasing, and the demands on high-quality printing are increasing. Print mottle in offset printing is caused by (a) nonuniform back trap of ink caused by a nonuniform rate of ink drying, referred as "back trap mottle, and (b) nonuniform absorption of the dampening solution. Furthermore, both forms of print mottle have some relationship to the structure of the coated layer. The surest way of eliminating ink mottling is to eliminate unevenness in the base paper. Coating solutions, often easier to put into practice, should, however, be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principal factors influencing print mottle of coated papers will be discussed.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base paper roughness, binder migration, even consolidation of coating layers, control of the drying rate, types of binders, etc. will be described.

마가목의 열매 추출물이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uit extracts from Sorbus commixta Hedl.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 정병희;이현용;이진하;김나영;이성열;최진태;김재헌;김종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47
    • /
    • 2003
  • Sprague-Dawley rats에 동결건조한 마가목 열매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식이에 1%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사육한 결과, 성장률과 식이섭취량에 있어서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과 triglyceride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마가목 열매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군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HDL-cholesterol과 phospholipids 및 glucose는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장 중의 triglyceride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메탄올추출물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물추출물군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간장 중의 total cholester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물추출물군과 메탄올추출물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phospholipids 함량은 물추출물군과 메탄올추출물군이 대조군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다. 분변량은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담즙산 배설은 물추출물군과 메탄올추출물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Species and Sex Identification of the Korean Goral (Nemorhaedus caudatus) by Molecular Analysis of Non-invasive Samples

  • Kim, Baek Jun;Lee, Yun-Sun;An, Jung-hwa;Park, Han-Chan;Okumura, Hideo;Lee, Hang;Min, Mi-So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3호
    • /
    • pp.314-318
    • /
    • 2008
  • Korean long-tailed goral (Nemorhaedus caudatus) is one of the most endangered species in South Korea. However, detailed species distribution and sex ratio data on the elusive goral are still lacking due to difficulty of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and sex in the field.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conomical PCR-RFLP method to identify species using invasive or non-invasive samples from five Korean ungulates: goral (N. caudatus), roe deer (Capreolus pygargus), feral goat (Capra hircus),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nd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The secondary aim was to find more efficient molecular sexing techniques that may be applied to invasive or non-invasive samples of ungulate species. We successfully utilized PCR-RFLP of partial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376 bp)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sex-specific amplification of ZFX/Y and AMELX/Y genes for sexing. Three species (goral, goat and water deer) showed distinctive band patterns by using three restriction enzymes (Xbal, Stul or Sspl). Three different sexing primer sets (LGL331/335 for ZFX/Y gene; SE47/48 or SE47/53 for AMELX/Y gene) produced sex-specific band patterns in goral, goat and roe de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olecular analyses of non-invasive samples might provide us with potential tools for the further genetic and ecological study of Korean goral and related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