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fire

검색결과 844건 처리시간 0.037초

가시권 분석을 이용한 산불감시 우선지역 선정 방안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Analyzing Priority Area of Forest Fire Surveillance Using Viewshed Analysis)

  • 이병두;유계선;김선영;김경하;이명보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26-135
    • /
    • 2011
  • 산불 감시 시설의 탐지확률을 높이고, 감시 자원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디를 감시해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 감시 우선지역을 기존 감시 시설의 가시권과 해당 지역의 산불발생 확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발생 확률이 높으면서, 가시성이 떨어지는 곳을 우선 감시 지역으로 정의하고, 퍼지함수를 이용한 변환과 가중치 부여에 의한 중첩분석을 통해 산불감시 우선지도를 생성하였다. 봉화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감시 우선 지역은 산지가 많은 북부 지역보다는 인구가 많은 중남부 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개발된 산불감시 우선지역 분석 체계는 한정된 감시 자원의 적정 배치 위치를 선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두 시기의 실측자료에 의한 산불 피해 정도 분석 (Analysis of Forest Fire Damage by Using Two Times series for Ground Truth Data)

  • 김동희;최승필;최철순;건석륙태랑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9-144
    • /
    • 2006
  • Forest fire is due to difficulty in approaching the forest fire at the time of forest fire and quite a long of time required for post-fire investigation, accurate analysis of damages to the forest area caused by forest fire is difficult to obtain. Recently, In attempt to overcome such difficulty, many researches are using satellite images. Nevertheless, it is not easy for everyone to obtain the satellite image data, and additional researches in order to verify accuracy of such data are also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for satellite image to about damages to the forest areas caused by forest fire using tile selected two data of spectral reflectance of the vegetation, gained by using a spectrometer. That is we wished to search about mistake that is apt to happen by one time eyesight observation by analyzing two datas that is used spectral radiometer 3 months and 6 months later and gets.

  • PD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Forest Fires and Non-Rainfall Days during the 30-year in South Korea

  • Songhee, Han;Heemun, Cha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219-228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forest fires and days with no rainfall based on the national forest fire statistics data of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meteorological data from the Open MET Data Portal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data.kma.go.kr) for the last 30 years (1991-2021). As for the trend in precipitation amount and non-rainfall days, the rainfall and the days with rainfall decreased in 2010 compared to those in 1990s. In terms of the number of forest fires that occurred in February-May accounted for 75% of the total number of forest fires, followed by 29% in April and 25% in March. In 2000s, the total number of forest fires was 5,226, indicating the highest forest fire activit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distribution of non-rainfall periods (days) and number of forest fires, the non-rainfall period was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0 days, 1-10 days, 11-20 days, 21-30 days, and 31 days or longer). During the spring fire danger season, the number of forest fires was the largest when the non-rainfall period was 11-20 days; during the autumn fire precaution period, the number of forest fires was the largest when the non-rainfall period was 1-10 days, 11-20 days, and 21-30 days, showing differences in the dur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by region. The 30-year trend indicated that large forest fires occurred only between February and May, an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non-rainfall period groups, large fires occurred when the non-rainfall period was 1-10 days. This signifies that in spring season, the dry period continued throughout the country, indicating that even a short duration of consecutive non-rainfall days poses a high risk of large forest fires.

The Development of Forest Fire Statistical Management System using Web GIS Technology

  • Jo, Myung-Hee;Kim, Joon-Bum;Kim, Hyun-Sik;Jo, Yun-W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83-190
    • /
    • 2002
  • In this paper forest fire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s constructed on web environment using web base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Though this system, general users can easily access forest fire statistical information and obtain them in visual method such as maps, graphs, and text if they have web browsers. Moreover, officials related to forest fire can easily control and manage all information in domestic by accessing input interface, retrieval interface, and out interface. In order to implement this system, IIS 5.0 of Microsoft is used as web server and Oracle 8i and ASP(Active Server Page) are used for database construction and dynamic web page operation, respectively. Also, Arc IMS of ESRI is used to serve map data using Java and HTML as system development language. Through this system, general users can obtain the whole information related to forest fire visually in real time also recognize forest fire prevention. In addition, Forest officials can manage the domestic forest resource and control forest fire dangerous area efficiently and scientifically by analyzing and retrieving huge forest data through this system. So, they can save their manpower, time and cost to collect and manage data.

  • PDF

Differences in Bird Communities Between Before and After Forest Fire in Tropical Dry Dipterocarp Forest of the Northeastern Cambodia

  • Rhim, Shin-Jae;Son, Seung Hun;Lee, Eun Jae;Lee, Woo-Shin;Pech, Bunnat;Kry, Masphal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5호
    • /
    • pp.563-56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ies between before and after forest fire in tropical deciduous Dipterocarp forest of Mondulkiri protected forest of the northeastern Cambodia from January to April 2009. The DBH distribution of trees were different in each DBH class. Most of the trees (> 80%) were belong to < 30 cm DBH. After the forest fire, coverage of understory layers were dramatically decreased by the fire. Total 64 species of birds were recorded, and 64 and 46 species of birds were observed before and after the fire, respectively. Observed number of individuals of bee-eaters, treepies, kingfishers, lapwings, herons, junglefowl, peafowl, prinias and warblers were decreased after the fire. The decrease of those species would be related with the change of habitat condition, such as decrease of water amount and understory coverage. For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junglefowls, peafowls, prinias and warblers, understory vegetation should be maintained in Mondulkiri protected forest, northeastern Cambodia.

Forest Fire Damage Assessment Using UAV Images: A Case Study on Goseong-Sokcho Forest Fire in 2019

  • Yeom, Junho;Han, Youkyung;Kim, Taeheon;Kim, Yongmi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51-357
    • /
    • 2019
  • UAV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s can be exploited for rapid forest fire damage assessment by virtue of UAV systems' advantages. In 2019, catastrophic forest fire occurred in Goseong and Sokcho, Korea and burned 1,757 hectares of forests. We visited the town in Goseong where suffered the most severe damage and conducted UAV flights for forest fire damage assessment. In this study, economic and rapid damage assessment method for forest fire has been proposed using UAV systems equipped with only a RGB sensor. First, forest masking was performed using automatic elevation thresholding to extract forest area. Then ExG (Excess Green) vegetation index which can be calculated without near-infrared band was adopted to extract damaged forests. In addition, entropy filtering was applied to ExG for better differentiation between damaged and non-damaged forest. We could confirm that the proposed forest masking can screen out non-forest land covers such as bare soil, agriculture lands, and artificial objects. In addition, entropy filtering enhanced the ExG homogeneity difference between damaged and non-damaged forests. The automatically detected damaged forests of the proposed method showed high accuracy of 87%.

산불방지 급수시설 설치 기준 마련에 관한 연구 (Study on Guideline of Water Supply System for Forest Fire)

  • 김동현;남송희;금시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38-46
    • /
    • 2013
  • 산불로부터 주요 산림과 시설물들을 보호하고 주변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상설 급수 및 살수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양양산불로 인해 낙산사 소실을 경험하면서 주요문화재 건축물 주변에 숲 관리와 함께 산불방지 급수시설 설치사업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였다. 하지만 기존 설치된 산불방지급수시설의 경우, 별도의 설치와 관리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지 않고 각 시공업체의 시방서를 기준으로 설치하였다. 시공업체의 시방서는 NFSC 109를 토대로 산림지역에 변형하여 설치한 것으로 광범위한 산불확산으로부터 주요시설물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에는 방호면적이 적고 호스의 이동과 동시살수에 있어 제한적인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설치되어 이용하고 있는 산불방지 급수전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들을 도출하였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성능위주의 산불방지 급수시설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산불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산불방지 급수시설의 구성을 수관화 확산방지를 위한 'Water Sprinkler Tower System', 지표화 진화를 위한 'Forest Fire Hydrant System', 'Portable Water Spray System' 3가지를 제시하였고 설치를 위한 펌프의 성능 및 부속품들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1990년대와 2000년대 건조계절의 산불발생 시공간 변화 분석 (Spatio-Temporal 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s during the Dry Season between 1990s and 2000s in South Korea)

  • 원명수;윤석희;구교상;김경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50-162
    • /
    • 2011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19년 동안에 연평균 448건의 산불이 발생하였다. 특히, 전체 산불발생건 수의 약 94%가 봄 가을철 건조계절에 동시다발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는 국가적인 산림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불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9년간 발생한 건조계절 산불을 1990년대와 2000년대로 나누어 순기에 따른 각 시군별 산불발생빈도의 시공간적 패턴을 GIS로 분석 후 1990년대 대비 2000년대의 순기별 산불발생빈도 변화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가장 높은 산불발생빈도를 나타낸 순기가 4월 초순으로 같았지만 이에 대한 지역별 산불발생빈도가 한반도 서쪽인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대전에서 27건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호남 및 인천지역에서 10건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강원 홍천에서는 4월 하순에 최대 12건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기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산불에 대한 지역별 맞춤형 산불방지대책 수립이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신문사설 분석을 통한 산불에 대한 사회적 인식연구 (Study on Korea Social Perceptions on the Forest Fires of Newspaper Analysis)

  • 김보미;박주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88-96
    • /
    • 2019
  • 본 연구는 신문 사설의 분석을 통해 산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형성하는 조건, 산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내용, 인식과 산불관리 정책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1988년 1월 1일부터 2017년 5월 15일까지 5개 중앙지에 보도된 총 44건의 산불 관련 사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형성하는 조건은 산불 관련 사설 수와 산불현상의 특징의 증감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산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산불 관련 사설의 범주와 주요 주제어, '산불관리주체'와 '산불방지대책'에 관한 사회적 인식의 내용 및 산불관리정책과의 연관성으로 나누어 Nvivo11을 통해 데이터 범주화, 단어별 사용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사용빈도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사설주제에 대한 맥락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산불이 사회적 인식을 형성하는 조건은 산불피해면적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 관련 신문사설에서 출현 빈도가 높은 주요 주제어를 기간 및 범주별로 분석한 결과 제1분석기에는 산불관리를 총체적 산림관리의 일환으로 여기며, 산불관리 주체로서 국민에게 산불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는 인식이 높은 강도로 나타났다. 제2분석기에는 산불 예방과 진화를 위한 관리 뿐 아니라 환경 생태적 시각에서 관리하려는 인식이 등장했다. 제3분석기에는 산불이 사회재난의 일종으로 관리되면서 국가가 국민을 산불로부터 보호하고, 철저하게 사회재난관리를 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사회적 인식이 점차 강화되었다. 이 같은 변화는 3차 산림기본계획에서 국민 계도를 통한 산불 예방을 목표로 한 산불관리 계획이 수립되고 4차 산림기본계획에서는 산림자원의 보호와 자연생태계 보전을 목표로 한 산불관리 계획이 추진되었으며, 5차 산림기본계획에는 인명피해 예방에 관한 산불관리계획이 수립된 것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산불관련 신문사설 분석을 통하여 산불에 대해 형성된 사회적 인식을 분석하고 산불정책과 비교해 본 결과 산불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산불관리 정책은 상호 연관성을 갖고 변화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30 ha 이상 산불피해의 분포 및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Damage over 30 ha in Korea)

  • 이형석;이시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39-46
    • /
    • 2011
  • 산불 발생에 대한 방지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과거 산불 자료의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1975년부터 2010년까지의 우리나라 산불 통계자료를 근거로 30 ha 이상 산불 피해의 분포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30 ha 이상 산불 피해의 발생건수는 1978년에 2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1970 년대 이후부터 2000년대 들어서서 산불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주로 30 ha~50 ha의 규모 정도의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강원 지역의 산불이 총 66건(37.0 %)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점밀도 분석 결과로는 강원 지역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30 ha 이상 산불 피해는 4월에 발생건수가 114건(63.0 %)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요일에 44건(24.3 %)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1975년 이후로 산불 발생 건수와 피해액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산불관련 기관에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불방지 정책 수립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