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dynamics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32초

A Comparison of Litterfall Dynamics in Three Coniferous Plantations of Identical Age under Similar Site Conditions

  • Jeong, Jae-Yeob;Kim, Choon-Sig;An, Hyun-Chul;Cho, Hyun-Seo;Choo, Gap-Chu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2호
    • /
    • pp.97-102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litterfall dynamics in three adjacent coniferous tree plantations (larch: Larix leptolepis; red pine: Pinus densiflora; rigitaeda pine: P. rigitaeda) planted in the same year (1963), and growing under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Sambong Exhibition Forests, Hamyang-gun, Gyeongsangnam-do. Litter was collected monthly between July 2006 and June 2008. Needle, broad leaf and total litter inputs followed a similar monthly pattern in the three coniferous plantations. The amounts of needles, flowers, and miscellaneous litt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larch than in the two pine plantations, while branch li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rch than in the two pine plantations. Average total litterfall for two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pine (5,475 kg $ha^{-1}\;yr^{-1}$ for red pine and 5,290 kg $ha^{-1}\;yr^{-1}$ for rigitaeda pine) plantations than for the larch (3,953 kg $ha^{-1}\;yr^{-1}$ plantation. Needle litter comprised about 73.1% of total litterfall for the rigitaeda pine, 70.8% for the red pine and 62.9% for the larch plantation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litterfall inputs can be affected by tree species.

Monitoring Mangrove Plantation along the Coastal Belts of Bangladesh (1989-2010)

  • Rahman, M. Mahmudur;Pramanik, Md. Abu Taleb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3호
    • /
    • pp.225-234
    • /
    • 2015
  • Mangroves are important coastal ecosystems and are located at the inter-tidal zones of tropical and sub-tropical belts. The global mangrove forests are declining dramatically because of the conversion of forests to shrimp farming, over-exploitation, pollution and freshwater diversion. The Bangladesh Forest Department initiated mangrove afforestation throughout the coastal belts of Bangladesh in 1966 to provide better protection for the coastal communities. Up to 1990, 120,000 ha of mangroves had been planted and it is one of the largest coastal afforestaton programs in the worl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it the spatial extent of mangrove plantation and their dynamics of changes over the last two decades using multispectral Landsat imagery. The study area covers the coastal areas of Bangladesh that is extended over the eastern part of Sundarbans up to Teknaf, the southern tip of mainland Bangladesh. Mangrove plantations were interpreted visually on computer screen and interactive delineation of forest boundary was done. The mangrove plantation area has been estimated as 32,725, 47,636 and 43,166 ha for the year of 1989, 2000 and 2010, respectively. Mangrove deforestation by human activity has increased almost six times in the recent decade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one. The mangrove forest loss due to coastal erosion has slightly declined in the 2000s. Mangroves have been lost primarily because of agricultural expansion.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mangrove plantation and the main drivers of changes in this coastal ecosystem.

Population Dynamic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at Sokwang-Ri, Uljin-Gun in Southeastern Korea

  • Yun, Chung-Weon;Bae, Kwan-Ho;Hong, Sung-Che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6호
    • /
    • pp.341-348
    • /
    • 2001
  • Population dynamics of the oldest relic stand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which remains as a status of patch in Sokwang-Ri area, Uljin-Gun, was studi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of the oldest pine stand in Korea. The upper slope site and ridge site including total 12 plots mainly represente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and Quercus mongolica. These two tree species showed reverse J-shaped distribution. From this information, it was concluded that intensive interspecific competition between two species could be occurring. Age distribution of P. densiflora for. erecta on the sites above middle slope area was indicated bi-modal type or tri-modal type which was known as an age structure of climax forest. Therefore, it was estimated that Pinus densiflora for. erecta population could be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each patch above middle slope area. In the valley sites, hardwood species such as Q. mongolica, Q. variabilis, Styrax obassi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occupied most part of the under crown-cover area and their seedlings and saplings were developing into the closed upper layer crown because the height of upper layer crown reached about 35 meters and such a high crown height was more suitable for light utilization by plants of under layer. The growth patterns were mainly fluctuated for the entire life time of the oldest tree caused by frequent disturbance. And the initial growth curves of the mature trees and suppressed juvenile trees showed different tendencies along the sites.

  • PDF

산불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소들간의 민감도 분석: 시뮬레이션 연구 (Sensitivity Analysis on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Forest Fire Spreading: Simulation Study)

  • 송학수;이상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8-185
    • /
    • 2013
  • 산불은 대표적인 산림생태계의 재해 중 하나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바람 및 나무의 종류, 다양한 지형 요소들이 산불 발생 시 급진적 확산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다. 산불의 빠른 확산은 생태계 교란 및 재산 피해, 인명 피해 등을 야기 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산불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 요인이 고려된 산불 패턴 가상 시뮬레이션 단순 모델을 제안하였고, 셀룰라오토마타(Cellular Automata)의 격자 기반으로 구성 되었다. 모델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바람의 세기 변화, 주어진 공간에 분포해 있는 나무 전체의 밀도, 그리고, 나무들 가운데 가연성이 높은 나무의 밀도가 산불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전체 나무 밀도가 세 가지 요소 중 산불확산에 가장 민감하게 기여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바람의 영향, 마지막으로 가연성이 높은 나무의 밀도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산불확산 시뮬레이션 모델 및 분석 결과는 실제 산불 확산 및 억제 전략 수립에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아울러 좀 더 현실적인 생태학적 요소들을 모델에 고려함으로써 산불확산 예측 연구에도 이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리산(智異山) 물박달나무림(林)의 식생구조(植生構造)와 동태(動態)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a Betula davurioa Forest in Mt. Chiri)

  • 안현철;이정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45-458
    • /
    • 1998
  • 본 연구는 지리산 국립공원 오봉리 지역에서 집단적으로 분포하는 물박달나무림의 식생구조와 동태를 분석하여 물박달나무림의 경영과 분포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물박달나무림의 구조는 교목층(18종류), 아교목층(29종류), 관목층(43수종) 그리고 초본층(68종류)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위별 중요치는 교목층에서 물박달나무가 129.9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물오리나무(49.04%), 밤나무(25.58%), 졸참나무(25.02%), 노각나무(14.49%), 아교목층에서 물박달나무(70.81%), 졸참나무(37.47%), 물푸레나무(25.35%), 비목나무(24.52%) 및 노각나무(18.86%)가 높은 우점을 보였고, 관목층에서는 조릿대(28.28%), 비목(24.94%), 개윷나무(20.42%), 국수나무(19.90%), 그리고 초본층에서는 오미자(18.51%), 참취(12.26%), 애기나리(10.63%)로 우점하고 있었다. 30개 조사방형구에서 전층을 대상으로 출현 비출현에 의한 17수종에 대한 $x^2$ 검정결과 굴참나무-상수리나무, 노각나무-검노린재나무, 당단풍-신갈나무간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 밀도에 의한 Pearson 상관에서는 $x^2$ 검정에서 보다, 많은 7개 쌍의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Spearman 상관에서는 모두 18개의 상관이 있는 쌍이 인정되었다. 물박달나무림에 대한 직경급의 분포는 물박달나무림의 지속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치수 발생량이 거의 없어 앞으로 졸참나무, 노각나무 등 교목층과 아교목층을 형성하고 있는 활엽수종과 경쟁에 의하여 천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소나무림과 굴참나무림의 산림 탄소 동태 변화 추정 연구 (Estimating the Changes in Forest Carbon Dynamic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Forests in South Korea under the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 이종열;한승현;김성준;장한나;이명종;박관수;김춘식;손영모;김래현;손요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4
    • /
    • 2015
  • 산림은 많은 양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산림 탄소 동태는 기후변화에 따라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에서 가장 우점하는 침엽수종과 활엽수종인 소나무림과 참나무림을 대상으로 최근 개발 및 개선된 한국형산림토양탄소모델(Korean Forest Soil Carbon model; KFSC model)을 이용하여 두 가지 기후변화 시나리오(2012년 기온이 2100년까지 유지되는 시나리오(CT),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RCP) 8.5 시나리오) 하에서의 산림 탄소 동태를 예측하였다. 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로부터 소나무림과 굴참나무림 조사구들을 추출한 뒤, 이를 행정구역(9개 도, 7개 특별 광역시) 및 영급(1-5영급, 6영급 이상)별로 분류하여 탄소 동태 모의 단위를 설정하였다. 탄소 저장고는 2012년을 기준으로 초기화하였으며, 모의 기간인 2012년부터 2100년까지 모든 교란은 고려하지 않았다. 모의 결과 산림 탄소 저장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지만, CT 시나리오에 비하여 RCP 8.5 시나리오 하에서 산림 탄소 저장량이 낮게 나타났다. 소나무림의 탄소 저장량(Tg C)은 2012년에 260.4에서 2100년에는 각각 395.3(CT 시나리오) 및 384.1(RCP 8.5 시나리오)로 증가하였다. 굴참나무림의 탄소 저장량(Tg C)은 2012년에 124.4에서 2100년에는 219.5(CT 시나리오) 및 204.7(RCP 8.5 시나리오)로 각각 증가하였다. 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비교한 결과, 고사유기물 탄소 저장량의 초기값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 기간 동안 소나무림과 굴참나무림의 연간 탄소 흡수율($g\;C\;m^{-2}\;yr^{-1}$)은 CT 시나리오 하에서 각각 71.1과 193.5, RCP 8.5 시나리오 하에서 각각 65.8과 164.2로 추정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소나무림과 굴참나무림의 탄소 흡수잠재력은 지구 온난화에 의하여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록 모델의 구조와 파라미터로부터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는 미래 산림 탄소 동태 파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릉 낙엽활엽수 노령림의 CO2 수지 역학: 15년 관측으로부터의 교훈 (The Dynamics of CO2 Budget in Gwangneung Deciduous Old-growth Forest: Lessons from the 15 years of Monitoring)

  • 양현영;강민석;김준;류다운;김수진;천정화;임종환;박찬우;윤순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8-221
    • /
    • 2021
  • 1960-70년대 대규모 산림녹화 이후에 한국의 산림은 점차 노령화되고 있다. 노령림의 순 CO2 교환은 이론적으로 중립에 가깝지만, 교란이나 관리에 의해 CO2 흡원 또는 발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광릉 낙엽활엽수 노령림(GDK)의 CO2 수지 역학을 이해함으로써, 다음 두 가지 질문에 답하고자 하였다: (1) 보전되고 있는 GDK는 과연 이론적으로 알려져 있는 CO2 중립인가? (2) 관측된 CO2 수지의 경년 변동이 문헌에 보고된 조절 인자들과의 선형적인 인과관계로 설명이 가능한가? 이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KoFlux GDK 관측지에서 에디 공분산 기술로 2006년부터 2020년까지 15년 동안 관측된 CO2 플럭스 자료와 생기상학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GDK는 15년 자료를 평균해서 보면 약한 CO2 발원이며, 관측기간 동안 흡원과 발원 사이를 오갔으나 최근 5년 동안 CO2 발원으로서의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2) 전천일사, 생장기간, 엽면적지수의 경년 변동은 총 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on, GPP)의 경년변동과 양의 상관관계(R2=0.32~0.45)가 있는 반면, 기온과 지표면 온도의 경년 변동은 생태계 호흡(Ecosystem Respiration, RE)의 경년 변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관측기간 초반(첫 10년)의 CO2 플럭스와 기상요인 및 생물학적 요인으로 학습시킨 기계학습은 관측기간 후반(최근 5년)의 GPP와 RE의 경년 변동을 제대로 모사해내지 못했다. 단, 고사목에서 배출된 탄소 추정량이 CO2 발원으로의 전환에 일부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GDK의 장기 CO2 수지 역학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해서는, 분석과 모델링을 위한 복잡계과학 기반의 새로운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더불어, 플럭스 모니터링 및 자료 품질 유지와 함께 고사목과 교란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산림유역의 부유토사 동태 해석을 위한 이력현상 지수의 적용성 평가 (Assessing the Applicability of Hysteresis Indices for the Interpretation of Suspended Sediment Dynamics in a Forested Catchment)

  • 김기대;장수진;남수연;이재욱;김석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78-188
    • /
    • 2024
  • 산림유역의 부유토사 동태는 토지이용 변화, 산림사업, 산불, 산사태 등의 인위적 또는 자연적 교란에 따라서 다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산림유역의 부유토사 동태를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수질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중요하다. 이 연구는 부유토사 동태를 해석하기 위한 체계적인 조사 방법을 제안하고자 관측된 유출량-탁도 자료를 토대로 2가지의 이력현상 지수 산정 방법(Lawler의 방법과 Lloyd의 방법)과 5가지 추출 간격(50, 25, 10, 5, 1 퍼센타일)을 고려한 10개 산정기법의 적용성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 퍼센타일의 추출 간격을 활용한 Lloyd의 방법이 분석 가능한 유출 사상이 가장 많았으며, 성능 역시 가장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력현상 지수를 활용함으로써 유출량과 부유토사의 이력현상을 정량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유토사 동태를 해석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