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service & culinary major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9초

더덕껍질의 일반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Skin)

  • 김나영;채현석;이인숙;김동수;서강태;박성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27-1633
    • /
    • 2010
  • 본 연구는 더덕껍질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더덕껍질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더덕껍질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탄수화물 24.74%, 조단백질 2.73%, 조지방 2.96% 및 조회분 4.84%이었고 더덕껍질 100 g의 함유 열량은 266.00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64.73%로 나타났다. 또한,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633.40과 870.72 mg/100 g wet weight basis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슘, 마그네슘, 인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경우 fructose의 함량이 전체 유리당의 약 7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껍질 물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24.65\;{\mu}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19\;{\mu}g/g$으로 분석되었으며, DPPH 소거 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하여 비교 한 결과 $500\;{\mu}g/mL$ 농도에서 79.30%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환원력의 경우에는 더덕껍질 추출물이 25 mg/mL의 농도에서 3.5로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더덕껍질 물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더덕껍질을 식품 내 첨가물로서, 혹은 다른 약용으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자가판정 염섭취 그룹별 식생활 행동과 건강관련 행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ietary Behavior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of Self Perceived Sodium Intake Groups)

  • 김주현;윤혜려;강남이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11-51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ractice of dietary behavior and dining out in accordance with intake of sodium among male and female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r Chungcheong Province. A total of 53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from May to July, 2014. The SH group who responded that they eat a lot of sodium constituted 30.6% (158 people), followed by the SM group who responded that their sodium intake is about average at 55.7% (288 people) and the SL group who answered that they do not eat much sodium at 13.7% (71 people). Those in the SL group showed positive results for dietary behavior patterns. The SL group showed the lowest rate in terms of how often they eat harmful foods, including processed foods, sweet foods, salty foods, or food with high animal fat content such as pork belly. Positive results among the SL group were prominent in terms of avoiding over-drinking, regular exercise, and nutritional knowledge, indicating greater health management. The distribution of each group in terms of self-perceived sodium intak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ge, gender, and household income in terms of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regularity of meals, purchase of foods with consideration of sodium amount, frequency of missed meals, balance of food intake, and health management habits.

Evaluation of Fermented Sausages Manufactured with Reduced-fat and Functional Starter Cultures on Physicochemical, Functional and Flavor Characteristics

  • Kim, Young Joo;Park, Sung Yong;Lee, Hong Cheol;Yoo, Seung Seok;Oh, Se Jong;Kim, Hyeong Sang;Chin, Koo B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46-354
    • /
    • 2014
  • Fermented foods with probiotics having functional properties may provide beneficial effects on health. These effects are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lactic acid bacteria (LAB). Different probiotic LAB might have different functional properties.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fermented sausages manufactured with functional starter cultures (Lactobacillus plantarum 115 and 167, and Pediococcus damnosus L12) and different fat levels, an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manufacture of these products. Medium-fat (~15%) fermented sausages reduced the drying time and cholesterol contents, as compared to regular-fat counterparts. In proximate analysis, the contents of moisture and protein of regular-fat products were lower than medium-fat with reduced fat content. The regular-fat products also had a lighter color and less redness, due to reduced fat content. Approximately 35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functional fermented sausages, and hexanal, trans-caryophyllene, and tetradecanal were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Selected mixed starter culture showed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replacing the commercial starter culture (LK30 plus) in flavor profiles. However, medium-fat fermented sausage containing selected mixed starter culture tended to be less acceptable than their high-fat counterparts, due to excess dry ring developed in the surfa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combinations of L. plantarum 115 and 167, and P. damnosus L12 as a starter culture, will prove useful for manufacturing the fermented sausage.

식품 안전 인지·실천 수준에 따른 식위생 행태 및 식생활 정보 관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Food Hygiene and Interest in Dieta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Food Safety)

  • 강남이;윤혜려;김주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23-63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food hygiene and interest in dietary inform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550 college students from Seoul and the surrounding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using one-to-one interviews from September 20th to 28th, 2012. Three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food safety. The highest education level of food safety was in the active-practice group (69.6%), with 58.0% in the want-practice group and 24.6% in the low-practic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wareness and practice groups in terms of importance of food safety (p<0.001). Exactly 74.3% interest in food hygiene was measured in the active-practice group. Interests in dietary and food information were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71.4% for the active-practice group versus 24.6% for the low-practice group (p<0.001). Low-practice group showed the lowest scores for interests in organic food, pesticide-free food, low-pesticide food, slow food, LOHAS, healthy-functional food, nutritional labels, and expiration dates. In conclusion, appropriate levels of food hygiene and food safet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y the food industry according to perception of food awareness and practice of food safety.

호텔 조리부 베이커리 조리사의 이직요인에 관한 연구 (Turnover Factors among Bakery Employees at Tourist Hotels)

  • 민계홍;안호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5-23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s of bakery employees quitting their jobs at hotels in order to make more efficient use of human resources by increasing personnel management efficiency and reducing the turnover rat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mployees working for bakeries at top-ranked hotels, and the responses from 266 responden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 through 20, 2003.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ata handl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salaries, their turnover intention was influenced by whether they were properly paid or gained a sufficient living. Second, as for environmental factors, their turnover intention was affected by performance appraisal and interpersonal trust with colleagues. Third, regarding job-related factors, their turnover intention was impacted by the clarity of their job definition, their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the suitability of their posts. Fourth, the change of job was influenced by the desire for a job in another region, in another company and of another kind. To successfully manage employee turnover at hotel bakeries, employees should be properly paid, and different performance appraisal standards, including a multilateral evaluation system,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department. furthermore, there should b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sales and other works, and they should be carefully treate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그룹에 따른 소금관련 영양지식, 식태도, 식행동 비교 연구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alt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style Groups)

  • 윤혜려;강남이;김주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3-341
    • /
    • 2016
  • Purpose: In this study, we comparatively investigated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alt according to the types of dietary life style for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y 1 to July 31, 2014 among 500 adults aged >19 years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reas. Results: Factor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style, indicated 4 factors including food convenience factor, food information emphasis factor, behavior factor of pursing food taste, and food purchase standard factor, which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differentiated dietary life style types; group 1 emphasized convenience and diversity of food, and price sensitiveness. and included subjects who had low interest in health and nutrition and were less likely to take care of their health through regular exercise,; group 2 emphasized food ingredients, food additives, usage and food purchase standards. and included subjects who were more likely to take care of their health through exercise and showed lower intake of fast food and less cases of eating out.; and group 3 showed relatively higher tendency toward dietary life style factors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in sodium intake differed according to dietary life styles,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etary practice of sodium intake. Conclusion: Nutrition education on the healthy dietary habit of reducing sodium intake be based on ge and gender. In addition, an effort is required to improve behavior, interest, 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important tendencies of the dietary life style.

이태리 레스토랑의 메뉴선택 속성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Menu Selection Factors of an Italian Restaurant on Satisfaction)

  • 민계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3-25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주지역 이태리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메뉴 주문시 선택 속성에 관한 중요 내용을 알아보고, 이태리 레스토랑의 이용 형태와 각 메뉴 구성별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분석을 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태리 레스토랑 메뉴 주문시 선택 속성에 관한 중요도에서는 요인분석에서 건강관리 요인, 서비스관리 요인, 음식관리 요인, 메뉴관리 요인으로 명명하였는데, 만족도 검증 결과 건강관리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태리 레스토랑 이용형태에서는 이태리 음식의 인지도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방문 횟수는 한 달에 1회- 2회, 주 동반인은 가족, 이용 목적은 식사를 하기 위해서, 음식에 대한 정보는 구전을 통해서 정보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태리 메뉴 중에서 각 메뉴별 좋아하는 음식으로는 안티파스토에서 모짜렐라 치즈요리, 수프에서는 아스파라거스 크림 수프, 파스타에서는 크림소스의 스파게티 까르보나라, 피자에서는 모짜렐라 치즈와 살라미, 검정 올리브, 토마토 소스를 얹어 구운 피자, 샐러드는 모짜렐라 치즈 토마토 샐러드, 주요리 중에서 육류는 쇠고기 안심 스테이크, 생선요리는 광어요리, 후식에서는 신선한 과일과 티라미슈를 좋아하는 음식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고객들이 이태리 레스토랑을 방문했을때 메뉴 선택시 중요하게 이루어지는 내용을 조사대상자 표본 집단별로 분석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이 되어야 하겠다.

  • PDF

모바일쿠폰 특성이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쿠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Mobile Coupon on the User's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of Use Mobile Coupon)

  • 정선미;김현규;김영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92-203
    • /
    • 2016
  • 본 연구는 모바일쿠폰 사용자 특히 외식기업에서 제공하는 모바일쿠폰 사용자의 쿠폰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모바일쿠폰의 특성과 지각된 유용성 그리고 쿠폰 사용의도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정하고, 그 시사점을 찾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모바일쿠폰 특성, 쿠폰의 유용성과 쿠폰 사용의도 등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으며, 실증조사는 2016년 5월 17일부터 21일까지 외식모바일쿠폰 사용경험이 있는 부산지역 거주자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241부 가운데 부적절한 응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22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조사 분석결과, 모바일쿠폰 사용자가 지각하는 모바일쿠폰 특성으로는 쿠폰 획득용이성, 쿠폰 사용편리성, 쿠폰의 경제적 가치요인을 확인하였다. 모바일쿠폰 특성과 지각된 유용성 그리고 모바일쿠폰 사용의도간의 영향관계 확인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바일쿠폰 특성 가운데 경제적 가치와 획득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모바일 쿠폰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쿠폰 특성사용자가 지각하는 모바일쿠폰 유용성은 모바일쿠폰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 이태리 레스토랑의 메뉴 품질 만족도가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enu Quality of Hotel Italian Restaurants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 민계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2-10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한 대표적인 특1급 호텔 이태리 레스토랑의 메뉴 품질이 고객 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조사 기간은 2009년 6월 20일부터 6월 26일까지 7일 동안 이태리 레스토랑을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이태리 레스토랑의 선택 기준은 음식의 맛이며, 이태리 레스토랑의 메뉴 품질에 대한 총 45개의 변수를 가지고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메뉴 구성 요인, 음식 품질 요인, 메뉴 서비스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이태리 레스토랑의 메뉴 품질 중에서 메뉴 구성과 메뉴 서비스가 고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 만족은 재방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태리 레스토랑의 메뉴 품질 중에서 메뉴 구성은 재방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음식 품질과 메뉴 서비스는 재방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서울 시내에 소재한 특1급 호텔 이태리 레스토랑으로 지역을 제한하여 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이태리 레스토랑의 메뉴 품질을 대표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외식업체의 이태리 메뉴 품질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이 되어야 하겠다.

  • PDF

들깻잎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Noodles With Perilla Leaves)

  • 김창열;최상호;김정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2-19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효능과 기능성 및 향균작용이 있는 �牡牡� 생면에 첨가하여 최적의 조리적용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생면에서 수분함량의 결과는 생 깻잎 즙 0%를 첨가한 대조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동결 건조한 분말 7% 첨가한 생면이 가장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 생 들깻잎을 첨가한 생면은 시료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pH가 증가 하였다. 생 들깻잎을 첨가한 생면과 동결 건조한 들깻잎을 첨가한 생면은 L값은 생 들깻잎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그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값은 생 들깻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 들깻잎을 첨가한 생면의 중량은 생 들깻잎을 첨가할수록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피의 경우는 중량과 정반대의 결과를 나타냈다. 탁도의 경우는 생 깻잎과 동결 건조한 깻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탁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 깻잎을 첨가한 생면의 경도(Hardness)는 생 깻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탄력성(Springiness)과 씹힙성(Chewiness), 응집성(Cohesiveness)은 생 깻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깻잎 생즙, 동결 건조 �牡�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생면을 미생물 변화는 저장 0일에는 모든 첨가군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깻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미생물 균의 수가 줄어들었다. 생 들깻잎을 첨가한 생면의 관능검사를 결과는 외관(Appearance)과 향(Flavor), 색(Color), 맛(Taste), 조직감(Texture)은 9% 첨가가 모든 부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전체적인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9% 첨가가 7.67로 가장 높았고, 동결 건조한 들깻잎을 첨가하여 제조한 조리면의 외관, 냄새, 색, 맛, 조직감, 전반적인 품질을 평가항목으로 관능검사를 결과는 외관(Appearance)과 향(Flavor)은 3% 첨가가 7.60으로 가장 높았다. 색(Color)과 맛(Taste)은 3% 첨가가 7.67로 가장 높았다. 조직감(Texture)은 3%와 5% 첨가가 6.87, 6.20로 가장 높았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3%첨가가 7.07로 가장 높았다. 생들깻잎은 9% 첨가시, 동결건조 깻잎은 3% 첨가시 최적의 맛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