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borne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24초

손의 미생물 오염도의 경시적 변화 - 조리종사자를 중심으로 (Changes of Microbial Load on the Hands of Food Preparers)

  • 김종규;박정영;김중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4-159
    • /
    • 2011
  • 부적절한 식품취급과 불량한 손 위생관리는 식품매개성 질환 발생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조리 중 손의 미생물(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분변성대장균군,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 오염도의 경시적 변화를 알아 보고자 수행되었다. 시료 채취는 음식점 조리종사자 20명의 왼손과 오른손에서 조리 전부터 조리 후까지 2시간 간격으로 glove-juice method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미생물 시험은 식품공전에 따라 수행하였다. 손의 미생물 오염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조리 전과 8시간 후에 높게 나타났다(p < 0.05). 왼손보다 오른손에서 미생물 오염도가 일관되게 높았다. 일부 조리종사자의 손에서 총대장균군 분변성 대장균군,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가 검출되어 손 위생관리가 불량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는 이들 조리종사자의 손이 조리 중 미생물 전파매개 체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또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들 조리종사자의 손 위생관리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이 더 필요함을 제시한다.

상추와 생산환경의 미생물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Cultivation Area)

  • 김세리;이지영;이서현;김원일;박경훈;윤혜정;김병석;정덕화;윤종철;류경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9-295
    • /
    • 2011
  • 본 연구는 상추를 대상으로 재배~수확 후 단계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이천지역 상추농가와 수확 후 처리시설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E. coli)과 병원성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을 조사하였다. 상추 생산과정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 일반세균수 수준은 4.0 log CFU/(ml, g, $100\;cm^2$, hand)이었다. 또한 수확 후 처리시설에서 사용되는 장갑에서 E. coli가 3.5 log CFU/hand로 비교적 높게 검출되었고, B. cereus는 토양과 저울에서 각각 3.5 log CFU/g, 2.6 log CFU/$100\;cm^2$로 타시료에 비해 높았다. 특히 정식 후 10일 째 상추의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및 B. cereus의 오염수준이 정식 후 62일째 상추 보다 각각 l.19, 1.87, and 1.94 log CFU/g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및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상추의 유해 미생물 오염은 생산단계부터 발생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유해미생물의 오염을 사전에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산에서부터 소비까지 위해요소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냉장 온도에서 생육, 습식숙성육, 건식숙성육의 저장 안전성 (Storage Stability of Raw Beef, Dry-Aging Beef, and Wet-Aging Beef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 안설빈;황선혜;조용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0-176
    • /
    • 2020
  • 생육, 습식 숙성육, 건식 숙성육을 종류별 3종을 구입하여 냉장 상태로 보관하면서 pH, 휘발성 염기질소(VBN), 미생물 정량, 우점균을 분석하였다. 초기 생육, 건식 숙성육의 중온균은 3.3-3.9 Log CFU/g, 습식 숙성육은 경우 5.4 Log CFU/g 이였으나, 냉장으로 18일 보관 후 생육과 건식 숙성육에 존재하는 중온균은 6.1-6.4 Log CFU/g로 증가하였다. 습식 숙성육의 경우 Lactic acid bacteria (LAB)는 냉장 보관시 4.5-6.0 Log CFU/g으로 나타났으나, 건식숙성육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중온균, 저온균, LAB, 효모 및 곰팡이 수가 증가하였으나, 식품매개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식육의 오염 및 부패 판단은 7 Log CFU/g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어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12일 이상 냉장 보관하였을 경우 6-7 Log CFU/g으로 기준을 초과하였다. 이 때 VBN이 평균 15 mg%으로 부패의 초기 단계로 판단 할 수 있었다. 냉장 보관에 따른 우점 미생물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냈다. 생육에서는 초기 우점균으로 S. saprophyticus가 분석되었으나, VBN이 증가함에 따라 Carnobacterium divergens가 우점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습식 숙성육에서 Carnobacterium divergens가 냉장보관 초기에 우점 미생물로 분석되었으나, 이후 Lactobacillus sakei가 우점균으로 분석되었다. 건식 숙성육의 경우 Dermacoccus nishinomiyaensis가 냉장보관 초기에 우점하였으나 이후 Pseudomonas fragi가 우점균으로 변화하였다. 부패의 초기 단계에서 특정 박테리아의 역할 외에도 부패, 향기 분석 및 숙성 육류의 성분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숙성 육류의 안전한 유통 및 보관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식육제품 제조용 천연 부재료 및 적색 와인이 분쇄 우육에 접종된 병원성 미생물의 방사선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Ingredients and Red Wine for Manufacturing Meat Products on Radiation Sensitivity of Pathogens Inoculated into Ground Beef)

  • 윤혜정;김현주;정연국;정사무엘;이주운;조철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19-82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식육제품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7종의 천연 부재료와 적색 와인이 분쇄우육에 접종된 병원성미생물의 $D_{10}$값과 상대적 방사선 감수성(relative radiation sensitivity; RRS)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병원성미생물은 S. Typhimurium, E. coli, L. monocytoges 및 S. aureus 균주였으며, 분쇄우육에 첨가한 천연물은 마늘, 양파, 후추, 고추, 생강, 파, 당근 및 적색와인이었다. 분쇄우육에 접종된 E. coli의 $D_{10}$값은 5% 수준의 마늘을 첨가하였을 경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RRS=1.460), 당근(RRS=1.086)과 적색와인(RRS=2.864)의 첨가 또한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사용된 천연물은 L. monocytogenes의 방사선 감수성 증진에 효과적이었으나 S. aureus의 감수성 증진에는 마늘, 양파, 고추, 당근 및 적색와인만이 효과를 보였다. 특히 분쇄우육에 적색와인의 첨가는 S. Typhimurium 이외의 나머지 3가지 병원성미생물의 감수성 증진에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당 설비와 기구의 미생물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s on the Facilities and Utilities of Korean Restaurants)

  • 정동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11-1618
    • /
    • 2005
  • 일반 음식점인 한식당의 시설과 기구의 미생물 오염도를 확인하기 위해 부산지역에서 세곳의 대형한식당을 선정하여 여름기간 중 위생평가를 실시하였다. 총 175개의 Swab 샘플이 식당의 시설과 기구의 표면에서 채취되어 총균수와 대장균군수가 측정되었다. 또한 식당내부의 공기속에 존재하는 총균, 대장균군, 포도상균 그리고 곰팡이와 효모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36개의 공기샘플이 채취되었다. 모든 채취된 샘플은 아이스박스에 담기어 실험실로 이송되어 분석되었다. 실험결과 대부분의 Swab된 표면들이 많은 수의미생물과 대장균군에 의해 오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생물의 오염정도는 샘플이 채취된 장소별로 차이가 있었다. 총균수 측정결과200$cm^{2}$의 단위면적당 검출되지 않는 것에서부터 최고 2.14$\times$$10^{9}$의 수치가 관찰되었고 대장균군인 경우에는 검출되지 않은 것에서부터 최고 8.34$\times$$10^{7}$의 수치가 검출되었다. 한식당의 공기오염도 측정결과 대부분의 측정 지역에서 일반세균, 대장균군, 포도상구균 그리고 곰광이와효모가 검출되었다. 미생물에 의해 심각하게 오염된 부분은 바닥, 트렌치, 물병내부, 플라스틱 소쿠리, 고무장갑, 선반 그리고 포장되지 않은 물수건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장소는 위 생표준작업기준의 관리점으로 지정하여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만 할 것이다. 또한 식중독사고의 발생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육안검사와 더불어 주기적인 미생물 검사가 식당의 오염도가 높은 장소에서 수행되어져야만 할 것이다.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Microbial/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ersistence of Human Norovirus during Cabbage Kimchi Fermentation

  • Lee, Hee-Min;Lee, Ji-Hyun;Kim, Sung Hyun;Yoon, So-Ra;Lee, Jae Yong;Ha, Ji-H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1호
    • /
    • pp.2019-2027
    • /
    • 2017
  • Recently, cabbage kimchi has occasionally been associated with the foodborne diseases of enteric viruses such as human norovirus (HuNoV).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icrobial/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ersistence of HuNoV in experimentally contaminated cabbage kimchi fermented and stored at $4^{\circ}C$ or $10^{\circ}C$ for 28 days. Changes in organic acid content, lactic acid bacteria (LAB), acidity, pH, and salinity were analyzed. The recovery of structurally intact HuNoV was examined for up to 28 days post-inoculation, using a NoV GII.4 monoclonal antibody-conjugated immuno-magnetic separation method combined with quantitative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On day 0, LAB loads were $4.70log_{10}$ colony forming units/g and HuNoV GII.4 titers were $2.57log_{10}\;genomic\;copies/{\mu}l$, at both temperatures. After 28 days, intact HuNoV titers decreased to 1.58 ($4^{\circ}C$) and $1.04(10^{\circ}C)log_{10}\;genomic\;copies/{\mu}l$, whereas the LAB density increased. This correlated with a gradual increase in lactic acid and acetic acid at both temperatures. Our findings support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recovery of structurally intact HuNoV GII.4. Moreover, we determined that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and low pH could affect HuNoV GII.4 titers in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However, HuNoV GII.4 was not completely eliminated by microbial/physicochemical factors during fermentation, although HuNoV GII.4 was reduced. Based on this, we speculate that the persistence of HuNoV GII.4 may be affected by the continually changing conditions during kimchi fermentation.

시판 식물성 식품의 오염지표세균 분포 및 저장온도, 기간별 오염지표세균의 변화 (Distribution of Indicator Organisms and Influence of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in Commercial Plant Food)

  • 이용욱;박석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
    • /
    • 1999
  • There were few data for the distribution of the indicator organisms in the commercial plant foods, and for the normal flora and for the foodborne agents within the country. First of all it must b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he indicator organisms. And also it is very important to prepare the sanitation criteria for the plant foods through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and the investigation of tendency to change of the indicator organisms according to the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The average number of total viable counts for grains was 2.9$\times$105/g, psychrophilic bacteria 2.9$\times$105/g, heterotrophic bacteria 3.1$\times$105/g, heat-resistant bacteria 2.1$\times$103/g, Pseudomonas aeruginosa 23/g. That for beans was 6.3$\times$102/g, psychrophile 34/g, heterotroph 1.7$\times$102/g. That for sesames was 1.4$\times$105/g, coliform 350/g, psychrophile 7.4$\times$104/g, heterotroph 5.8$\times$104/g, Pseud. aeruginosa 2.3$\times$103/g. heat-resistant bacteria 150/g. That for potatoes was 2.0$\times$107/g, coliform 5.0$\times$104/g, psychrophile 1.8$\times$107, heterotroph 1.4$\times$107/g, heat-resistant bacteria 3.3$\times$104/, Staphylococcus 2.7$\times$105/g, fecal streptococcus 4.5$\times$103/g, Pseud. aeruginosa 7.0$\times$103/g. That for mushrooms was 1.2$\times$108/g, psychrophile 9.4$\times$107/g, heterotroph 1.0$\times$109/g, heat-resistant bacteria 1.6$\times$105/g, Pseud. aeruginosa 1.3$\times$103/g. That for vegetables was 5.9$\times$1011/g, coliform 1.8$\times$106g/, Staphylococcus 1.1$\times$1012/g, heterotroph 8.4$\times$1011/g, heat-resistant bacteria 7.6$\times$106/g, Staphylococcus 1.1$\times$107/g, fecal streptococcus 1.1$\times$104/g, Pseud. aerugniosa 5.2$\times$104/g. That for nuts 3.9$\times$104/g, coliform 3.9$\times$103/g, psychrophile 4.0$\times$104/g, heterotroph 3.2$\times$104/g, heat-resistant bacteria 400/g. In commercial grains and beans, SPC, psychrophile, heterotroph and heat-resistant bacteria stored at 1$0^{\circ}C$, 2$0^{\circ}C$, 3$0^{\circ}C$ were constant. Staphylococcus, coliform, Pseud. aeruginosa were decreased a little n grains, but were not detected in beans. In mushrooms, all indicator organisms were increased as time goes on and were increased rapidly at 2$0^{\circ}C$. In sesames, coliform was not detected at all temperature. psychrophile was increased for 7 days, the others were constant. In potatoes, SPC, psychrophile, heat-resistant bacteria, heterotroph had a tendency to increase and the others were constant. In vegetables, indicator organisms were had a tendency to increase, psychrophile, heterotroph were rapidly increased after 7 days. In nuts, SPC, coliform, psychrophile heterotroph, heat-resistant bacteria, Pseud. aeruginosa were constant, staphylococcus and fecal streptococcus were not detected.

  • PDF

빙과류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에 대한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Edible Ices on the Microbiological Risk Factors)

  • 김태웅;최재호;김재명;;;박경진;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6-93
    • /
    • 2009
  • 본 연구는 HACCP 의무적용품목 중 빙과류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HACCP 적용업체의 경우 원재료, 살균 전 혼합물, 살균 후 혼합물 및 완제품에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대장균군에 대한 오염수준이 비적용 업체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B. cereus, S. aureus, Y. enterocolitica 등의 식중독 미생물은 HACCP적용업소나 비적용 업소 중 1제품에서 S. aureus균이 검출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HACCP 비적용 E회사에서 원재료와 살균 전 혼합액에서 각각 1제품에서 S. aureus균이 검출되어 위생상태가 HACCP 적용업소에 비하여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신선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 특성 (Microbial Quality of Fresh Vegetables and Fruits in Seoul, Korea)

  • 홍채규;서영호;최채만;황인숙;김무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4-2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11년 3월에서 11월 사이에 서울지역에서 유통된 신선 채소류 187건을 대상으로 일반미생물과 식중독균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중온균은 2.5-9.4 log CFU/g의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세균수가 6 log CFU/g 이상인 시료는 모두 115건(61.5%)으로 나타났고, 가장 균수가 높은 시료군은 미나리였다. 호냉성균은 중온균과 유사한 패턴으로 검출되었으며 범위는 2.3-8.9 log CFU/g로 나타났다. 총대장균군은 시료의 90.9%에서 검출되었으며, 평균함량은 3.2 log CFU/g 이었다. 대장균은 24건(12.8%)에서 검출되었으며, 상추, 미나리, 쑥갓에서 각각 19.1, 16.7, 13.3% 검출되었다. $C.$ $perfringens$는 20건(10.7%), $S.$ $aureus$는 15건(8.0%)이 검출되었으며, $Salmonella$ spp.는 5건(2.7%)이 검출되었다. $L.$ $monocytogenes$는 과일류(토마토)에서 1건이 검출되었으며, $E.$ $coli$ O157:H7은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 세균과 대장균이 중복해서 검출된 경우는 8건(4.3%)이었다.

Systematic analysis 방법을 이용한 국내 엽경채류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분석 (Systematic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Leaf and Stem Products in Korea)

  • 성승미;민지현;김현정;윤기선;이종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06-313
    • /
    • 2017
  • 본 연구는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수준에 관하여 체계적인 연구분석(systemic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비가열 농산물의 위생안전관리를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인쇄된 관련 연구논문을 NDSL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 리뷰, 자료 정리, 분석 및 결과 정리하였다. 농산물 분류체계를 비교 조사하여 미국의 IFSAC (Interagency Food Safety Analytics Collaboration)의 식품분류체계에 따라 국내 농산물을 분류하였다. 선정된 22건의 논문 내 89건의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분류체계 내에서 국내 농산물에서 총균수 수준이 높고 대장균 오염이 가장 많은 농산물은 엽경채류와 새싹 발아채소(sprouts)로 나타났다. 단체급식에서 생채소로 소비되는 엽경채류에서 단체급식의 다소비 농산물로서 식중독과 연관성이 높은 품목인 상추, 부추, 배추에 관하여 미생물에 관한 자료 검색, 수집, 선정 및 분석 결과 최종 33편의 논문에서 미생물의 정량적 수준은 총균수 4.15~ 7.69 log CFU/g, 대장균군 1~6.99 log CFU/g, B. cereus 0.51~3.9 log CFU/g으로 나타났다. GAP 데이터 기반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문헌조사 결과 퇴비, 토양, 작업자 손, 장갑이 주요 영향인자로 나타났다.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관리를 위하여 전문가 의견과 문헌조사를 통하여 GAP도입, 취약 품목의 미생물학적 분석계획, 토양으로부터 작물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작물생산방식 도입 및 실행규범 준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