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safety training and education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교 영양사의 학교급식 관리활동수준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Dietitians' Management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 추윤정;이중희;윤지현;류시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46-55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foodservice management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dietitians in elementary schools. Out of 13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in Incheon, 127 were returned and analyzed ($98\%$ response rate). The questionnaire included two multiple-item scales for measuring foodservice management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All the items in the scales were coded 1 to 5 for 'certainly no', 'no', 'neutral', 'yes', and 'certainly yes' and grouped by using factor analyses. Most of the responding dietitians were working for schools in urban areas and have independently managed on-site kitchens. The 19 items on food service management activities were grouped into 6 factors and the mean scores of the levels of Personnel Hygiene Management, Education & Training, Sanitation & Safety Management, Menu Quality Management, Service Management, and Environment Management were 4.76, 4.26, 4.24,4. 05, 3.61 and 3.39, respectively. The 23 items on job satisfaction were grouped into 4 factors and the mean scores of the satisfaction levels of Systematic Environment, Job Duty, Job Condition, and Physical Environment were 3.38, 2.83, 2.53, and 2.08, respectively. Overall, the levels of food service management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254 (p > 0.01). In particular, satisfaction levels on job duty itself and systematic environmen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overall management activities. The results suggest that improving dietitians' job satisfaction could increase the levels of management activities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resulting in quality improvement of school food service.

도축장에서 HACCP 시행주체의 HACCP 운용수준 및 성공적 시행에 대한 인식실태 (A Awareness Survey of HACCP Implementation in the Korean Slaughterhouses)

  • 이영순;김용상;강경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5-54
    • /
    • 2002
  •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 HACCP)는 세계적으로 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가장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위생관리기법으로 널리 인정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법적으로 도축장에 연차적으로 의무적으로 적용토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HACCP를 국내 도축장에 시행하는데 있어 기본토대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HACCP이 시행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HACCP 시행주체인 영업자(124명),종업원(363명) 및 HACCP 담당공무원(170명)의 HACCP 시행능력 및 인식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HACCP의 이해정도는 도축장 영업자가 34.7%, 종업원 21.1%, 관계공무원이 57.1% 으로 공무원이 비교적 HACCP에 대한 이해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HACCP수행의지는 영업자 93.5%, 영업자 88.9%, 공무원 93.6%으로 모두 시행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도축장에서의 HACCP 수행의 가장 큰 잇점은 도축장 위생수준의 향상(54.1%), 식육판매증가(17.6%), 위생식육 생산에 대한 자긍심(9.6%), 식육수출증가(7.5%) 등으로 나타났으며, 시행시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도축장 경영난(33.2%), 도축장의 낮은 시설수준(27.3%), 종업원의 낮은 위생의식(19.4%), 및 HACCP의 이해부족(12.3%)으로 나타났다. 현 시점에서 도축장에서 효과적인 HACCP를 시행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조치로는 도축장의 시설수준향상(36.6%), 교육과 훈련을 통한 HACCP 기반 확대(17%), HACCP시행 도축장을 위한 특혜부여(11.8%), 그리고 정부와 산업체간의 긴밀한 협조체제 (10.3%)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HACCP를 시행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도축장 영업자에게는 그들 자신만의 효율적인 HACCP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국내 도축장의 HACCP 시행여건을 체계적으로 분석·제공함으로서 정부등 관련업계에서 HACCP시행 정책 등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부산지역 요양병원 영양사의 직무수행도, 중요성인식도 및 직무만족도 (Job Performance, Perception of Job Importance, and Job Satisfaction in Dietitians Working in Geriatric Hospitals in Busan)

  • 김나영;성경미;이정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8권4호
    • /
    • pp.356-371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job performance, perception of job importance, and job satisfaction in dietitians working in geriatric hospitals in Busa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8 to June 30, 2011,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age of over 41 group showed higher job performance in terms of sanitation and safety management than the age of under 25 group but showed lower job performance in terms of nutrition management than the age of 31~40 group. The subjects who worked for shorter than 2 years at their present jobs showed the lower job performance in terms of menu management and accounting management than the other groups, whereas those who worked in 'over 200 bed' hospitals showed the higher job performance in terms of sanitation and safety management than the others. The subjects who worked for longer than 6 years showed the higher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working environment than the others. Job performa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 of job importance, whereas it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More work experience correlated with a higher monthly income, and younger workers showed higher job performance. Younger age and more work experience at a present job correlated with a higher perception of job importance. More work experience at a present job, higher monthly income, and shorter work experience were correlated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adopt training programs for appropriate nutrition service and provide continuous education program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전북지역 영유아 보육시설의 급식관리 실태평가 (Assess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the Educare Centers in Jeonbuk Province)

  • 이영은;김향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7-233
    • /
    • 1998
  •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52 educare centers in Jeonbuk province were evalua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and guidelines for the standardization of foodservice management and facilities in the educare center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ly 10% of the centers investigated had the stationed dietitian, therefore most of foodservice management was not conducted by a professional personnel. The average number of kitchen employees was 1.3 and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ype(p<0.05) and size(p<0.001) of the centers, which was not enough to meet the regulation. 2. Menu planning was performed mostly(59.6%) by managers and teachers of educare centers. Food items were purchased(94.7%) and recieved(91.6%) by kitchen employees or center managers and teachers. Produced foods were also evaluated(97.7%) and distributed(100%) by kitchen employees or center managers and teachers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without any supervision of the professional personnel for the mass production. 3. Among the centers studied, 84.6% of them conduct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regularly by teachers. About 77.3% of them evaluated that these programs did not accomplish the proper training for good food habit because of the lack of nutritional knowledge(54.5%) and educational media(27.3%). 4. In general, the hygienic maintenance was evaluated as fair state to need the improvement. 5. Kitchen facilities and equipm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home cooking and did not meet the standards for institutional practices. Besides, automated machinery and tools for safety, sanitation and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were far short. 6. Log book for the foodservice management was not prepared properly, which made the systematic planning and operation of the foodservice facilities difficult.

  • PDF

은평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 청소년시설의 위생·영양 순회방문지도 및 교육 효과 평가 (Evaluation of Hygiene and Nutritional Management and Education Effectiveness of Youth Facilities registered a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Eunpyeong-gu)

  • 김혜리;김지은;한주희;황해리;황하얀;강지원;주은서;황혜영;변진영;최지은;이진아;장수영;정다운;이민영;홍완수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5-5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hygiene and nutritional management and education in the kitchen for youth facilities registered at the center. For this purpose, hygiene and nutrition management checklist scores,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rates for each training, and diet use rate were checked on a quarterly basis. Hygiene and nutrition management scores increased every quarter, with the average score in the fourth quarter reaching 89.9 points. The participation rate in youth education was high at 86.4%, and both youth and staff education showed a satisfaction rating of 4.8 points. The usage rate of the adolescent diet was 65.4%.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visiting guidance and education was confirmed, and future direction of center operation was suggested.

규제과학 및 규제과학 전문가 양성 프로젝트의 국내외 동향분석: 미국, 일본, 싱가포르, 한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rends in Regulatory Science and Regulatory Science Experts Training Projects: US, Japan, Singapore, and Korea)

  • 박재홍;신호철;김지원;김민수;도인구;임희연;이지원;이윤지;정선영;강원구;김하형;최영욱;김은영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57-267
    • /
    • 2021
  • Background: The need for regulatory science development to evaluate advanced regulatory products is gradually increasing without hindering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Creating a research environment and fostering exper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regulatory agency-led policies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regulatory science. Method: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United States, Japan, Singapore, and Korea. The literature and websites of each regulatory agency were reviewed, and the focus was on advantages and comparing advantages based on definition, development trends, and expert training projects. Results: The United States is striving to develop regulatory scienc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new pharmaceutical industry through the regulatory science report, and to foster expert both inside and outside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Japan is promoting regulatory science centered on regulatory science centers, and is focusing on researching work-related regulatory science within the Pharmaceuticals and Medical Devices Agency (PMDA) and improving employees' ability to make regulatory decisions. Singapore was aiming to improve Southeast Asia's regulatory capabilities under the leadership of Centre of Regulatory Excellence (CoRE) within Duke-NUS University. In 2021, Korea is in its early stages, starting to run a university's degree program related to regulatory science this year. Conclusion: Regulatory science should be developed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regulatory ability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with Korea's independent concept of regulatory science.

비가열냉동 당근주스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Non Heat-Frozen Carrot Juice)

  • 이웅수;권상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9-84
    • /
    • 2014
  • 본 연구는 비가열 섭취 냉동 당근주스의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생물학적 위해요소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2013년 6월 21일~2014년 3월 30일까지 약 270일간 제주도 제주시 구좌읍 소재에 있는 구좌농협에서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과채주스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하여 공정도를 작성하였으며, 원료 농산물(당근), 용수와 포장재료 입고, 보관, 세척, 분쇄, 착즙, 냉각, 내포장, 금속검출, 외포장, 보관 및 출하공정에 대하여 Fig. 1과 같이 작성하였다. 원료 당근의 세척 전, 세척 후의 Coliform group,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장출혈성대장균수를 측정한 결과 Bacillus cereus 는 세척 전 $4.70{\times}10^4CFU/g$이었으나, 세척 후 $1.02{\times}10^2CFU/g$ 검출되었으며, 나머지 병원성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자외선살균공정에서 당근주스의 유속를 변화시키면서 미생물의 변화를 시험한 결과 유속 4 L/min을 한계기준으로 결정하였다. 작업장별 공중낙하균(일반세균수, 대장균, 진균수) 시험결과 세척실의 미생물수는 20 CFU/Plate가 검출되었다. 작업자 손 세척 전후 시험결과 세척 전 일반세균수가 $6{\times}10^4CFU/cm^2$로 높게 나타났으나 손 세척 후에는 검출되지 않아 손 세척 및 소독에 대한 중요성을 교육하고 훈련해야 할 것이다. 제조설비 및 기구의 표면오염도를 검사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고, 일반세균은 포장기 노즐에서 가장 많은 $8.5{\times}10^4CFU/cm^2$ 검출되었다. 위해분석 결과 병원성미생물을 예방,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자외선살균 공정이 CCP-B (Biological)로 관리되어야 하고, 한계기준은 유속 4 L/min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Kwon의 유산균을 함유한 녹즙의 HACCP에 관한 연구에서와 같이 자외선살균 공정의 한계기준 및 이탈시 조치방법, 검증방법, 교육 훈련과 기록관리 등 철저한 HACCP 관리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농산물우수관리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Korea-Good Agricultural Practices System)

  • 윤덕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1
    • /
    • 2018
  • 우리나라에서 GAP인증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지났고, 정부는 2022년까지 전체 재배면적의 25%까지 GAP인증을 취득토록 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2017년말 기준으로 전체 재배면적의 6.3%, 전체 농가의 8.1%가 인증을 취득했는데 인증확대의 정도는 기대보다 느린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AP인증 농가에 대한 설문조사와 현장점검을 통해 GAP인증의 확대가 더딘 원인을 규명하고 GAP인증의 확대를 위하여 현 제도의 문제점 분석에 따라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인증농가는 농산물 안전과 위생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나 실제 현장실천방법에 대해서는 부적합 사항이 다수 존재하였다. 이는 인증기준의 모호성과 생산자에 대한 교육방법의 오류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GAP인증이 농가에 확대되는 속도가 느리고 소비자의 인지도가 낮은 이유는 GAP인증제도 운영의 구조적 문제로 생각되며, 이에 따른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국가주도형의 GAP인증제도를 국가주도형 민간인증제도로 전환을 할 필요가 있다. 국가는 정책, 연구 및 사후관리에 중점을 두고, 그 외 인증 및 교육, 홍보 등에 관한 실무는 출연기관 형태의 별도조직을 신설하여 담당케 할 필요가 있다. 국가는 GAP인증 확대를 위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영농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인증기관은 지정기준을 강화하여 통폐합할 필요가 있으며, 인증기관의 재정 자립도와 올바른 인증업무 수행을 위하여 신청수수료를 현실화해야 한다. 또한 인증심사원의 자격기준을 강화하고 교육체계를 정비하여 양질의 심사원을 육성해야 한다. 법령 중심의 단순화된 인증기준은 실제 실천방안 중심으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GAP인증제도의 발전적 개선을 위하여 산학관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를 통해 밀도있는 토의가 필요하며 구체적인 발전방안을 도출하여 시행함으로써 안전안심농산물 생산을 통한 국민의 먹거리 안전성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식초절임 무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Vinegared Pickle Radishes)

  • 권상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9-74
    • /
    • 2013
  • 본 연구는 식초절임 무의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생물학적 위해요소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2012년 2월 1일~6월 31일까지 약 150일 동안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식초절임 무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하여 공정도를 작성하였으며, 식초절임 무의 원료 농산물(무), 용수, 첨가물과 포장재료에 입고, 보관, 정선, 세척, 표피제거, 절단, 선별, 충진, 내포장, 금속검출, 외포장, 보관 및 출하공정에 대하여 작성하였다. 원료 무의 세척 전, 세척 후의 Coliform group,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H7, Clostridium perfringens, Yeast 와 Mold를 측정한 결과 Bacillus cereus는 세척 전 $5.00{\times}10$ CFU/g이었으나, 세척 후 검출되지 않았으며, Yeast 와 Mold 는 세척 전 $3.80{\times}10^2$ CFU/g, 세척 후 10 CFU/g로 감소되었으며 나머지 병원성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조미액의 pH(2~5)별 미생물의 변화를 시험한 결과 모든 균이 검출되지 않은 pH 3~4를 조미액의 pH로 결정하였다. 작업장별 공중낙하균 (일반세균수, 대장균, 진균수) 시험결과 내포장실, 조미액가공실, 세척실, 보관실의 미생물수는 10 CFU/Plate, 2 CFU/Plate, 60 CFU/Plate 그리고 20 CFU/Plate 가 검출되었다. 종사자 손바닥 시험결과 일반세균수 346 $CFU/Cm^2$, 대장균군 23 $CFU/Cm^2$로 높게 나타나 개인위생관리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이 요구 되었다. 제조설비 및 기구의 표면오염도를 검사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고, 일반세균은 PP Packing machin과 Siuping machine (PE Bulk)에서 가장 많은 $4.2{\times}10^3CFU/Cm^2$, $2.6{\times}10^3CFU/Cm^2$ 검출되었다. 위의 위해분석 결과 병원성미생물을 예방,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조미액 가공 공정이 CCP-B (Biological)로 관리되어야 하고, 한계기준은 pH 3~4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전통한과생산에의 HACCP 모델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에서와 같이 조미액 가공 공정의 관리기준 및 이탈시 조치방법, 검증방법, 교육 훈련과 기록관리 등 철저한 HACCP 관리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산균을 함유한 녹즙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of Green Vegetable Juice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 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924-4931
    • /
    • 2011
  • 본 연구는 유산균을 함유한 녹즙제품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에 의한 제조공정도 작성과 공정별 원료 농산물과 제조 시설에 대한 일반 세균수와 병원성 미생물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공정별 원료농산물의 원재료보관공정 단계의 4가지 시료에서 일반세균이 검출되었으며, 용수(water)는 8.67~14.67 CFU/$m{\ell}$ 검출되었다. 하지만 자외선살균공정 이후, 모든 시료는 법적기준치인 $10^5\;CFU/m{\ell}$이하로 검출되었다. 식중독균인 E. coil, E. coli O157:H7, B. cereus,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taph. aureus 실험결과, 보관공정에서 E.coli는 자외선 살균 전단계 공정까지 검출되었으며, B. cereus는 1차세척까지 일부 검출되었다. 모든 세균 및 진균류는 주원료에서 많이 검출되고 있어 주원료의 초기 균수를 최소화하는 선행관리방법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세균수와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교차 오염방지를 위한 제조설비 등의 효과적인 세척 소독방법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상기 결과을 바탕으로 유산균을 함유한 녹즙류의 일반세균 및 식중독균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중요한 공정으로 UV살균공정이 CCP로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자외선살균공정의 관리기준 및 이탈시 조치방법, 검증방법, 교육 훈련과 기록관리 등 철저한 HACCP 계획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