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and nutrition standards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1초

대구지역 성인남녀의 체내 철분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tional Iron Status of Adults in Taegu City)

  • 김성미;김정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1-199
    • /
    • 1998
  • This paper has studied the nutritional iron status of adults in the city of Taegu.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were twenty six men and women living in the city of Taegu. The iron intake was 26.1mg for men and 17.1mg for women, which were respectively 217.5% and 95% of RDA. For men heme iron was 5% and nonheme iron, 95% for women heme iron was 5.8% and nonheme iron, 94.2%. The absorption rate of dietary iron was 6.2% for men and 9.1% for women. The hemoglobin was 14.5g/dl for men and 11.9g/dl for women, and the rate of developing anemia was 8.3% in men and 57.1% in women. The serum ferritin was 57.8ng/ml with men, which was found to be normal, and 14.7ng/ml with women, which showed that 57.1% of women were in the condition of iron depletion or iron deficiency anemia. The rate of developing anemia resulting from the deficiency of serum ferritin was as high as that from the deficiency of hemoglobin. The correlation between iron intake based on the dietary record, and energy intake, vegetable protein intake and dietary fiber intake was found to be positive. So wa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ron intake, and hemoglobin, serum ferritin and urinary iron excretion.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moglobin, and hematocrit and serum ferritin. The correlation between fecal iron excretion and serum ferritin was positive. Fecal iron excretion and urinary iron excretion can be complemented by iron intake but the fact should be considered that 95% of iron intake is nonheme iron, which is difficult to absorb. Based on the above-mentioned things, serum ferritin and hemoglobin can be used as the standards of measuring anemia. As women in their child bearing years show the high rate of 57.1% of developing anemia, the more thorough nutritional education of iron is required.

  • PDF

지역별 시판 전통메주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 분포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ical Distribution of Korean Traditional Meju of Various Region)

  • 신동선;한상익;최인덕;이석기;박지영;김남걸;최혜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12-719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data on Korean traditional Meju collected from 18 regions (TM1~TM18) in Korea and to define and control quality. The shape of Meju was mostly rectangular and the weight was 0.84~2.04 kg.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showed: pH, 5.31~8.21; total acidity, 0.91~2.74%; moisture content, 4.79~42.16%; and soluble protein content, 41.37~23.48%. Hunter color values for L (lightness), a (redness), and b (yellowness) ranged from 39.07~67.92, 3.57~8.87, and 7.48~20.67, respectively. The amino nitrogen contents of all samples were in the range of 257.29 to 839.58 mg% and TM13 showed the highest content (839.58 mg%). Total viable cells, yeast and mold counts of Meju were 8.43~5.91 log CFU/g, 2.48~5.19 log CFU/g, and 3.42~7.48 log CFU/g,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it is proposed that quality standards and management of Meju fermentation conditions and information about different varieties of soybeans used should be made available.

국내산 더덕의 Tangshenoside I과 Lobetyolin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angshenoside I and Lobetyolin from Korean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 황병순;김지영;장미;김기창;박영희;황인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57-963
    • /
    • 2018
  •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has a complex chemical composition that includes polyphenols, saponins, amino acids, and other unidentified compounds. The contents of tangshenoside and lobetyolin are considered as standard of quality evaluation of Deoduk. In this study, an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two marker constituents, tangshenoside and lobetyolin. The methods for determining the standards of quality were validated by measuring their linearity, specific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precision, and accuracy using UPLC. Reversed-phase UPLC analysis was conducted quantitatively to identify individual tangshenoside and lobetyolin in Deoduk extracted with 50% (v/v) aqueous ethanol. We used 21 samples to carry out quantitative analysis of tangshenoside and lobetyolin. Based on their dry weights, the levels of tangshenoside and lobetyolin were 0.36~3.54 mg/g, 0.24~1.29 mg/g, respectively. These results will be valuable as basic data for standardization of Korean Deoduk.

국내 시중 유통 작두콩차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Sword Bean Tea Distributed in Domestic Markets)

  • 박유진;황엄지;유경단;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0-109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word bean tea available in domestic markets. Each product of sword bean tea had distinct appearance characteristics. The color, pH, brownness, and turbidity of the tea varied significantly across different products, with tea bags showing higher levels of brownness and turbid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hot water extraction ranged from 165.13 to 517.69 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100 g sample for pod tea, 999.36 to 2,054.74 mg GAE/100 g sample for tea bag tea, and 74.62 to 275.00 mg GAE/100 g sample for grain tea, respectively. Similar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 measured in terms of catechin equivalents (CE), ranged from 39.51 to 65.00 mg CE/100 g sample for pod tea, 86.57 to 253.63 mg CE/100 g sample for tea bag tea, and 32.94 to 38.63 mg CE/100 g sample for grain tea, for hot water extraction.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d tea were 95.68 to 276.19 mg TE/100 g sample and 270.87 to 804.21 mg trolox equivalents/100 g sample, respectively, for hot water ext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establish quality standards to ensure consistent quality of sword bean tea.

아동복지시설 미취학 아동들의 신체 발육과 영향 실태 조사 (A Survey on Nutritional Status and Anthropometry of Preschool Children in Orphanage)

  • 계승희;박길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52-558
    • /
    • 1993
  • 아동복지시설 7곳의 미취학아동 70명을 대상으로 신체발육과 영양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사대상 아동들의 신장, 체중 및 멀리둘레는 한국 소아 발육 표준치보다 다소 적었으며 가슴둘레는 거의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체격발달이 일반 한국 소아의 발육에 비해 다소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식이섭취조사결과 한국인 영양 권장량에 비해 모든 아동들에게서 칼슘의 섭취량이, 또 일부 아동에게서 열량, 철분, 비타민 $B_2$의 섭취량이 다소 낮아서 이들 영양소의 섭취를 보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대상 아동들의 생화학적 검사결과 철분 결핍 팔현율은 hemoglobin으로 판정시에는 12.9%, hematocrit으로 판정시에는 18.6%이엇으며 혈청 철분 정상 판정기준 미만인 아동들은 총 인원이 4.3%에 해당하였다. 혈청 총 단백은 정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영양상태가 취약한 아동복지시설에서의 영양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양관리 담당 전문인력의 확보 및 여러 사회기관에서의 급식비에 대한 보조지원으로 아동들이 충분히 영양섭취를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여러 기관의 일반시험법에 의한 식용 타르색소의 규격 비교 시험 (Comparison of General Test Methods of Various Organs on Synthetic Food Colors)

  • 신동화;김용석;이영환;방정호;엄애선;신재욱;이달수;홍기형;박성관;최장덕;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71-175
    • /
    • 2004
  • 국내에서 유통되는 식용 타르색소 9종에 대하여 한국, 일본, 미국 및 JECFA의 색소시험법에 따라 비교${\cdot}$시험하였다. 식용색소의 물불용물 함량은 각 기관의 시험법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규격기준에 적합하였다. 식용색소 녹색제3호, 적색제3호, 청색제2호 및 황색제4호의 염화물 및 황산염 함량은 각 기관의 방법에 따라 약간 달랐지만 모두 규격기준에 적합하였고, JECFA와 미국방법에서는 분석하는데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었다. 비소 함량은 한국과 일본에서 비색법으로 비교하였으며, 규격기준이 미국 및 JECF와 달랐다. 중금속 함량은 모두 규격기준에 적합하였으나 한국은 비색법, 일본은 원자흡광도법, 미국과 JECFA는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였다. 비술폰화방향족제 1급 아민의 함량은 분석시료 모두 $0.0005\%$(aniline으로서)이하로서 규격기준($0.01\%$이하)에 모두 적합하였다.

여러 기관의 일반시험법에 의한 식용 타르색소의 규격 비교 시험 (Comparison of General Test Methods of Various Organs on Synthetic Food Colors)

  • 신동화;김용석;이영환;방정호;엄애선;신재욱;이달수;홍기형;박성관;최장덕;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4-68
    • /
    • 2005
  • 국내에서 유통되는 식용 타르색소 9종에 대하여 한국, 일본, 미국 및 JECFA의 색소시험법에 따라 비교$\cdot$시험하였다. 식용색소의 물불용물 함량은 각 기관의 시험법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규격기준에 적합하였다. 식용색소 녹색 제3호, 적색 제3호, 청색 제2호 및 황색 제4호의 염화물 및 황산염 함량은 각 기관의 방법에 따라 약간 달랐지만 모두 규격기준에 적합하였고, JECFA와 미국방법에서는 분석하는데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었다. 비소 함량은 한국과 일본에서 비색법으로 비교하였으며, 규격기준이 미국 및 JECFA와 달랐다. 중금속 함량은 모두 규격기준에 적합하였으나 한국은 비색법, 일본은 원자흡광도법, 미국과 JECFA는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였다. 비술폰화방향족제 1급 아민의 함량은 분석시료 모두 $0.0005\%$(aniline으로서)이하로서 규격기준($0.01\%$이하)에 모두 적합하였다.

대구지역 대형 식품접객업소 조리기기 및 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 of Coo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Large Foodservice Establishments in Daegu city)

  • 남은정;강영재;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4-240
    • /
    • 2006
  • 대구지역 대형식품접객업소 한식, 양식, 일식, 중식 각 3곳씩 12개 업소를 대상으로 조리기기 및 용기(칼, 도마, 행주, 집게, 바구니 등),조리종사자 손 및 조리 작업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를 분석하였다. 일부 한식당 조리수와 음용수의 일반세균 및 대장군균수가 $10^5\;CFU/mL,\;10^2{\sim}10^3\;CFU/mL$범위로 검출되어 기준치에 부적합하였다. 특히 끓여서 식힌 보리차를 제공할 경우 음용수에 대한 미생물적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양식당과 일식당의 음용수도 기준치에 부적합하였다. 모든 유형의 업소에서 대부분의 조리기구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수가 기준치인 $2.5{\times}10^3\;CFU/100cm^2,\;1.0{\times}10^1\;CFU/100cm^2$를 초과하여 위생상태가 매우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중식당의 칼, 도마에서 E. coli가 $10^1{\sim}10^2\;CFU/100cm^2$ 검출되어 이에 대한 시정조치가 필요하였다. 대부분 업소에서 맨손으로 작업하였으며 조리종사자의 손의 일반세균 수 범위는 $10^2{\sim}10^7/hand$, 대장균군의 범위는 $0{\sim}10^6/hand$로 그 수치가 높아 손에 의한 음식물의 오염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한식당 조리종사자 손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1.3{\times}10^3/hand$로 검출되어 조리종사자의 손의 위생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업대와 주방에서의 일반세균 및 진균의 공중낙하균이 최고 52 CFU/plate/10 min, 19 CFU/plate/10 min로 검출되어 작업환경 오염도가 높았으며 일부 업소에서는 냉장고 내의 공중부유물 오염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식품접객업소의 작업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이 요구되었다.

새싹채소 생산현장에서 재배공정별 미생물학적 위해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 in situ of Each Process in Seed Sprouting)

  • 전소윤;김태훈;권중호;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71-976
    • /
    • 2009
  • 건강 웰빙식품의 하나로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새싹채소류는 미생물학적 관점에서 생산단계별 위해분석과 안전성 기준이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현장에서 새싹채소의 재배공정별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분석 평가하였다. 새싹채소 종자의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수는 각각 3.04~5.21 log CFU/g, 1.80~3.86 log CFU/g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소독유무에 관계없이 재배기간 동안 일반세균(6.99~8.26 log CFU/g) 및 대장균군수(3.70~7.15 log CFU/g)는 증가하였고, 최종 새싹채소에서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소독된 종자의 발아 후 전 단계에서는 식중독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종자소독을 하지 않은 국내산 무와 유채에서 E. coli가 검출되었고, 국내산 적무에서 E. coli와 식중독균인 Bacillus cereus 및 Listeria monocytogenes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종자생산에서부터 새싹채소의 생산 전 단계에 걸친 HACCP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에 관한 효과적 교육 및 홍보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Educational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 홍진임;정희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76-189
    • /
    • 2012
  • 본 연구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홍보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인 학부모는 특별법 주요 문항을 대부분 숙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전한 어린이 기호식품 선택을 위해 가장 중요한 항목은 '어린이 기호식품의 기준 규격을 강화해야 한다'로 나타났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관련 문항은 어린이 식생활 안전분야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고, 전업주부와 핵가족은 어린이 식생활 안전분야를 (p<.01), 대가족은 어린이 식생활 영양분야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에 대한 정보취득 경로는 주로 대중매체와 가족 및 친구로 나타났고, 월수입이 높을수록 전문서적을, 30세 이상~50세미만은 대중매체를, 대졸의 경우 시민사회단체를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5). 어린이 식생활 안전교육을 받게 될 경우 위생적인 식생활 정보와 가공식품영양표시제정보를 주로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업 주부는 가공식품영양표시제정보에, 직장인은 위생적인 식생활 정보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p<.05).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을 학부모들에게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TV, 라디오 등 방송매체를 통한 홍보와 학교 교육을 통한 홍보가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구결과 어린이 식생활 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와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특별법에 대한 효율적 홍보방법으로 대중매체가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앞으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을 홍보하는데 있어서 유의해야 할 부분이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