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iations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4초

GENERIC LIGHTLIKE SUBMANIFOLDS OF SEMI-RIEMANNIAN PRODUCT MANIFOLDS

  • Nand Kishor Jha;Jatinder Kaur;Sangeet Kumar;Megha Pruthi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847-863
    • /
    • 2023
  • We introduce the study of generic lightlike submanifolds of a semi-Riemannian product manifold. We establish a characterization theorem for the induced connection on a generic lightlike submanifold to be a metric connection. We also find some conditions for the integrability of the distributions associated with generic lightlike submanifolds and discuss the geometry of foliations. Then we search for some results enabling a generic lightlike submanifold of a semi-Riemannian product manifold to be a generic lightlike product manifold. Finally, we examine minimal generic lightlike submanifolds of a semi-Riemannian product manifold.

산청 회장암과 철-티탄 광체의 구조적 특징과 발생적 관계 (Genetic Relationship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e-Ti Ore Body and the Sancheong Anorthosite, Korea)

  • 강지훈;이덕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6호
    • /
    • pp.571-588
    • /
    • 2014
  •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의 산청지역은 선캠브리아기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와 이를 관입하는 산청 회장암복합체(이하, 회장암체) 그리고 이들을 관입하는 중생대 화성암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구지역은 암주상 산청 회장암체의 서부에 위치한다. 본 연구는 산청 회장암체에 산출하는 산청 회장암(이하, SA)과 철-티탄 광체(이하, FTO)를 중심으로 노두별 상세한 야외지질조사를 수행하였으며, SA와 FTO의 엽리, 전단대, 산상 등으로부터 FTO 엽리의 성인과 이들 사이의 발생적 관계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SA와 FTO 사이의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FTO의 다중 층상구조, SA의 세립화와 관련된 직선상, 혈관상, 요철상, 직각형 블록구조의 파생세맥, 점이적이고 불규칙한 SA 블록과 FTO 사이의 설상 또는 둥근 열편상 잠입 경계면 구조, 연성전단변형이 아닌 유동적 산상의 FTO 엽리와 FTO 엽리면상의 선상배열, SA 내에 발달하는 불연속전단대, SA 블록의 경계면에 평행한 FTO 엽리의 방향성, SA 블록의 경계면을 향한 FTO 엽리의 우세한 발달, 사장석 포획결정과 포획된 SA 블록의 종횡비에 비례하는 FTO 엽리의 우세성, FTO 엽리의 유동 습곡구조.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부터 FTO가 용융체로 존재할 당시에 SA가 완전히 고화되지 않았으며, 부분 고화된 SA의 단열작용은 FTO의 파생세맥과 SA의 세립화를 초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SA 블록과 FTO 사이에 점이적이고 불규칙한 경계면은 완전히 응결되지 않은 SA 블록와 FTO 용융체 사이의 상호반응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FTO 엽리는 마그마 엽리로서 FTO 용융체와 부분 고결된 SA 블록 사이에 상호운동의 결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SA와 FTO는 성인과 시대를 달리하는 서로 다른 마그마의 관입관계가 아니라 동일시대의 동일기원 마그마의 다단계 분별정출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의미하고, FTO는 관입적인 (암)맥상과 같이 규칙적인 산상이 아니라 불규칙한 단열을 따라 주입된 매우 불규칙한 산상을 보인 것으로 해석되며, Fe-Ti 광물자원 탐사 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충북 보은군 피반령 부근 절취사면의 파괴양상에 대한 통계학적 연구 (Statistical Study of Failure-Modes around the Pibanryeong Region, Boeun-Gun, Chungbuk)

  • 정상원;최병렬
    • 지질공학
    • /
    • 제19권4호
    • /
    • pp.517-528
    • /
    • 2009
  • 충북 청원군과 보은군에 북서-남동 방향으로 관통하는 국도 25번 도로를 따라 약 5.7 km에 걸친 절취 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구간은 전 사면에 걸쳐 직접적인 보강 방법과 간접적인 보호 대책을 사용하여 사면의 안정화 대책이 수립되었다. 총 30개소의 사면에서 사면의 방향성, 엽리와 층리, 벽개 및 절리구조의 방향성을 측정하였다. 스테레오 투영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면의 주방향성(경사/경사방향)은 1) $58^{\circ}/095^{\circ}$, 2) $60^{\circ}/296^{\circ}$ 및 3) $59^{\circ}/212^{\circ}$으로 3방향성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보강과 보호 대책이 수행된 사면의 빈도수와 사면의 경사방향의 분석에서 사면은 경사방향 $80-120^{\circ}$$280-320^{\circ}$의 방향성으로 주로 분포하며 사면의 경사방향 $0-80^{\circ}$(북쪽과 북동 방향)와 $120-160^{\circ}$(남동방향)의 사면은 연구지역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분석된 사면의 3가지 주방향성에 대하여 각각 사면의 파괴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절리구조, 엽리와 층리 및 벽개구조의 교차나 교차 조합에 기인하여 여러 유형의 파괴가 발생할 수 있는 사면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주방향성 3의 사면은 모든 파괴 양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통계상 빈도수에서 가장 적으며 지형상 소규모의 사면으로 형성되어 확률상 사면의 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홍천 철-희토류광체의 발달양상 (Developmental Aspects of Hongcheon Fe-REE Ore Body)

  • 이한영;류충렬
    • 암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97-403
    • /
    • 2012
  • 홍천 자은리에 분포하는 탄산염암류 기원의 철-희토류 광화대는 북부, 중부, 그리고 남부의 3개 광체가 남-북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발달하고 있는데 지질구조 분석을 통해 이들의 분포와 연장특성을 파악하였다. 북부광체 및 중부광체 일대의 편마암에서의 엽리는 북북동 방향을 보이나, 광체의 남쪽으로 가면서 북동에서 동북동 방향으로 방향이 바뀌며 남부광체 부근에서는 다시 남-북 방향을 보이고 있다. 기하학적으로 분석되는 이 일대의 습곡은 자은교에서 새마을교 까지 북서쪽으로 오목하게, 완만하게 열린 습곡(open fold)으로 습곡축이 북서쪽으로 약 $45^{\circ}$ 침강하는 향사를 이루며, 새마을교 서측의 약수터 부근에서는 습곡축이 북서 방향으로 약 $45^{\circ}$ 침강하는 소규모의 배사를 이루고 있다. 이들 습곡은 약수터에서 새마을교 쪽으로 달리는 서북서 방향의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에 의해 단층끌림의 효과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엽리의 자세로 예측되는 습곡구조를 따라 일부 새로운 광체가 확인되므로 현재 충적층으로 피복되어져 있는 자은리 남쪽 지표상에서 미확인된 광체들이 중부와 남부 광체 사이에 엽리방향과 경사를 고려하면 거꾸로 된 기억자(ㄱ) 형태로 잠두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에서 구조적으로 해석된 광체의 추정연장선 파악은 광체 확보를 위한 시추 위치 선정과 매장량 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단열조사 및 물리검층을 통한 지표 하 단열특성 해석 (Interpretation of Subsurface Fracture Characteristics by Fracture Mapping and Geophysical Loggings)

  • 채병곤;이대하;김유성;황세호;기원서;김원영;이승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37-56
    • /
    • 2001
  • 결정질 암반의 단열망 모델 설정의 사전작업으로 단열별 특성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지표에서의 광역적 지질구조 조사와 노두에서 관찰한 단열자료를 토대로 5개의 단열군을 설정하였다. 그중, S1 단열군은 연구지역 내 지표에서 관찬되는 단열 중 가장 밀도가 높고, 연장성도 좋은 단열틀로 구성된다. S4와 S5 단열군은 편마암 내의 엽리면과 엽리면에 평행한 전단단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열길이에 대한 가중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단열군이다. 지표하 단열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5개 지점에 대한 시추작업을 실시하였고, 획득한 시추코아를 대상으로 정밀 검층을 실시해 단열과 파쇄대의 발달상황을 동정하였다. 한편, 단열과 교차하는 시추공벽의 이미지와 단열방향, 그리고 단열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텔레뷰어 검층과 시추공 물리검층을 각각 실시했다. 이 자료들을 종합하면, 지표 하에 우세하게 발달하는 단열은 세 방향의 단열(B1, B2, 그리고 B3)이며, 이들은 각각 지표의 S1, S2, S4/S5 단열군에 해당하는 단열이다. B1 단열군은 실제로는 지표 하 암반에서 매우 조밀하게 발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추공과 이 방향 단열이 평행 내지 아평행한 관계로 시추공과의 교차빈도가 낮다. 투수성 단열을 추정한 바에 의하면, B1과 B3 방향의 단열들이 지하수 투수 가능성이 있고, 이들의 교차선도 주요 지하수 유동경로를 이루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 지역에서는 엽리면과 평행한 단층을 따른 지하수 유통이 가장 지배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거창(居昌)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화성암류에 대한 연령과 주성분 광물의 화학조성 (K-Ar Ages and Major Mineral Compositions of the Mesozoic Igneous Rocks in the Vicinity of the Geochang Area)

  • 김용준;조등룡;박영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22권2호
    • /
    • pp.117-127
    • /
    • 1989
  • Devonian Geochang foliated granite and Jurassic plutonic rocks intrude Precambrian metamorphic Complex at Geochang area,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Among them hornblendes from four Jurassic plutonic bodies which have had no trace of metamorphism or deformation since their intrusion were dated by K-Ar method. Hornblende gabbro dike which intruded Anorthosite of unknown age revealed $204{\pm}10Ma$, and hornblende granite and hornblende-biotite granodiorite were $178{\pm}9Ma$ and $181{\pm}9Ma$, repectively. Also, hornblende diorite which partly showing primary foliations were $178{\pm}9Ma$, so igneous activity of Geochang area, northern part of Jirisan, were active about 180 Ma before. Microprobe data of dated hornblends and other major constituent minerals such as plagioclases and biotites were also reported, and their chemical composition showed systematic changes in terms of lithologic types.

  • PDF

Temperature and Timing of the Mylonitization of the Leucocratic Granite in the Northeastern Flank of the Taebaeksan Basin

  • Kim, Hyeong-Soo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34-449
    • /
    • 2012
  • The Mesozoic leucocratic granite in the northeastern margin of the Taebaeksan Basin was transformed to protomylonite and mylonite. Mylonitic foliations generally strike to NWWNW and dip to NE with the development of a sinistral strike-slip (top-to-the-northwest) shear sense. Grain-size reduction of feldspar in the mylonitized leucocratic granite occurred due to fracturing, myrmekite formation and neocrystallization of albitic plagioclase along the shear fractures of K-feldspar porphyroclasts. As the deformation proceeded, compositional layering consisting of feldspar-, quartz- and/or muscovite-rich layers developed in the mylonite. In the feldspar-rich layer, fine-grained albitic plagioclase and interstitial K-feldspar were deformed dominantly by granular flow. On the other hand, quartz-rich layers containing core-mantle and quartz ribbons structures were deformed by dislocation creep. Based on calculations from conventional two-feldspar and ternary feldspar geothermometers, mylonitization temperatures of the leucocratic granite range from 360 to $450^{\circ}C$. It thus indicates that the mylonitization has occurred under greenschist-facies conditions. Based on the geochemical features and previous chronological data, the leucocratic granite was emplaced during the Middle Jurassic at volcanic arc setting associated with crustal thickening. And then the mylonitization of the granite occurred during the late Middle to Late Jurassic (150-165 Ma). Therefore, the mylonitization of the Jurassic granitoids in the Taebaeksan Basin wa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Honam shear zone.

안동지역의 암종별 선구조선과 불연속면의 방위특성 (Orientations of Tecto-lineaments and Discontinuities for Different Rock Types in Andong Area)

  • 김교원;임명혁
    • 지질공학
    • /
    • 제16권1호
    • /
    • pp.23-30
    • /
    • 2006
  • 현장 지표지질조사 수행 전에 지질구조를 사전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항공사진과 위성영상자료가 이용되는데, 이는 사전 및 시 공 중 현장 조사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이다. 화성암, 퇴적암 및 변성암이 인접하여 노출되는 안동지역의 항공사진에서 추출한 847개 선구조선의 방향성과 현장 지표지질조사에서 측정한 1,940개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분석한 결과, 방위는 어느 정도 상관성을 보이나, 선구조선의 방향성은 암반의 종류와 불연속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즉, 지표지질조사에서의 불연속면은 항공사진에서 선구조선으로 판독되지 않는 것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암반의 종류와 불연속면의 종류별 선구조선의 방향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불연속면의 영향을 크게 받는 터널, 사면 등 지반구조물의 합리적인 건설을 위하여서는 항공사진 분석과 동시에 현장 지표지질조사에서 암반의 종류 및 불연속면의 종류에 따른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이 필요하다.

Late Pleistocene Fluvial Sequence in South Korea

  • Kim, Ju-Yong;Yang, Dong-Yoon;Nahm, Wook-Hyun;Lee, Yung-Jo;Park, Ji-Hoon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3호
    • /
    • pp.33-42
    • /
    • 2004
  • In South Korea a Pedo-sedimentary Sequence(PS) indicating the Last Glacial Maximun(LGM) is typified y a brown to dark brown, relatively stiff paleosol layers formed by repetitive freezing and thawing processes which in turn left characteristi glossic textures in soil-solum, polygolnal structures with a flagipans, vertical soil wedges or freezing cracks, and horizontal foliations, As a pre-LGM sedimentary sequences (older than 25Ka), the Old Fluvial Sequence(OFS) overlain by the Slope Sedimentary Sequence(SS) are distributed commonly at the base level higher than 14-15m above present river-bed along the major river basin. After the LGM (ca. 18Ka), the Young Fluvial Sequence(YFS) appears at an altitude ascending order of sedimentary profiles. In this fluvial organic muds of Jangheungri site(Jinju), Sorori site(Cheonwon), and Youngsan estruarine rivermouth(Mokpo) were exemplified in order to interpret their formation ages and environments. As result of $^{14}C$ datings, the formation ages of te organic muds are Boelling to Alleroed (MIS-1). These organic muds were fomed in fluvial backswamp or local pond/bog in response to shifting fluvial system. On the basis of palynological production dominant with Abies/Picea-Betula and Ranunculaceae, Compositae, Cyperaceae, and Graminae, it was interpreted that more boreal to subboreal condition was prevailed rather than temperate like today during the formation of organic muds and soil moisture condition was a repetition of wet and dry condition.

  • PDF

예천(醴泉) 전단대(剪斷帶)의 생성(生成)과 화강암(花崗岩) 관입(貫入)의 상대적(相對的)인 시기(時期) (Relative Timing of Shear Zone Formation and Granite Emplacement in the Yechon Shear Zone, Korea)

  • 장태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23권4호
    • /
    • pp.453-463
    • /
    • 1990
  • 주향이동운동(走向移動運動)에 의해 발달된 예천(醴泉) 전단대(剪斷帶)는 쥬라기 구조운동(構造運動)과 동시(同時)에 화강암류(花崗岩類)가 정치(定置)된 후,비교적 고온상태(高溫狀態)에서 생성(生成)되었다. 전단대(剪斷帶)가 화강암류(花崗岩類) 정치(定置)후 발달(發達)하였음은 화강암체(花崗岩體) 내외(內外)에서 엽리(葉理)와 선구조(線構造)의 운결성(運結性), 분쇄질(粉碎質) 구조(構造)의 발달(發達),페그마타이트와 규장암맥(硅長岩脈)의 변형작용(變形作用),모암(母岩)에서 반장변정(班狀變晶)들의 구조전(構造前)(Pretectonic)성장(成長) 등에 의해 확인된다. 전단대(剪斷帶)의 다양한 전단감각(剪斷感覺) 지시자(指時者)들은 대부분 전단대(剪斷帶) 중심부(中心部)의 강변형암(强變形岩)에서 잘 관찰된다. 이들은 전단감각(剪斷感覺)이 S-C fabric, 형태(形態) 선택배향(選擇配向),비대칭(非對稱) Porphyroclast system, Mica fish, 비대칭(非對稱) 신장구조(伸張構造),결정축(結晶軸) 선택배향(選擇配向)둥에 의해 일관성(一貫性) 있게 우수향(右手向)(Dextral)임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