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entations of Tecto-lineaments and Discontinuities for Different Rock Types in Andong Area

안동지역의 암종별 선구조선과 불연속면의 방위특성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ientation of tecto-lineaments obtained from aero-photograph and orientation of discontinuities measured at field for the rock types of igneous, sedimentary and metamorphic rocks in Andong area. Total 847 tecto-linea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aero-photographs and total 1,940 discontinuities including joints, foliations and faults were measured during geologic survey. By using the software DIPS, preferred trends of tecto-lineaments were deduced as N30E-N40E for igneous rocks and N50E-N60E for both sedimentary and metamorphic rocks, while the trends of discontinuities were found as N40E-N50E for igneous rocks, N50E-N80E for sedimentary rocks and N50E-N60E for meta morphic rocks. Even though both orientations for a given rock type showed relatively good agreement in its trend, some discrepancy is also appeared. Since construction safety of geo-structures such as tunnel and slope, etc.,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orientation of discontinuities in rock masse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perform a detailed geologic survey as well as an aero-photograph interpretation at a design stage.

현장 지표지질조사 수행 전에 지질구조를 사전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항공사진과 위성영상자료가 이용되는데, 이는 사전 및 시 공 중 현장 조사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이다. 화성암, 퇴적암 및 변성암이 인접하여 노출되는 안동지역의 항공사진에서 추출한 847개 선구조선의 방향성과 현장 지표지질조사에서 측정한 1,940개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분석한 결과, 방위는 어느 정도 상관성을 보이나, 선구조선의 방향성은 암반의 종류와 불연속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즉, 지표지질조사에서의 불연속면은 항공사진에서 선구조선으로 판독되지 않는 것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암반의 종류와 불연속면의 종류별 선구조선의 방향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불연속면의 영향을 크게 받는 터널, 사면 등 지반구조물의 합리적인 건설을 위하여서는 항공사진 분석과 동시에 현장 지표지질조사에서 암반의 종류 및 불연속면의 종류에 따른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상, 1988, 영주-안동간의 소위 '원남층군'에 관한 변성암석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이학석사 학위논문, 42
  2. 백용, 구호본, 김승현, 2001, 사면 붕괴와 관련 구조선 분석과 불연속면의 상관성 연구, 지질공학, 11, 3, 303-313
  3. 이희천, 1986, 경북 안동군 일대에 분포하는 변성암류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 문, 41
  4. 장태우, 김천수, 배대석, 2003, 우리나라 단열구조의 특성, 지질공학, 13, 2, 207-225
  5. Lee, Kiwon and Chi, Kwang-Hoon, 1995, Spatial Integration of Multiple Data Sets regarding Geological Lineaments using Fuzzy Set Operation, Jour. Korean Soc. Remote Sensing, 11(3): 49-60
  6. Siegal, B.S and, M. J. Abrams, 1976, Geologic mapping using Landsat data, Photogramm Eng. Remote Sens., 42, 325-337